[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화장품 업체에서 자영 감자를 이용한 ‘수면팩(슬리핑팩)’과 서홍 감자를 이용한 ‘핸드크림과 보디로션’을 개발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감자는 ‘비타민C의 보고’로 불릴 정도로 비타민C가 풍부해 예로부터 감자를 갈아 피부에 바르는 등 피부 보호를 위해 많이 사용돼 왔다. 특히 껍질과 속이 모두 보라색인 ‘자영’에는 항산화 성분인 ‘안토시아닌’이 43.7㎎/100g로 풍부하게 들어 있으며비타민C도 일반 감자보다 32% 많은 62.5㎎/100g을 함유하고 있다. 이 자영감자의 껍질 추출물은 세포실험 결과, 피부염을 유발하는 염증 매개 물질인 ‘플로스타그란딘(PGE2)’을 76% 이상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흑갈색 색소인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활성을 48% 가량 억제해 피부 미백에도 효과가 있다. 빨간색 껍질을 가지고 있는 서홍감자의 껍질 추출물도 염증 매개 물질인 ‘산화질소(Nitric Oxide)’를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감자5품종의Tyrosinase…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참조할 수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번역하고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1년 4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1년 4월 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82건으로 3월 194건에 비해 12건이 줄었다. 이 가운데 해외특허는 30건으로 약 16%를 차지해 3월 25%에 비해 조금 줄어든 비율을 보였다. 2021년 4월 공개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자외선 차단’ 분야가 19건으로 가장 많았고 ‘주름개선’과 ‘항노화, 항산화’ 12건으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유화물, 계면활성제’ 분야가 10건, ‘피부미백’과 ‘발모, 육모, 탈모 방지’…
# 식물유래Age Spot(기미) 개선 특화원료, Delentigo™ Age Spots(기미)은 50세 이상의 연령에게 흔히 발생하며 노화와 자외선 노출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한번 생성된 Age Spots은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의학적인 치료를 통해 제거해야 한다. 반면, 이러한 치료 과정 없이 Age Spots 개선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 Mibelle사의 'Delentigo™' 제품을 소개한다. 그림1 Delentigo™제품의 구성 요소 Delentigo™는 큰다닥냉이싹추출물(Lepidium Sativum Sprout Extract)과 제니스테인(Genestein)을 리포좀화한 원료다.큰다닥냉이싹추출물은 세포 내에서 Cleaning system 역할을 하는 프로테아좀(Proteasome)의 활성을 증가시켜 피부에 황갈색 색소를 띄는 리포푸신(Lipofuscin)의 생성을 억제한다. 리포푸신은 산화된 단백질(Oxidized proteins)과지질(lipids)에 의해 생성되는데 이 물질이 바로 피부에 기미를 생성하는 주요 원인이다. 제품의 또 다른 특징은 Delentigo™가 Age Spots 부위에 선택적으로 강력한 미백 기능을 발휘해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글로벌 화장품 연구∙개발∙생산(ODM)기업 코스맥스(대표 이병만)가 급성장하고 있는 MZ세대(밀레니얼 세대+Z세대) 탈모 케어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코스맥스는 콩 배아에서 추출한 원료를 적용해 MZ세대를 타깃으로 탈모 완화 샴푸와 트리트먼트를 선보인다고 30일 밝혔다. 국민건강보험 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탈모로 인해 진료받은 환자는 234,800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특히 전체 환자에서 20~30대 비중이 약 44%(103,391명)로 불규칙한 생활습관이나 과도한 다이어트, 스트레스 등으로 탈모 증상을 겪는 MZ세대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탈모 치료제 시장은 지난해 1255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16.6% 증가했다. 모발 관리용 제품과 식품, 의료기기 등으로 범위를 넓히면 탈모 관련 시장 규모는 약 4조 원대로 추정된다. 코스맥스는 이에 2년 간의 연구 끝에 천연 유래 탈모 완화 소재인 ‘소이액트® (Soyact®)’를 개발했다. 기존의 기능성 소재들이 대체로 두피 환경을 개선해 탈모를 방지하는 간접적인 방식이었다면소이액트®는 모낭 세포에 직접 작용해 모발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 특징…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엘앤피코스메틱(주)이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 모발의 자연스러운 볼륨감과 컬을 추구하는 스타일링 트렌드는 물론 자연 유래 성분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니즈까지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당알코올은 에탄올 같이 살균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성분이 아닌 식품의 천연감미료로 사용되며 화장품 보습제로 활발히 사용되는 성분이다. 천연 당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발 코팅용 조성물은 과일의 포도당을 발효한 에리스리톨, 보습 효과가 뛰어난 부활초 유래의 트레할로스, 아스파라거스, 사탕수수에서 유래한 프룩탄과 덱스트란 등의 천연 유래 성분을 활용해 볼륨 업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모발과 환경에 친화적인 것이 특징이다. 특허를 취득한 기술은 분자량이 작은 에리스리톨과 트레할로스가 모발의 손상된 큐티클에 붙어 1차 필름을 형성하고 분자량이 큰 프룩탄과 덱스트란이 바이오 필름을 형성해 모발을 코팅시켜 주는 원리로 큐티클과 모피질 접합부에서 부드러운 필름을 형성하는 제형 기술이다. 부드러운 필름으로 모발이 코팅되면 부스스함이 정돈되고 자연스러운 볼륨과컬을 구현할 수 있다. 모발이 뭉쳐지며 코팅되는 현상이…
최수규 코스메카코리아기술고문 1984년 12월~2020년 10월 LG생활건강 기술연구원(36년),연구위원,상근기술자문, 2024년 1월~현재코스메카코리아 기술고문, 2020년 11월~2023년 12월나우코스 기술고문 *저서 : 화장품생활건강용품과학1, 2 공저(2008년)…
#피부 건강 회복위한 영양 밸런싱 'Myers Vita Hydro' 1. 서론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은 남녀를 불문하고 삶의 질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러한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피부미용에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1).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위해 피부개선 효과가 있는 유효 성분을 피부에 공급하는 기능성화장품,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미용건강식품, 그리고 건강한 피부의 유지나 문제성 피부에 대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미용시술들이 주목받고 있다2).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 유지를 목적으로 화장품 등을 사용해 심리적 안정과 생리적 활성을 유지, 강화시켜 주는 관리를 일반 피부미용이라 하고문제성 피부를 치료차원에서 의료기기와 약품을 이용해 해결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피부상태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피부 관리를 메디컬 스킨케어라고 한다. 특히 메디컬 스킨케 어를 위해 병의원에서 색소질환, 여드름, 노화된 피부 등의 문제성 피부를 의료기기 또는 피부 질환에 적합한 미용시술과 화장품 등의 방법들이 이용된다3)4). 메디컬 스킨케어로시행되는 미용시술로는 레이저 시술이나, 보톡스, 실리프팅 등의 쁘띠 시술, 그리고 물리 · 화학적 필링제를 이용한…
#The first ever biodesigned vegan human collagen for skincare 'HumaColl21®' 1. 서론 콜라겐은 인체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로 우리 몸전체 단백질 중 약 25~35%를 차지하고 있는 필수 구성 요소이다. 인체에는 최소 28가지 종류의 콜라겐이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콜라겐의 발현과 합성은 감소하며 조직의 기능 저하와노화를 초래한다. 2. 본론 Geltor사는 콜라겐의 영역을 탐색해 가장 생물학적 활성도가 높은 대상을 찾아냈고 콜라겐 Type 21이 HumaColl21®의 최적 후보임을 확인했다. Type 21은 희귀한 콜라겐으로 조직 대부분에서 발견되지만 몸속 전체 콜라겐 중 차지하는 비율은 1% 미만에 불과하다. 또다른 풍부한 콜라겐과는 달리 동물로부터 분리, 추출이 어렵고 Biodesign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콜라겐 Type 21은 다른 콜라겐 간 가교 역할을 하고 세포 메신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알려진 FACITcollagen(Fibril-associated collagens with interrupted triple - helices)와 유사하며 체내 세포
#모발, 속눈썹 밀도증대,모질 개선효과있는 고기능 식물추출물 'GROWTH Oléoactif' 인도나 중국에 전해지는 전통적인 의약술에는 모발의 성장 촉진과 모발 개선에 기여한다고 알려진 많은 식물 처방이 기재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히비스커스(Hibiscus sabdariffa)와 잇꽃(Carthamus tinctorius)은 폭넓게 등장하는 대표적인 식물로 현재 이 두 종류의 식물에 피토스테롤이나 폴리페놀과 같은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히비스커스에는 플라보노이드와 페놀산, 안토시아닌이 함유되어 있고 잇꽃에는 Hydroxy safflor yellow A(HSYA)나 카르타민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특히 잇꽃에 관해서는 in vitro, in vivo 실험에 의해 탈모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그림1 모발 밀도의 변화 이번에 소개하는 GROWTH Oléoactif는 HallStar사의 특허기술인 ‘Oléo-Éco 추출’을 이용해 히비스커스와 잇꽃의 꽃에서 유용한 성분을 고효율로 추출한 오일추출물이다. 용매로 리놀릭애씨드나 β-시트스테롤, 비타민 E를 풍부하게 함유한 해바라기
#세라마이드와 유사한 골격가진 새로운 SPF 부스터 'Ceracute®-LL' 최근 세계적인 노인 인구의 증가와 미용 의식의 고양 으로 인해 안티에이징 효과가 높은 제품의 수요가 증가 하고 있다. 안티에이징 효과 중에서도 피부의 색소 침착이나 주름 방지,개선 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으며 피부 관리 분야의 안티에이징 제품 시장은 확대되고 있다. 당사에서는 안티에이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Ceracute®’시리즈를 전개하고 있다. 대표적인 Ceracute®-L은 세라마이드 유사 골격을 가진 폴리머 소재로 피부 상에서 폴리머 네트워크 구조를 자발적으로 형성해 피막을 형성한다. 이 피막 형성으로 보습 효과와 주름개선 효과 모두 기대할 수 있는 인기 소재이다. 그림1 Ceracute®-LL의 폴리머성분 구조식 이번 당사에서는 Ceracute®의 보습 효과, 주름 개선 효과와 함께 자외선 차단 제품에 포함된 자외선 산란제의 산란 효과를 끌어올리는 이른바 SPF 부스터 효과를 가진 Ceracute®-LL을 개발했다. Ceracute®-LL은 그림1에 나타낸 구조의 폴리머 성분인 Ceracute®-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정재민)은 토종다래 추출물에서 항산화, 미백, 주름 개선용 조성물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토종다래는 항산화, 비타민C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고면역력 향상 등의 기능성이 알려지면서 새로운 소득 작목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토종다래의 우수한 기능성을 활용해천연 화장품 소재 개발에 적합한 조성물 제조 기술을 정립하기 위해 지난 2020년부터 2년간 ‘토종 다래 과실과 잎의 화장품 소재 유효성 평가’를 진행했다. 그 결과 토종다래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주름개선에 대해탁월한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고토종다래 잎 50% 주정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토종 다래 과실과 잎의 화장품 소재 유효성 평가 분석 특히 토종 다래 잎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뿐아니라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멜라노마 세포 감소 실험에서 멜라닌 생합성은 대조군(무처리, 100%) 대비 33.7%로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에 효과적이었고엘라스테이스(Elastase) 저해 활성은 56.9%로 높은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2차 발효로 효과 UP! '호루스 발효쌀지게미추출물' 쌀지게미는 일본주 등의 청주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얻는 부산물이다. 쌀에 누룩균과 효모균을 첨가해 발효시켜 만드는 청주를 짠 후의 부산물이 쌀지게미로 예전부터 장아찌나 감주 등에 이용되며 일본인에게 아주 친근한 소재이다. 식품 소재로의 이용 뿐아니라 건조시켜서 사료나 농작물의 비료로도 이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쌀지게미에는 누룩균과 효모균으로 인한 발효로 다양한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마시는 링거’로 식혜를 소개, 판매하고 있는 기업도 다수 보이며 쌀지게미 등 발효식품은 일반 소비자에게도 건강식품의 대표주자로서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다. 식품 뿐아니라 쌀지게미의 풍부한 영양 성분을 살린 화장품 등의 이용도 증가하고 있다. 그림1 보습력 비교 또쌀지게미에 다시 효모균 등을 더해 2차 발효를 함으로써 유용성분의 증가와 건강작용과 미용작용의 증강을 하는 등의 연구 성과가 많아지고 있다. 당사는 지금까지 ‘쌀지게미추출물’로서 화장품 원료를 개발해 판매해 온 점에서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보다 소구성이 높은 식물유래 원료로서 ‘발효쌀지게미추출물’을 개발하기로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