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뷰티업계가 베스트셀러의 인기를 이어갈 '리바이벌'(Revival, 부흥, 재유행) 제품을 선보이며 소비자 공략에 나섰다. 기존 흥행 제품의 우수한 성분, 기술력 등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되 계절감, 소비자 니즈를 반영한 업그레이드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것이다. 화장품 브랜드가 잇따라 리바이벌 제품을 내세우는 이유는 베스트셀러의 보증된 소비자 만족도와 충성도 때문이다. 여기에 실제 고객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기성 소비층은 물론 새로운 타깃 확장까지 기대해 볼 수 있다. 특히 기존 제품과 리바이벌 제품을 함께 사용하면 시너지를 발휘하는 꿀 조합으로 입소문이 나면서 재유행을 이끌고 있다. 피부 진정, 안티에이징, 스팟 케어를 위한 스킨케어 제품부터 립 메이크업 상품까지 다양한 리바이벌 아이템을 소개한다. # 진정 시너지 업그레이드‘잇츠스킨 파워 10 포뮬라 엘아이 크림 감초줄렌+엘아이 이펙터 감초줄렌’ 잇츠스킨은 누적 판매량 2,300만 병을 자랑하는 스테디셀러 에센스 가운데 진정 기능의 ‘파워 10 포뮬라 엘아이 이펙터 감초줄렌’ 크림 버전을 새롭게 출시했다. 피부 진정은 물론 건조해진 피부에 보습 방패 효과를 선사하는 ‘파…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코로나19에 따른 마스크 페이스 시대 장기화로 올해 메이크업 제품 사용량이 전반적으로 줄었지만 선케어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스 메이크업으로 역할이 확장된 선케어 카테고리에서는 닥터지, 이니스프리, AHC 등 브랜드가 좋은 성과를 보였으며쿠션, 파운데이션과 관련해서는 헤라, 클리오 등의 구매율이 두드러졌다. 특히 최근 몇년간 TV 홈쇼핑 채널에 주력해온 에이지투웨니스는 상대적으로 적은 인지율 대비 매우 높은 구매 전환율을 보여 주목된다. 오픈서베이는 쿠션, 파운데이션, 립 메이크업, 선케어, 아이 메이크업까지 주요 메이크업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이 어떤 채널에서 뷰티 정보를 탐색하고 제품 구매를 하는지 ‘메이크업 카테고리 채널별 트렌드 & 주요 뷰티 브랜드 성과’를 발표했다. # ‘동영상 플랫폼’ 주요 메이크업 카테고리 정보 탐색 채널 ‘부상’ 메이크업 카테고리 정보 탐색 채널로 ‘동영상 플랫폼’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메이크업 카테고리 가운데 선케어를 제외한 쿠션, 파운데이션, 립 메이크업, 아이 메이크업에서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정보 탐색 비중이 높았다. 메이크…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최근 한 댄스 배틀 프로그램과 출연진들이 연일 화제가 되며출연진들의 댄스 배틀은 물론 커리어, 일상의 모습들, 팬들과 소통하는 모습 등 그들의 매력에 빠져드는 팬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양한 매력 중 댄서들이 방송과 SNS를 통해 보여주는 강렬하고 개성있는 메이크업 스타일 또한 단연 화제가 되어 메이크업 제품, 방법, 커버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 또한 높다. 요즘 대세인 댄서들의 매력을 더욱 돋보이게 해준 메이크업을 따라하기 위한 추천 제품을 알아본다. # 풀립, 오버립 포인트준 립 메이크업 에스쁘아의 '노웨어 밋츠 그레이' 컬렉션은 컬러와 컬러가 만나 독보적인 새로움을 만들어 내는 노웨어 밋츠 시리즈의 다섯번째 스토리로 안 바른 듯 가볍게 밀착되어 편안한 매트립을 연출해 주는 립스틱 노웨어 벨벳 라인으로 구성됐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컬러들은 차갑지만 시크한 그레이 컬러가 섞인 도시적이고 그윽한 그레이 컬러에서 영감을 받아브라운 밋츠 그레이, 핏치 밋츠 그레이, 로즈 밋츠 그레이, 플럼 밋츠 그레이 총 4가지 다양한 뮤트 컬러로 구성되어 있으며웜톤 쿨톤 상관없이 모두에게 잘 어울리는 컬러로 나만의 가을 메이크업을 연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2021년 소비자들은 스킨과 토너, 클렌저, 에센스와 세럼, 앰플, 크림까지 주요 스킨케어 카테고리별로 차별화된 브랜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닥터지와 이니스프리, 달바, 시드물, 설화수, AHC 등이 주요 스킨케어 카테고리에서 높은 인지 대비 구매율을 보여 주목된다. 오픈서베이는 스킨과 토너, 클렌저, 에센스와 세럼, 앰플, 크림까지 주요 스킨케어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소비자들이 어떤 채널에서 뷰티 정보를 탐색하고 제품 구매를 하는지 발표했다. 더불어 주요 스킨케어 브랜드의 성과 또한 살폈다. # 주요 스킨케어 카테고리 정보 탐색 채널, 스킨·토너는 제품 비교 ‘중요’ 소비자들은 스킨·토너 카테고리 정보 탐색 시 화해 등 화장품 정보 앱을 통한 제품 비교와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렌저 또한 화장품 정보 앱과 동영상 플랫폼이 주요 정보 탐색 채널이지만전년 대비 인터넷 쇼핑몰과 SNS 등 채널의 중요도가 높아졌다. 오픈서베이는 “클렌저는 KBF(주요 구매 요인, Key Buying Factor) 조사 결과에서도 효능·효과와 가격, 가성비를 전년 대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성신여자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센터의 헬스앤뷰티 데이터 연구소와 전문리서치기업 트랜드리서치(주)가 지난해 1년간 국내 화장품시장 동향을 살핀 ‘2020 한국뷰티마켓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20년 9월과 2021년 4월 두 차례에 걸쳐 만 13세 이상 국내 거주 남녀 1,400명씩 총 2,800명에 대해 조사가 실시됐으며구조화된 설문지를 기반으로 한 대면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로 인한 2020년 국내 뷰티 시장의 흐름을 분석하고전체 뷰티 시장과 세분 시장의 규모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이뤄졌다. 조사 결과, 2020년 상반기(S/S)에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와소비심리 위축 등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뷰티 시장의 규모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뷰티 시장의 전체 규모는 전년 대비 8.9% 감소한 14조 1,324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0년 상반기(S/S) 뷰티 시장의 전체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8.4% 감소한 6조 7,774억 원을 기록했다. 세분 시장의 규모를 살펴보면, 스킨케어 시장의 경우 전년 동기 대비 15.6% 감소한 4조 9,414억 원을 기록했으며…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떠오를 Z세대에 각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미디어는 물론 학계나 기업이 주목하는 Z세대는 진로, 여가활동, 외모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보이며특히 ‘열풍’이라 할 정도로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이슈 중에서는 성평등, 젠더갈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으며‘내 마음이 가는 것에 돈을 쓰는’ 소비 행태가 강해지는 모습이다. M세대보다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고신조어와 줄임말 사용도 더 많았다. 오픈서베이는 9월 6일과 7일 양일간 국내에 거주하는 만 14~25세의 남녀(Z세대)와 만 26~35세 남녀(M세대) 각 600명씩 총 1,200명을 대상으로 관심사와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해‘Z세대 트렌드 리포트 2021’을 발표했다. 오픈서베이 측은 “Z세대는 기성세대와 다르기 때문이 아니라 곧 소비 주역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Z세대를 바라볼 때는 이들이 어디에 관심을 두고 어떤 경험을 즐기는지, 어떻게 콘텐츠를 소비하는지, 어디에 시간을 투자하는지 등 라이프스타일 태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Z세대, 재테크에 대…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글로벌 마케팅&리서치 기업 칸타 월드패널(Kantar World Pannel)이 9월 16일 2021년 상반기에 국내 여성 화장품 시장에서 구매가 가장 활발한 브랜드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브랜드 순위를 담은 ‘2021년 상반기 소비자가 많이 찾은 뷰티 브랜드 순위’ 트렌드 리포트를 발표했다. 칸타 월드패널 디비전의 뷰티 사업부가 발표한 이번 조사에는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전국 15~65세의 한국 여성으로 구성된 자체 뷰티 패널 약 9,700여 명이 참여했다. 공개된 브랜드 순위는 이들 뷰티패널의 실제 구매 데이터에 기반했으며CRP(Consumer Reach Point, 소비자접점지수: 구매자의 브랜드 구매 경험률과 구매빈도를 종합한 평가지수)를 활용해 2021년 상반기 데이터를 기준으로 선정됐다.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쇼핑 채널이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점을 고려, 전체 채널과 온라인 채널 각각을 기준으로 집계와분석됐다. 2021년 상반기 국내 화장품 시장 TOP 브랜드 순위 2021년 상반기 15~65세 국내 여성의 실제 구매 데이터 기준, 국내 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높…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코로나 장기화 속에도 콘텐츠 분야는 꾸준히 성장을 거듭한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음악, 웹툰 모든 분야에서 건별 구매나 월정액 구독 형태의 유료 이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콘텐츠의 파급력도 강해지고 있다. 10명 중 6명은 콘텐츠에 노출된 제품을 구매하거나 해당 장소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여성은 식품·음료, 화장품·뷰티 제품, 문구·소품, 패션·액세서리 등의 구매 경험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오픈서베이는 7월 23일부터 26일까지 전국 만 15~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콘텐츠 트렌드를 조사,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 2021’을 발표했다. # 웹소설, e-book 등 디지털 텍스트 이용 ‘활발’ ‘콘텐츠 트렌드 리포트 2021’에 따르면 동영상 콘텐츠는 꾸준히 이용되는 반면 글·텍스트 콘텐츠와 오디오 콘텐츠의 이용은 소폭 감소했다. 이 중 텍스트 콘텐츠 이용과 관련해서는 오프라인 텍스트 형태의 선호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디지털 텍스트 이용이 활발했다. ‘웹소설’, ‘e-book’ 이용률은 증가한 반면 ‘인터넷 기사’나 ‘SNS글’, ‘종이신문’ 이용률은 감소했다. ‘인…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쇼핑의 중심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모바일 쇼핑으로 급변한 가운데 온라인, 모바일 쇼핑 채널 이용률은 꾸준히 유지되며 안정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쇼핑 앱에서는 ‘네이버쇼핑’의 이용률이 크게 증가하며 쿠팡과 1위 다툼이 치열해지는 모습이다. 또 쇼핑 앱 유료 멤버십과 라이브커머스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커머스의 다음 격전지로 떠오르고 있다. 오픈서베이는 7월 9일부터 12일까지 전국 만 20~49세 남녀 중 본인이 직접 쇼핑을 하는 이 1,000명을 대상으로 쇼핑 트렌드를 조사, ‘모바일 쇼핑 트렌드 리포트 2021’을 발표했다. # 안정화되는 온·모바일 쇼핑, 10명 중 9명은 “모바일 쇼핑 중” ‘모바일 쇼핑 트렌드 리포트 2021’에 따르면, 20~40대 국민 10명 중 9명은 모바일로 쇼핑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모바일 쇼핑은 여성과 30대의 이용률이 소폭 높은 정도이나성·연령 큰 차이 없이 고루 이용하고 있다. 또 오프라인 구매의 경우 여성층에서, PC를 통한 구매는 남성과 20대의 이용률이 높았다. 지난해에는 온라인, 모바일을 통한 식료품 구입이 급증한 데 이어 올…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화장품을 비롯한 국내 주요 소비재에 대한 수요 트렌드 변화가 급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집 안에서 건강을 중요시하고사회적윤리 가치 준수를 다짐하며 개인별 맞춤형 소비'가 대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6월 20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시대 소비행태 변화와 시사점 조사’를 통해 코로나19가 만든 최근 소비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고코로나 시대의 소비 키워드를 이같이 정리했다. 대한상의는 “▲홈코노미(Home-conomy)▲온라인쇼핑(Online shopping)▲건강에 대한 관심(More Health)▲윤리적 소비(Ethical consumption) 등이 일반적인 소비 트렌드가 됐고, 이어 구독서비스(Subscription), 중고거래(Trade of used goods), 보상소비(Act of reward), 라이브커머스 등 새로운 채널(Your new channel)의 쇼핑경험도 점차 확산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서덕호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이번 조사는 코로나19 확산 장기화가 소비트렌드와소비행태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코스인코리아닷컴 이효진 기자] 코로나19 장기화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지속된 소비 침체 속에서도 배달의 민족과 쿠팡, 옥션·지마켓, 네이버쇼핑 등 온라인 쇼핑과 배달 서비스는 성장을 거듭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서베이는 최근 ‘포스트 코로나 리포트 2021’ 데이터를 토대로 ‘코로나 장기화 속에도 오히려 성장한 브랜드 TOP 10’을 선정했다. 지난해 2월부터 지난 1월까지의 신용카드 결제 내역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기간에 결제 건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브랜드를 기준으로 했다. ‘코로나 장기화 속에도 성장한 브랜드 TOP 10’에는 배달의 민족을 비롯해 ▲쿠팡·쿠팡이츠 ▲옥션·지마켓 ▲네이버쇼핑 ▲메가커피 ▲삼성디지털프라자 ▲마켓컬리 ▲넷플릭스 ▲자연드림 iCoop 생협 ▲컴포즈커피 등이 이름을 올렸다. # 코로나 장기화 성장한 브랜드 TOP10 소비 트렌드는? 황희영 오픈서베이 대표는 “‘코로나 장기화 속에도 성장한 브랜드 TOP 10’ 리스트를 통해 코로나 이후 주요 소비 트렌드를 알 수 있다”며 ▲온라인 쇼핑과 배달 서비스의 일상화 ▲중저가 카페 브랜드 성장 ▲디지털·가전 관련 소비 증가 ▲자연드림 iCoop 생…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라이브 취향 쇼핑플랫폼 CJ온스타일이 2021년 소비 트렌드 키워드로 ‘ENGAGE(결속)’를 선정했다. 지난해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 팬데믹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와 재택근무 등 언택트 생활이 장기화 되며 서로의 결속과 관계에 대한 니즈가 절실해지는 시대다. ‘ENGAGE’ 키워드를 토대로 CJ온스타일은 올 한해 플랫폼, 브랜드, 고객이 따로 존재하던 기존 유통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서로에게 관여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이번 키워드는 CJ온스타일과 서울대학교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공동으로 선정했다. 영단어 ‘ENGAGE’의 알파벳을 활용해CJ온스타일만의 새로운 유통 생태계를 제안할 수 있는 상세 키워드 6개도 도출했다. ▲Enrich ‘Real Me’(어바웃 ‘찐’ 미) ▲New Days for ‘On-time’ People(온타임 피플) ▲Give Me Warm and Sweet Touch(온(溫)-터치) ▲Advent of Directing Consumers(양방향 디렉터) ▲Green Lights to ‘Like-Commerce’(LIKE 커머스) ▲Establish ‘CJ ON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