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 유래의 신원료 - 모발의 에이징케어 신소재개발 일본에서는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고령자의 QOL(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화장품이 요구되는 시대가 되어 가고 있다. 실제로 나이가 들면서 흰머리나 탄력, 곱슬거림, 푸석함 등의 고민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처하기 위한 안티에이징 화장품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나이에 따른 모발 고민은 예전부터 변함없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그 요인은 미에 대한 의식의 고양이나 한 가지 고민을 해소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고민을 희생해야 하는 현상(탄력 향상에 따라 푸석함도 함께 환기되어 버리는 등)에 있다고 추측되고 있다. 그림2 Kawatect® SAS 함유(또는 미함유) 샴푸로 처리한 모발의 사진과 L* 값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 알지닌 유도체인 새로운 모발 탄력제 ‘Kawatect® SAS’를 개발했다(그림1)1). 알지닌은 모발 단백질의 구성 성분이며 안티에이징의 케어 성분으로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다. 이번에 개발한 Kawatect® SAS는 모발 내외부에 흡착, 침투함으로써 탄력과 팽팽함을 부여하고 볼륨의 향상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것 뿐아니라 흡착된 Kawate
#피부상재균, 피부 상태 정돈하는 딸기 유래 신규 유산균 원료 유산균은 옛날부터 술과 절임 식품의 발효에 이용될 뿐 아니라 장내 환경개선을 강조한 건강기능식품(supplement)으로써 널리 사랑받고 있다. 최근에는 살아있는 유산균체(乳酸菌体) 뿐 아니라 가열처리 살균 유산균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이나 건강식품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열처리 유산균은 안정성 향상과 공장 라인의 오염 리스크가 저감되는 이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생균과 다르지 않은 정장(整腸)작용과 장내 플로라(flora, 세균총) 개선 효과를 보유하고 있는 점도 많이 알려졌으며 살균 처리되어 있기에 화장품 원료로의 응용이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최근 화장품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피부상재균총 개선으로의 응용도 기대가 되고 있다. 그림1 Lactobacillus plantarum AMAOU 균주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이미지 ICHIMARU PHARCOS사는 유산균의 고기능성에 착안해 세계 최초로 유산균체의 화장품 원료에 대한 응용연구를 진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후쿠오카현(福岡県)에서 생산되는 브랜드 딸기 ‘아마오우’에서 분리된 유산균에 대해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을 검증한 결과를…
#부처스브룸추출물에 의한 붓기(부종) 완화 작용에 대하여 서서 하는 일과 데스크워크 등 몇 시간동안 똑같이선 자세나 앉은 자세가 계속되면 정상인도 붓기(부종)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골격근량이 적고 근육 펌프 기능이 약하다는 신체적 특징에서 심장에서 먼 부위인 종아리에 특히 붓기가 생기기 쉽다1). 붓기 부위에서는 찌뿌듯함이 생겨 바쁘게 일한 날의 밤이나 밤늦게까지 먹은 날의 아침에 다리와 얼굴에 붓기를 느끼는 여성이 많아 나이와 관계없이 여성에게 있어 붓기는 큰 고민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 하루 안에 생기는 일과성의 붓기는 외형의 변화와 피로감 으로 직결되어 정신적인 악영향도 무시할 수 없다. 최근에는 재택근무의 확산 등 생활습관에 큰 변화가 생겨 보행이나 운동의 기회가 감소 경향에 있어 붓기를 느끼는 빈도는 증가하고 있다. 그림1 붓기 발생의 메커니즘 붓기는 세포와 세포 사이에 있는 세포간물질에 체액이 통상보다 많이 고여 외관에서 명백히 부어있는 것을알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그 요인은 모세혈관과 림프관에 의한 세포외 수분의 회수기능 저하가 관여하고 있다2)3). 혈액과 주변조직 사이에서는 모세혈관과 림프관의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대구한의대학교(총장 변창훈) 화장품공학부 최창형 교수연구팀은 포스텍 화학공학과 이효민 교수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미세유체공정기반 극저분자 캡슐화와 자극감응형 방출제어가 가능한 하이드로젤 캡슐제조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IF 16.836)' 최신호(5월 3일)의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연구팀은 미세유체의 정밀제어능력을 활용해 캡슐 내 나노유체막을 도입함으로써 다공성 하이드로젤 캡슐 막을 사용했음에도 높은 효율로 극저분자를 담지할 수 있었다. 또 캡슐 내 담지된 극저분자는 하이드로젤의 물리적 특성과 다양한 외부자극 종류와 압력 차이 조절을 통해 방출 시점을 매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 이번연구 제 1저자는 화장품공학과 석사과정(1학년) 정혜선 학생으로 지난 학부 연구생(화장품공학부)으로서 성실하게 연구 수행한 결과로 세계적 학술지에 게재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최창형 교수는 “기능성 극저분자 활성 물질은 제약, 식품, 화장품 등 정밀화학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정상 발생하는 외부 조건들로 인해 급격한 활성…
#습윤과 건조환경에서 자기조직화 재료가 나타내는 기능 지금까지 우리는 지방산의 팔미틱애씨드와 아미노산의 글라이신, 히스티딘으로 이루어진 팔미토일다이 펩타이드-18(Palmitoyl Dipeptide-18)의 개발을 실시해 왔다(그림1). 이 팔미토일다이펩타이드-18(이하, PD-18)은 RIPT(Repeated Insult Patch Test) 등에서 높은 안전성이 확인되어 있고 수중(水中)에서 자기조직 화하는 것으로 독특한 레올로지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우리는 이 PD-18의 용해성・분산성을 개선하고 화장품 처방에서의 배합성을 높이기 위해 PD-18과 그외의 화장품 원료 성분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프리믹스(premix) 소재를 개발했다. 그림4 자기조직화 파이버 AFM 측정결과 NFG® (NANOFIBERGEL®) ES-01 프리믹스(표)를 이용하면 수중에서 자기조직화하고 파이버 구조를 취하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다. ES-01 프리믹스를 이용해 제조한 겔이 종래의 고분자 겔화제와 다른 레올로지 특성을 갖는 것 혹은 그 파이버의 얽힘 구조에 기인해 수중에서 무기물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지금까지 보고했다2)3). 수중(습윤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일본 화장품 OEM 업체의 2020년 실적은 고객인 화장품업체의 코로나19에 의한 영향을 그대로 반영했다. 일본 경제산업성의 생산동태통계에 따르면, 2020년 화장품의 출하액은 전년 대비 10% 정도 감소했다. 일본 국내의 화장품 OEM 시장도 전년 대비 13.0% 감소한 3,010억 엔(한화 약 3조 1,340억 원, TPC 마케팅리서치 조사)이 될 전망이다. 도시키(東色)피그먼트 회사의 시기하라 야스히로(鴫原靖宏) 사장은 “OEM 업계는 전문분야에 특화된 기업이 많아서 자신들의 주력 분야와 거래처에 따라 실적에 많은 차이가 생긴다”고 말했다. 특히 매장판매와 인바운드 수요가 많은 고객을 가진 기업과 외출자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사용이 크게 감소한 메이크업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은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한편, 코로나19 대응에 성공한 기업과 거래처는 온라인 쇼핑몰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코로나19 재난에서도 지난 해와 비슷한 실적을 올렸다. 2020년 일본 국내 메이크업 시장은 30~40% 감소될 전망이다. 이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은 기업은 컬러 메이크업 분야의 최대 기업인 도키와이다. 프레스티지 메이크업 개발로…
#유럽의 당호박씨를 업사이클한 스킨뷰티(기미, 주름, 피부얼룩 대책) 원료 노화 세포 뿐 아니라 정상적인 세포도 날마다 서서히 대미지를 받아 세포내에는 불필요물이 축적되어 간다. 오토파지(autophagy)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고 기능이 저하되면 비정상적인 접이식 구조의 단백질이 축적되거나 손상을 입은 세포소기관에 의해 세포의 기능 저하, 복제 노화 등이 발생한다. 피부의 외형에도 영향을 주어 피부 장벽기능의 저하, 피부 탄력과 팽팽함의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REFORCYL-AION은 유럽의 당호박씨를 업사이클한 스킨 뷰티 원료로 오토파지를 활성화시키는 것과 동시에 미토콘드리아의 적응성을 높여 오토파지를 유도시키기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세포내의 ‘대청소’ 가 행해짐으로써 불필요한 것이 분해되어 아미노산이나 유리지방산, 단당(単糖)이 생성되기 때문에 세포가 젊게 재생될 것으로 기대되며 그 기능성을 소개한다. 그림1 오토파고솜 형성 동 오스트리아의 시칠리아 지방은 건강한 호박씨 오일의 산지로 유명하며 지속가능한 농장에서 재배되는 당호박(Cucurbita pepo var. styriaca)은 껍질이 없는 특징적인 씨를 지닌 호박이다
#지속가능한 고기능성 제품 위한 새로운 화장품 등급의 프로판다이올 미용 분야에서 바이오테크놀로지는 오늘날 의식이 높은 소비자들이 환경과 한정된 천연자원에 대해 갖는 우려로부터 최근 몇 년 사이에 그 중요성이 증가 했다. 이에 DSM은 지속가능한 새로운 화장품 등급의 1.3-프로판다이올(상품명 : TILAMAR PDO with NØØVISTATM)를 개발했다. 오늘날 미용, 퍼스널케어 제품의 소비자는 이전보다 관련 지식이 있고 의식이 높아 구입 시에는 자신의 가치관을 반영한 선택을 한다. 제품의 성능과 그것으 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과는 당연히 중요하지만 보다 넓은 건강, 환경, 사회적 우려를 중요시하고 자신이 사용하는 제품이 지닌 환경과 사회적인 영향에도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1). 이것은 컨셔스(Conscious, 의식이 높은) 뷰티 트렌드로서 확산되고 있다. 그림1 PDO 배합 크림과 부틸렌글라이콜 배합 크림의 소비자 관능 비교평가 특히 제품과 성분에 관심이 있어 자신들의 가치관에 맞는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찾고 있는 젊은 세대에게 잘들어맞지만 한편으로 폭넓은 연령층에서 비용이 많이 들었다 하더라도 책임감을 갖고 행동하는 브랜드를 구입하려는…
#보습성 등 기능성 가진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는 저자극성의 친환경적인 계면활성제로 세안제, 바디소프, 샴푸 등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피부와 두발을 세정하는 퍼스널케어용 클렌저는 화장과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본래의 목적에 생활 습관이나 기호의 다양화에 따라 더욱 고성능화와 고기능화를 실현해 부가가치를 높인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부가가치를 높이는 특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거품의 특성(기포성, 거품 질, 거품의 지속성 등), 세정 후의 피부 감촉과 같은 사용감, 향 등의 감성적인 성능, 피부에 대한 효과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계 활성제 시장은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런 추세는 2021년이 된 현재에도 순조롭게 증가 하고 있다. 그중 N-아실아미노산염에 이어 N-아실타 우린염의 아미노산계 활성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림2 믹서법에 의한 기포력 이번에 소개하는 NJBON® ASP-TKL 시리즈는 그림1에서 나타낸 것처럼 아스파틱애씨드(aspartic acid, 아스파라긴산)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양쪽성계면활 성제, N -알킬아스파틱애씨드의 포타슘타우레이트(potassium taurate)이다. 타우린에는 ①모발의 보습성, 탄력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충북농업기술원(원장 송용섭)은 세포재생력 함유로 피부치료제와 화장품 소재로 알려진 ‘병풀’의 유효성분을 늘릴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특허출원했다고 밝혔다. 병을 치료하는 풀이라는 이름의 '병풀'(Centella asiatica)은 일명 ‘호랑이풀’이라고도 불리고 있으며 현재 식용보다는 상처치료제 등 의료용으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병풀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유효성분은 아시아틱산, 아시아티코사이드, 마데카식산, 마데카소사이드 등 총 4가지 성분으로 피부재생과 콜라겐 합성 촉진력을 발휘한다. 이 중 아시아티코사이드가 가장 중요한 지표 성분으로 항균과 항진균 활성의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식물체를 건조하는 기술로 동결건조 방법을 많이 활용하는데 생리활성 물질이 잘 보존되어 영양성분과 색상 변화가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병풀의 경우 다른 결과가 도출됐다. 동결건조(35.3 mg/g) 방법보다 저온 냉풍 건조(43.4mg/g) 방식에서 오히려 아시아티코사이드 함량이 약 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75℃ 열풍건조에서는 16.41mg/g이 측정되어 높은 온도에 불활성이 많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용…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5월호는 특집 ‘화장품 신원료와 새로운 기능성 (2)’을 주제로 ▲보습성 등의 기능성을 가진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지속가능한 고기능성 제품을 위한 새로운 화장품 등급의 프로판다이올 ▲ 유럽의 당호박씨를 업 사이클한 스킨뷰티(기미 · 주름 · 피부얼룩 대책) 원료 ▲습윤과 건조환경에서 자기조식화 재료가 나타내는 기능 ▲부처스브룸추출물에 의한 붓기 완화 작용에 대하여 ▲피부상재균과 피부의 상태를 정돈하는 딸기 유래 신규 유산균 원료 ▲아미노산 유래의 신원료 - 모발의 에이징케어 신소재의 개발 ▲일본 전통 발효법을 이용한 COSMOS 등록 쌀 추출물 ▲ 활성형 이소플라본의 개발 - 여성 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뿌리달린 새싹 유래 원료 ▲수용성 비타민E 유도체인 소듐토코페릴포스페이트의 새로운 기능 – 보습, 눈 주위의 다크서클 개선, 항오염 효과 ▲올리브 유래의 강력한 폴리페놀인 하이드록시타이로솔을 함유한 항산화, 미백 유효성분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의 헤어케어에의 새로운 전망 ▲미백, 항주름, 장벽기능 개선 작용을 가진 비타민 E 지방산 에스터 유도체 ▲새로운 유용 성분 티멜리아 추…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1년 5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FJK) 5월호는 특집 ‘화장품 신원료와 새로운 기능성 (2)’을 주제로 ▲보습성 등의 기능성을 가진 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지속가능한 고기능성 제품을 위한 새로운 화장품 등급의 프로판다이올 ▲ 유럽의 당호박씨를 업 사이클한 스킨뷰티(기미 · 주름 · 피부얼룩 대책) 원료 ▲습윤과 건조환경에서 자기조식화 재료가 나타내는 기능 ▲부처스브룸추출물에 의한 붓기 완화 작용에 대하여 ▲피부상재균과 피부의 상태를 정돈하는 딸기 유래 신규 유산균 원료 ▲아미노산 유래의 신원료 - 모발의 에이징케어 신소재의 개발 ▲일본 전통 발효법을 이용한 COSMOS 등록 쌀 추출물 ▲ 활성형 이소플라본의 개발 - 여성 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뿌리달린 새싹 유래 원료 ▲수용성 비타민E 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