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1 (화)

  • 맑음동두천 26.3℃
  • 맑음강릉 19.3℃
  • 연무서울 26.1℃
  • 맑음대전 24.9℃
  • 맑음대구 20.7℃
  • 맑음울산 17.0℃
  • 구름많음광주 25.4℃
  • 맑음부산 19.0℃
  • 구름조금고창 ℃
  • 흐림제주 21.4℃
  • 맑음강화 21.1℃
  • 맑음보은 21.5℃
  • 맑음금산 24.3℃
  • 구름많음강진군 21.6℃
  • 구름많음경주시 17.7℃
  • 구름조금거제 18.4℃
기상청 제공

[최신연구] 새로운 모달리티 탈모 바이오 소재 개발 방법 연구

바이오 소재 이용한 탈모 치료제 개발방법, 시험방법 제시

# 새로운 모달리티 탈모 바이오 소재 개발 방법 연구

 

탈모는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탈모 시장이 확대되면서 치료제 뿐 아니라 관련 기능성화장품, 건강기능식품과 의료기기 시장까지 증가하고 있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혁신 탈모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모낭 세포와 동물 실험 모델의 탈모 연구 방법과 최근 연구 중인 새로운 모달리티의 탈모 바이오 소재에 대해 소개한다.

 

기존 화장품 소재 외에 첨단 바이오 분야의 지식을 활용하고 이런 다양한 원리와 기술을 결합해 탈모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제품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새로운 바이오 소재 개발을 통해 탈모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공할 것이다. 바이오 화장품 소재 개발은 탈모 화장품 산업에 혁신을 가져옴으로써 많은 탈모 환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탈모는 이제 중장년 남성 뿐 아니라 전 연령층에 걸쳐 나타나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기존의 해결책들은 효과적이지만 부작용이나 한계가 있다. 남성형 탈모(AGA: androgenic alopecia)는 가장 흔한 탈모 질환으로 탈모 치료에 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치료 수요도 상당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AGA 치료제를 발굴하고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AGA는 여러 모낭 세포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치료제가 모낭 세포에 미치는 효과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세포 실험, organ model 실험, 그리고 동물 모델 실험의 3가지 주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돼지 모델을 이용한 발모 효능 평가

 

 

모낭은 여러 세포 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휴지기에는 피부의 진피층에 위치한 후 성장기 동안 피부 지방 조직으로 이동하며 성장한다. 모낭은 모유두 세포(DPC : dermal papilla cell)와 바깥 부분으로 내모근초 세포(IRS : inner root sheath cell), 외모근초 세포(ORS : outer root sheath cell)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모낭의 bulge 부위에는 외모근초 세포의 일부인 표피 줄기세포(EpSC : epidermal stem cell)가 있으며 이들은 외모근초와 내모근초 세포, 모근(hair shaft), sebaceous gland 등의 표피기관을 형성한다. 모발의 성장은 표피 줄기세포가 모유두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시작된다. 모유두 세포는 모발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고 케라틴 세포와 상호작용해 모발의 성장을 조절한다.

 

관련태그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화장품 #코스메틱 #2024년5월호 #화장품연구개발마케팅전문저널 #에피바이오텍 #최신연구 #기술정보 #모달리티  #탈모 #모낭세포 #남성형탈모 #AGA #진피층 #모유두세포 #내모근초세포 #DPC #IRS #외모근초세포  #표피줄기세포 #모근 #케라틴세포 #모낭중간엽줄기세포 #모유두외피컵세포 #전구세포 #TGF-β2 #안드로겐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