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방어 메커니즘의 힘을 지닌 화장품 성분
카카오버터는 화장품 성분으로 매우 인기가 많다. 그러나 화장품용 카카오버터는 종종 식품 등급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시장 공급이 제한된다. 동시에 많은 양의 카카오 작물이 질병으로 인해 폐기되고 있는데 질병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특히 흥미로운 성분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성분들은 단백질이나 식물 이차 대사산물 추출물 또는 카카오버터 형태로 화장품에 귀중한 특성을 제공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식품 등급 원료의 공급 부담을 완화하며 피부과학적 및 환경적 다양한 이점을 다수 제공하는 또 다른 원료 공급을 창출할 것이다.
카카오나무(Theobroma cacao)는 중남미가 원산지이며 주요 생산물은 열매의 씨앗인 카카오 원두(bean, 콩)이다. 건강한 카카오 원두는 주로 모든 종류의 초콜릿 제품 제조에 사용된다. 전통적인 카카오 열매 가공 방식은 그림1에 나와 있다. 카카오 매스(mass)*를 가공한 후 카카오버터와 카카오박(cocoa** press cake)을 얻을 수 있다.
이 두 가지는 주로 식품 산업에서 사용된다. 카카오버터는 초콜릿 생산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며 카카오박은 초콜릿 파우더로 가공되어 소스, 페이스트리,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식품의 원료로 활용된다. 또한 카카오버터는 이미 화장품 산업에서 메이크업부터 바디와 헤어 케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 분야의 원료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카카오 열매 가공의 주요 목표는 카카오버터와 초콜릿 파우더의 확보이다. 발효, 건조, 로스팅 과정에서의 조건 설정은 카카오 원두의 저장 안정성뿐만 아니라 향과 색상 등 특징적인 관능 특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공정 단계는 식품용 카카오버터와 초콜릿 파우더 생산에 최적화됐다[1].
그림1 [1]에 따른 전통적인 카카오 원두 가공 과정
기후 변화와 자원 고갈의 심화로 원료 가공의 효율성 제고와 폐기물 저감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최근 코코아 제품에 대한 수요와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면서 재배 지역의 부족한 자원을 최적으로 활용 해야만 한다.
외관상으로 손상된 카카오 열매는 식품으로는 사용할 수 없지만 화장품 원료로는 유망하다. 식물 방어 메커니즘은 식물 이차 대사산물, 지방산, 단백질 등과 같은 새로운 활성 성분을 생산할 수 있어 화장품 산업의 혁신적인 원료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원료·화장품·식품 산업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카카오 열매의 지속 가능한 사용과 재활용은 물론 재배국의 환경과 생활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이 프로젝트에 협력하고 있다. 업계는 지속 가능한 저렴한 원료를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혁신적인 활성 성분으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태적, 사회적 책임 실천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 재설계된 생산 공정은 부산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폐기물을 방지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 프로젝트는 지속 가능성과 자원 효율성에 기여한다.
* 카카오 매스는 볶은 카카오 원두를 껍질과 배아를 제거한 후 미세하게 갈은 것(액화)을 말한다.
** 코코아(cocoa)는 주로 식품 분야에서 카카오(cacao) 원두를 가공한 것을 지칭 한다.
필자
D. Leistl, S. Kiese, A. Springer
![]() |
|
![]() |
![]() |
Copyright ⓒ Since 2012 COS'IN. All Right Reserved.
#코스인 #코스인코리아닷컴 #화장품 #코스메틱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5년8월호 #화장품연구개발마케팅전문저널 #독일 #SOFW저널 #퍼스널케어 #카카오버터 #원료 #나무 #원두 #카카오매스 #카카오박 #화장품산업 #메이크업 #바디케어 #헤어케어 발효 #건조 #로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