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 기술과 반사특성 측정기반피부와 화장품질감 표현 최근 화장품 개발을 비롯한 미용 분야에서 피부의 시각적 질감을 디지털 영상으로 시각화하는 기술의 필요 성이 커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피부 또는 화장품의 3차원 컴퓨터 그래픽(3DCG)에 의한 영상표현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또최근 게임이나 영화 등에서 매우 고품질의 인체 3DCG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기술을 화장품 개발 시에 피부나 화장품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시각화 기술로 사용할 수 있다면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1)2). 화장품 개발에 3DCG 기술을 사용하는 장점은 실제 사람의 피부나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화장품의 재질이나 화장의 도포 방법 등 화장이나 피부 상태를 다양한 조건으로 임의로 변경하면서 컴퓨팅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유로운 시점에서 피부 질감을 시각화할 수있다는 점이다. 그림1은 본고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실제 사람의 피부를 3DCG로 재현한 예이다. 그림1 3DCG로 재현된 피부 질감의 예(실물과 재현 CG의 비교) 또3DCG는 사람의 피부나 화장한 피부를 다양한 환경의 배경에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3). 예를 들어여름 해변, 사무실의 형광등 조명, 극장의 홀과 같은 복잡한 조
#외관 인상면(面)으로 평가하는 얼굴 이미지 분석법-투명감해석 피부의 투명감은 일본인 여성이 동경하는 피부 질로서 항상 상위에 꼽히고 있다. 피부의 투명감에 대해서는 ‘피부가 칙칙함 없이 투명하게 보이는 상태’라고 정의되어 있으며1), 객관적인 평가법으로는 피부 빛의 투과성을 광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2)과 이미지에서 특정의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방법3)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피부의 투명감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해서도 탐색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투명감이 높은 피부는 피부 결, 각질층 수분량, 멜라닌양, 헤모글로빈양이 영향을 주고 있는 것⁴), 각질층 단백질의 카르보닐화에 의해 피부의 투명감이 저하되는 것5), 피부색의 불균일성이나 피부 표면의 결의 이방성(異方性)이 육안의 투명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6)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연구에서 이용된 측정 방법은 뺨 부위의 국소적인 영역에 한정되어 있다. 그림1 이미지 해석의 해석 영역 설정 프로브형의 계측기를 이용해 각질층 수분량이나 경피수분증발량, 피부색, 피부의 점탄성 등 국소의 피부 상태를 수치화하는 방법은 정점(定点)의 피부 상태를 정량적으로 파악해 그 변화를 정밀하게 검출하는
#소비자체감품질알기 위한 새로운 촉감 감지 기술 스킨케어 체험에서 소비자의 주관적인 체감 품질을 촉감 감지 기술에 의해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시도한 사례를 소개한다. 소비자가 스킨케어 제품을 선택, 구입할 때의 판단 자료는 제품의 소구 정보와 테스터 등에서 자신이 느끼는 윤기와 매끄러움, 탄력 등의 체감 품질이며 그 중요성은 최근 더욱더 높아지고 있다. 그 요인으로서 소비자가 접촉하는 정보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기존의 소비자는 광고와 매장에서의 상담과 같은 업체가 제공하는 정보를 접할 기회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입소문 사이트와 SNS 등에서 소비자가 전달하는 정보에 접할 기회가 급증했다. 입소문 사이트와 SNS에서는 자신과 같은 소비자의 관점에서 제품을 사용했을 때의 체감 품질이 있는 그대로 이야기되고 있기 때문에 소비 자에게신뢰성이 높은 정보원이 되고 있다. 그림1 진동 마찰 센서7) 즉, 제품의 소구와 자신의 체감 품질에 부가해서 제삼자의 체감 품질도 선택, 구입의 판단 자료가 되고 있다. 또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온라인으로 스킨케어 제품을 선택,구입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어 제3자의 체감 품질에 관한 정보의 중요 성은 앞으
#선 스크린 제제SPF 측정위한 새로운 in vitro 방법제안 선 스크린 제제의 자외선방어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SPF와 UVA-PF를 들 수 있다. 전자는 ISO 24444법1) , 후자는 ISO 24442법2)이 국제표준규격이며 모두 인체의 등을 자외선에 노출시켜 홍반의 발생 또는 흑화까지의 시간이 선 스크린 제제를 도포함으로써 얼마나 오래 가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in vivo법이라고도 한다. 이 방법은 인체에 대한 자외선 노출이라는 윤리적 문제가 있으며 비용이 많이 들고 측정에 긴 시간이 필요하 다. 따라서 in vitro법이라고 불리는 방법, 즉, 일정량의선 스크린 제제를 기판 위에 도포한 후 자외선 차폐 정도를 측정해 SPF 또는 UVA-PF를 추정하는 방법의 개발이 세계적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SPF의 in vitro 측정법은 아직 승인되지 않았으며 UVA-PF의 in vitro 측정법은 ISO 24443법3)으로 2012년에 발행 됐지만 일본화장품공업연합회가 PA 표시에 대응할 수있는지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일본에서 독자 기준으로는 채용되지 않았다. 그림1 블록 애플리케이터와 4면 애플리케이터, 이들을 이용해 도포함
#자극감가시화의한 기분 좋은 화장품 개발위한 대처 - 신규 자극 관련 인자지표로 한 평가방법구축 화장품의 개발에서 기능성과 함께 ‘감각’은 중요한 요소이다. 화장품이 제공하는 피부감촉, 향기 등은 인체의 감각, 특히 오감(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을 자극해 만족감이나 편안함과 같은 유쾌한 자극을 제공한다. 다른 한편, 화장품에 포함된 화학물질의 하나인 청량 성분인 멘톨이나 온감 성분인 캡사이신(capsaicin)은 오감과는 다른 ‘온도감각’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들을 배합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쾌적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있는 한편, 통증과 같은 불쾌감을 느끼는 사람도 존재하므로 기분 좋은 화장품 개발의 추구에는 이 감각 자극을 파악하는 방법의 개인차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림1 온도 감수성 TRP 채널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자극에 관해서 신경 상에 존재하는 TRPV1, TRPA1 수용체에 주목해(그림1)1)∼6) 파라벤이나 알칼리 등의 이들 TRP 채널 활성화에 의한 불쾌한 자극 메커니즘의 해명, 나아가 자극 완화 물질로서 TRPV1 길항제(antagonist) 활성을 갖는 유칼립톨(eucalyptol)이나…
#피부의 자외선차단제제 도포막가시화 기술 개발 자외선차단제제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 다는 명확한 기능을 가진 화장품이다. 이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바를 때 빈틈없이 발리고 피부에서 균일한 도포 막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땀이나 마찰의 영향으로 도포 막의 일부가 결여되어 버렸을 경우는 방어기능이 현저히 낮아지므로 그 도포 막이 내구성을 갖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또최근 자외선에 대한 과도한 노출을 피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유아기부터 일상적으로 자외선차단제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 자외선의 방어기능 뿐아니라 ‘피부에 부담감이 없는’ 등의 사용감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외선차단 기능을 높은 수준으로 오래 유지하면서 피부에 부담이 적은 자외선차단제제 개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림1 관통 구멍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DIUTHAME®, Hamamatsu Photonics사7)) 또자외선차단제제에는 자외선흡수제나 무기분체, 유성성분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배합 성분들은 자외선의 방어 뿐아니라 도포 막의 뭉침 방지, 감촉 조정 등 피부에서 각각 다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적절하게…
#주름실시간 평가법개발 주름은 에이징(aging)의 사인으로 여겨지며 주요 피부 고민 중의 하나이다. 그 때문에 주름을 방지,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매우 높고 그에 따라 차례차례로 항주름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다. 또주름은 연령 뿐아니라 그 사람의 라이프스타일이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이러한 점에서 피부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주름은 비침습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보고라고 할 수 있으며 그 평가는 매우 유익하다. 현재 다양한 주름의 평가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신규 효능 취득을 위한 항주름 제품 평가 가이드라인’에도그 평가방법이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4). 이들 방법은 특수한 기재(equipment)를 필요로 하며 평가에 시간이 걸리며 또한 주름은 표정이나 환경에 의해 그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무표정 시의 주름을 엄격하게 관리된 조건에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림1 VIS를 이용한 연령별 주름 평가 (ⅰ) 20대, (ⅱ) 30대, (ⅲ) 40대, (ⅳ) 50대의 눈가 사진 (a) 원래 이미지, (b) VIS에서 작성한 특징 강조 이미지, (c) 주름 부분이 붉게 표시된 이진화 이미지.
#화장품 개발평가,측정법최신 동향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표면으로부터 피부의 생리 특성이나 내부 구조를 조사하는 것은 화장품 개발이나 그 효과 실증에 필요한 것으로 지금까지 많은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측정 대상은 보습 기능이나 장벽 기능, 피부결, 주름 등의 표면 형상, 역학 특성, 광학 특성, 발한(発汗), 피지 분비, 피부 혈류, 대사 활성 등이다(표). 주로 기기를 이용한 물리 계측이지만 이러한 것 이외에 접착테이프로 피부 표면의 각질층을 벗겨 얻은 각질층 중의 사이토카인(cytokine)이나 효소 활성 등 생화학적 지표를 측정해 피부 상태를 조사하는 방법도 있다. 어느 방법이나 화장품과 식품 등의 유용성 평가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1). 그림1 High wave number region (수분, 지질, 지질 충전구조) 피부측정법 개발에서 최근의 큰 특징은 생체 현미경이라 불리며 피부 내부의 성분이나 구조를 깊이 방향으로 세포 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는 기기가 개발된 점이다. 예를 들어 In vivo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OCT(Optical Coherent Tomography, 광간섭 단층 촬영 장치), 자발(선형) 라만 산란을 이용한 in
#누룩균 유래 성분Deferriferrichrysin피부 장벽,보습 기능 누룩균은 일본주,된장,간장 등 일본 발효식품 제조에 빠뜨릴 수 없는 균이다. 누룩균의 용도는 식품 뿐아니라 누룩균이 만드는 성분에서 미백효과가 있는 코직애씨드가 발견되는 등 미용 소재의 원료로서도 기대된다. 본고에서 소개하는 ‘Deferriferrichrysin’도 누룩균이 만든 여러 가지 성분 중 하나이다. Deferriferrichrysin은 6개의 아미노산이 고리 모양으로 이어진 펩타이드이며 철과 강하게 결합하는 특징을 갖는다. Deferriferrichrysin은 원래부터 철과 결합한 상태에서 청주의 착색 원인 물질로 발견됐다1). 청주의 착색은 품질 열화로 간주되므로 Deferriferrichrysin은 오랫동안 청주 업계에서는 기피되는 존재였으며 줄일 방법을 모색해 왔다. 표1 미백 관련 인자의 유전자 발현량 변화 한편, 강한 철 결합력과 높은 수용성이라는 특징 때문에 우리들은 흥미를 갖게 됐으며 역발상을 통해 대량생산하는 방법을 확립했다2). 그리고 지금까지 Deferriferrichrysin의 기능성으로서 식품 용도에 있어서의 지질의 산화 억제 작용3), 고기의…
#아드레날린이 피부보습과 장벽 기능에 미치는 영향 과도한 심리적 스트레스는 마음 뿐아니라 신체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리적 스트레스 정보가 시상하부를 자극하면 내분비계나 자율 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아드레날린 등의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의 혈중 농도가 증가한다. 그 결과, 혈압 상승이나 심박수 상승과 같은 전신성의 스트레스 응답 반응을 일으킨다1). 그리고 피부에서도 마음과의 연결은 지적되고 있다2)3). 특히 심리적 스트레스 부하 시에는 피부의 가려움이나 피부 거칠음을 체감하는 경우도 많다. 2018년 8월 10~60대 여성 419명을 대상으로 자체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심리적 스트레스나 피로를 느꼈을 때 피부 상태가 좋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 연령대에서 약 90% 였다. 또아토피성 피부염 환자에서는 심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그병세가 악화되는 일도 지적되고 있다4). 그림1 아드레날린 첨가로 인한 NGF 발현 변화 이러한 심리적 스트레스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최근 주목받아 밝혀지고 있지만 그 상세한 메커 니즘에 대해서는 해명되지 않은 점이 많다. 그래서 우리는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을 때 교감신경-부신수질을 통
#건조로 인한 가려움에 대한 보습제유용성 - 피부장벽 기능 개선과 세라마이드 프로파일(profile)변화 가려움은 ‘긁고 싶어지는 불쾌한 감각’이라고 정의 되어 있으며 습진, 피부염이나 내장(内臓) 이상 등의 기초질환에 따른 가려움 등 그 원인은 다양하다. 그러나 질환이 아니더라도 일상생활 중에서 공기가 건조한 시기 등에 피부가 건조해지고 가려움이 생기는 것을 많은 사람이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건조성 가려움의 실태에 대해 조사[2015년 7월, 20~69세 여성(N=10,000)]을 실시한 결과, 약 40%의 조사자들이 가려움으로 고민하고 있었다. 그 부위는 그림1에서 나타내는 것처럼 ‘머리’, ‘등’, ‘얼굴’, ‘목’, ‘종아리’ 순으로 많이 볼 수 있었다(복수응답). 그림1 ‘가려움’을 느끼는 부위 (복수응답) 2015년 7월, Web 조사, 20~69세 여성(N=4,029) 건조피부는 피부의 보습기능이나 장벽기능이 저하된 상태로 이른바 외부로부터의 여러 자극 이른바 외부 자극의 투과성이 항진(亢進)해 피부는 쉽게 민감해진다. 이 때문에 장벽기능이 저하된 피부에 있어서의 피부 트러블은 수분유지 기능의 저하에 의한 건조 증상 뿐아니라 가려움,…
#아토피성피부염의 가려움에 대한 탄닉애씨드의 임상적 유용성 아토피성피부염 환자의 대부분은 땀이 나기 쉬운 부위에 피부 습진이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또운동 후 등의 발한 시, 고온 다습한 여름철 또는 취침 시발한에 의해 피부염이 악화되어 가려움이 증가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발한 자극 또는 분비된 땀이 아토피성피부염 환자의 증상 악화 인자의 하나라고 생각되며 적절한 목욕과 샤워는 아토피성피부염의 중요한 스킨케어로 인식되어 왔다1)2). 그러나 땀이 어떻게 아토피성피부염을 악화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알지 못했다. 우리는 아토피성피부염 환자의 피부와 말초혈액 호염기성 과립구(好鹽基性顆粒球, basophil granulocyte)에서 발견되는 땀에 대한 반응에 착안해 그 반응을 억제하는 식물 성분인 탄닉애씨드(탄닌산, Tannic Acid)를 발견했다. 본고에서는 아토피성피부염 환자의 QOL을 높일 수 있는 일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2가지 스킨케어 제품의 임상적 유용성을 소개한다. 그림1 탄닉애씨드에 의한 정제 땀 항원의 중화 작용 땀의 피내주사(피부 내 주사)에 의해 생기는 홍반, 팽진(膨疹)과 말초혈액 호염기성 과립구로부터의 히스타민 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