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속에서 폴리머 형태를 특성화하는 고급 분석 기법 마이크로 플라스틱과 나노 플라스틱에 대한 정의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지만 입자와 용액 사이의 단단하거나 잘 구분된 계면을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언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용액에 용해된 단일 분자와 구별된다. 그러나 나노 규모에서 이러한 차이를 감지하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 산란 기법을 사용해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에틸렌글라이콜과 같은 수용성 폴리머의 거동을 나노 크기의 폴리스타이렌 비드와 비교했다. 동적 광 산란(DLS, Dynamic Light Scattering)과 소각 X선 산란(SAXS, Small Angle X-Ray Scattering)을 통해 수용성 폴리머와 분산된 나노 플라스틱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했다. 수용성 폴리머와 불용성 폴리스타이렌의 나노 스케일에서 서로 다른 산란 프로파일을 볼 수 있었다. PVA 18-88(용해성 필름형 세제에 사용)과 PEG 8000은 단일 분자로 용해되어 임의의 코일 형태를 나타냈다. 그들은 시간이 지나도 응집되지 않았다. 나노 폴리스타이렌 비드는 딱딱한 입자 특성을 보였다. 원자력 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
#AI 기술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한 흡수도 연구 : 피부임상 연구의 신뢰성 향상 라만 분광법은 비침습적이고 정밀한 물질 분석이 가능해 다양한 산업과 연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데이터 해석과 신호 노이즈로 인해 흡수도 측정의 정밀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최근 AI 기술이 도입되면서 데이터 처리 속도와 정확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며 이를 라만 분광기의 흡수도 분석에 적용하면 보다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 기술을 도입한 라만 분광기를 활용해 피부 흡수도를 분석하고 육안 평가의 주관성을 개선하며 피부임상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을 탐구한다. 연구는 AI 기반 시각화와 정량화를 통해 기존 평가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며 피부 흡수도 데이터 분석의 효율을 높이고 객관성과 정확성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뒀다. 연구 대상자의 자료 수집을 위한 Nanofinder Fel xG 라만 분광기 최근 피부임상연구센터의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면서 각 연구소는 연구 결과에 대한 정확도와 신뢰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선진임상연구센터는 2024년 6월 개소해 연구 결과의…
#외부 환경에 의한 피부장벽 손상과 보습에 의한 피부 건강 연구 피부장벽은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각질층, 지질막, 그리고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로 구성돼피부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고 미생물이나 유해 물질의 침입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다양한 외부 자극은 피부장벽의 구조와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건강한 피부장벽은 최적의 수분 공급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환경적 요인, 피부 상태(예: 습진, 건선) 또는 노화로 인한 피부장벽의 손상은 경표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을 증가시켜 건조하고 자극을 주며 피부가 손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반대로 적절한 수분 공급은 피부의 재생 능력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장벽으로 작용해 이 두 가지 요소 간의 상호간 관계를 보여준다. 피부 보습은 피부의 수분을 유지하고 피부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보습은 피부 표면에 수분을 공급하고 이를 피부 안쪽으로 끌어들여 수분 손실을 줄이는 여러 가지 방법을 포함한다. 또보습제는 피부장벽의 구조를 개선하고 수분을 보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피부 노화지표로최종당화산물(AGEs) 분석위한 시험 부위 선정연구 피부에서 당화(glycation)는 노화와 피부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생화학적 과정이다. 이 과정은 비효소적 반응(non-enzymatic reaction)으로 일어나며 최종당화산물(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을 형성한다. 본 연구는 인체피부 각각 다른 세 부위에서 수집한 각질세포에서 AGEs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이를 이용해 피부노화 지표로서 AGEs 분석에 적합한 시험 부위를 찾기 위함이다. 20대~40대의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뺨(Cheek), 손등(Back of hand), 전박내측(Inner forearm)의 각질을 채취해 염색법으로 정량했다. 또자외선을 조사해 AGEs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AGEs는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했고 특히 손등에서 그 변화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AGEs는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손등은 자외선 노출이 많은 대표적인 인체 부위로서 AGEs를 이용한 내인성, 외인성 노화를 평가하기에 적합한 시험 부위인 것으로 사료된다. AGEs가 형성되는…
# 인공지능 기반 피부노화지수 평가 예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피부 노화는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기인하는 내인성, 외인성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피부 주름 형성, 피부색 변화(색소 침착), 건조함, 탄력 저하와 같은 임상적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피부 변화는 개인의 실제 연령에 비해 빠르거나 느리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는 얼굴 외모와 인지되는 매력 또는 나이에 영향을 미친다. 백인 여성의 경우 눈 주위 상태와 피부색 균일성이 인지 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된 바 있다.아시아인에서는 색소 침착, 피부 처짐, 주름, 눈 밑 다크서클과 같은 다양한 임상적 특징이 인지 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노화에 따른 임상적 특징은 인종 간 또는 생활 습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다양한 증상은 얼굴 형태와 개인의 인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화와 관련된 주요 임상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객관적인 진단 방법이 요구된다. 연구자에 의한 육안 평가는 얼굴의 종합적인 노화 특징을 반영해 평가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이는 주름, 피부색, 색소 침착, 피부 처짐 등의 다양한 증상을 점수화와 등급화해 평가한다. 머신러닝 기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올해로 34회를 맞은2024 세계화장품학회(34th IFSCC Congress BRAZIL)가 지난달 14일부터 17일(현지시간)까지 브라질 포스 두 이구아수(Foz do Iguazu)에서 열린 가운데 전 세계 1,400명의 화장품 연구자들이 사전등록으로 참가해 최신 기술과 연구결과를 공유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600여 개의 포스터 발표와 80개 이상의 구두 발표가 진행됐다. 개막 기조연설은 Grupo Boticário의 구스타보 디아만트가 맡았으며 R&D의 도구로서 지속가능성과 다양성, 포용성을 통합한 전략적 혁신에 초점을 맞춰 발표했다. 또지속가능성 중심의 기조연설에는 컨셉부터 소비자까지 지속가능한 화장품 개발에 대해 살펴본 커틴 대학교의 헤더 벤슨(Heather Benson) 박사가 참여했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수명 주기 평가와 기술에 대한 Croda의 카라 이튼(Cara Eaton)도 발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기조연설과 교육 워크숍(보타리오, 로레알) 개최, 어워드 수여, 트레이드쇼, 소셜 이벤트, 글로벌 네트워킹 등 참가자들을 위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됐다. 이번 학술대…
# 화장품 에멀젼 생산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동시에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일까? 화장품 산업에서의 효율적인 생산은 CO₂배출량, 비용 구조, 생산 시간과 회사의 수익성에 궁극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화장품 제조에서 에멀젼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한 접근 방식과 권장 사항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원자재 선택, 단계 구성, 생산 공정과 기계를 고려해 배출량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에멀젼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생산 최적화의 다른 측면도 관련이 있다. 개발과 생산 간의 긴밀한 협업과 목표 설정을 통해 상당한 개선을 이룰 수 있다. 화장품 산업에서의 효율적인 생산은 CO₂배출량, 비용 구조, 생산 시간과 회사의 수익성에 궁극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에너지와 물 배출은 이 분야의 지속 가능성 균형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다음 글에서는 회사 경영진, 개발자는 물론 기술과 생산 직원에게 최적화를 위한 접근법과 관련 권장 사항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화장품 제조의 에멀젼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생산 최적화와 관련된 단일 라인 생산, 충전, 세척과 계획 프로세스와 같은 다른 측면도 관련되어 있다. 그림1에멀젼 프로세스
[코스인코리아닷컴 류승우 기자] 로레알그룹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지난 1월 9일부터 12일까지 열린 세계 최대 가전, IT 박람회‘CES 2024’에서 뷰티 기업으로 첫 기조강연을 통해 로레알 뷰티테크의 미래상을 제시해 주목을 받았다. CES 2024에서 로레알의 CEO 니콜라 이에로니무스(Nicolas Ieronymus)가 뷰티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그것도 첫 주자로 기조연설을 했다. 이는 로레알에게도, 전 세계 뷰티 기업들에게도 큰 의미가 있다. 뷰티 기업은 테크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강력한 메시지다. 이번 CES의 주제는 ‘ALL ON(모든 것은 여기에 있다, 여기서부터 시작된다)’인데 115년의 역사를 가진 로레알은 뷰티 업계에서 이를 가장 잘 구현하고 있는 기업이다. 뷰티는 이렇게 돼야 한다는 미래상을 확고히 가지고 그 큰 그림을 향해 기술, 지속가능성, 다양성, 포용성 등 다양한 영역에 고르게 투자해 왔다. 그 결과 각 분야에서 ‘진정성’을 보여줬고 우수한 인재들을 끌어들여 지금의 글로벌 No.1 자리를 구축했다. 로레알은 2016년부터 CES에 참가하고 있다. 이 기간 동안 수많은 혁신을 만들어온 이 회사에게 이번 기조연설은 전 세계를…
[코스인코리아닷컴 임종세 기자]제1회 일본화장품기술자회(SCCJ) 학술대회가 2023년 12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간 일본 오미야 소닉시티에서 개최됐다. 지금까지는 연 2회 연구토론회를 개최했으나 2023년부터 이를 통합해 연 1회 개최하기로 한 것이다. 이번 대회는 직접 참관과 온라인을 병행해 진행됐으며 총 36편의 구두 발표와 61편의 포스터 발표 그리고 IFSCC에서 발표된 51편의 포스터 전시, 4편의 기조강연과 초청강연, 2편의 SCCJ 저널 최우수 논문 발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이번 학술대회 동안 화장품원료업체 45개가 참여해 전시회도 개최됐다. 이번 학술대회의 최우수 발표상은 구두 발표에서는 가오의 Shunsuke Nakamura 연구원이 ‘SSL-RNA를 활용한 새로운 피부 분류 지표 개발’로 수상했으며 포스터 발표에서는 시세이도의 Yohei Takahashi 연구원이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한 각질층의 유연성’으로 수상했다. 본지는 2024년 1월호와 2월호에 학술대회 구두 발표 등 주요 내용을 요약해 소개한다. # 구두 발표 내용 요약 구두 발표 A-1 민감성 피부의 각질층 세라마이드 프로파일에 대한 유사 세라마이드의…
# 최첨단 피부과학과 식물 연구 식물의 혜택을 도입한 화장품은 시대의 변화와 함께 허벌이나 보타니컬 등 표현을 바꾸면서 오랫동안 지지받고 있다. 1970년대 당시의 서독을 비롯한 유럽 각지에서는 예전부터 전승돼 온 식물요법이 성행하고 있었으며 화장품에도 응용되고 있었다. 식물요법에 사용된 여러 가지 식물들은 1978년에 설립된 독일 보건당국의 전문 위원회 커미션 E에 의해 그 효과나 부작용이 모노그래프로 정리돼 현대의 의학과 융합해 의약품으로 발전했다. 약초의 보고로 알려진 독일의 검은 숲 슈바르츠발트의 식물요법에 대해서 1984년에 스즈키 그룹은 백리향(학명 : Thymus quinquecostatus)이나 와일드타임을 사용한 기침약의 차나 아르니카나 카모마일을 이용한 항염증 외용제 등을 소개하고 있다1). 당시 현지에 사는 여성의 피부가 아름다웠던 것은 훌륭한 자연환경에 살았기 때문이며 WHO(세계보건기구)에 의해 정의되는 건강 즉 육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건강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서술하고 있다1). 식물에서 가져다주는 상쾌한 영향은 많은 사람들을 웰빙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식물은 인간에게 빼놓을 수 없는 존재다. 산소나 영양소의 공급원이며
# 피부 줄기세포 연구진전과 화장품 개발응용 '줄기세포’라는 말이 처음 사용된 것은 19세기 후반 독일의 생물학자였던 Haeckel이 수정란을 그렇게 부른 것이 시작인 것 같다1). 그로부터 약 150년이 지나려고 하는 지금 줄기세포의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한마디로 ‘줄기세포’라고 해도 인체의 각 조직에는 각각 특이적인 줄기세포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러한 줄기세포가 새로운 세포를 공급함으로써 우리의 신체는 유지되고 있다. 그림1 피부 줄기세포 피부에서도 여러 줄기세포의 존재가 보고되고 있으며 현재는 더 다면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970년대에 표피 줄기세포, 2000년대에 진피와 피하지방 줄기세포의 존재가 보고되자 피부 줄기세포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돼 현재까지 많은 발견과 기술혁신이 있었다. 2007년 일본 최초의 재생의료 등 제품으로서 자가 배양 표피가 승인돼 피부 재생의료가 현실성을 띠자 2008년경부터 화장품업계에서 줄기세포 연구를 활용한 화장품이 보이기 시작했다. 그 후에도 피부에서의 줄기세포 연구는 크게 진전돼 지금까지의 미용에서의 ‘항노화’의 개념에서 ‘재생’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사고 방식이 시장에서도 받아들여지게 돼…
#차세대 제한기술개발 현황 땀샘은 발한(発汗)에 의한 체온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의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한이 감소하면 열사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에크린 땀샘은 거의 몸 전체의 신체 표면에 분포하며 주로 수분과 전해질로 이루어진 저장성(低張性, hypotonic)의 땀을 분비한다1). 에크린 땀샘의 주된 기능은 체온의 제어이며 땀의 증발에 의한 열 발산으로 체온을 낮추는 기능을 한다. 땀샘은 자율신경에 의해 지배되고 있기에 온열성, 정신성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과도한 발한을 의식적으로 컨트롤할 수 없다. 그러므로 과도한 발한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삶의 질(QOL)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또일반적으로 다한증으로 알려진 에클린선의 기능 장애는 과도한 땀 분비를 야기한다. 에크린 땀샘으로부터의 과도한 땀을 억제하기 위해 제한제(制汗剤)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기존 시판 제한제는 주로 알루미늄클로라이드(Aluminum Chloride)나 알루미늄클로로하이드레이트(Aluminum Chlorohydrate) 등의 알루미늄 염을 포함해 땀샘에 물리적으로 마개 역할을 함으로써 발한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한 소재는 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