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백나무 추출물'Hinokitiol'의 천연 방부 대체제효능과 응용 본 연구는 천연 성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현재 화장품 시장의 트렌드에 맞춰 편백나무 추출물을 활용한 천연 방부 대체제를 개발하고 그 유효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Activonol Green-Hinocare는 스킨, 에멀젼 제형에 1.0~1.5%(w/w) 첨가해 방부력 시험(PCPC guideline) 수행 시 pH 4~7 조건에서 강력한 방부 효과를 확인했다. 또MIC test를 통해 피부 상재균 5종에 대한 높은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 특히 Yeast와 Mold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Checkerboard assay를 통해 Hinokitiol과 Glycol류 간 피부 상재균 5종에 대한 항균력 시너지 효과를 확인했다. 또제형 안정성 시험을 통해 에센스와 에멀젼 제형에 Activonol Green-Hinocare를 1.0~2.0%(w/w) 첨가해 점도와 pH 측정 시 제형 고유의 점도와 pH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확인했다. Single patch test를 통해 피부 안전성 시험 진행 시 무자극으로 인체 피부에 안전함을 입증했다. 이러한 결과를
# 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데스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의 멀티 스킨케어 효과 ESG경영과 지속가능성이 산업 전반에 뿌리내리기 시작한 가운데 이산화탄소와 물 그리고 태양에너지만을 이용해 생산할 수 있는 미세조류는 지속가능 원료이자 차세대 바이오매스 공급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세조류의 일종인 클로렐라는 베타글루칸, 필수 아미노산, 오메가-3 등 다양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압 분산처리를 통해 저분자 펩타이드를 고효율로 생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조류 클로렐라를 효소처리해 저분자 펩타이드를 얻는 연구가 진행됐다. 효소처리 조건 최적화 단계에서는 한외여과를 통해 핵심 기능 성분으로 기대되는 저분자 펩타이드 비중을 높여 사용했으며 원료화와 인체적용시험 단계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해 한외여과 공정을 생략했다. 이후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클로렐라 펩타이드 함유 세럼의 뛰어난 피부 개선 효능을 가진 것을 확인했다. 그림5. 클로렐라 저분자 펩타이드의 주름개선 효과 클린뷰티를 넘어 지속가능뷰티라는 가치소비가 트렌드로 자리 잡은 현재 미세조류는 지속가능 소재이자 차세대 바이오
# 칼라민분산 안정화시킨 수중형 화장료 조성물특허 기술 본 연구에서는 칼라민(Calamine)을 분산 안정화시킨 수중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그 효능을 평가했다. 칼라민의 피부 진정효과와 보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당류계 점증제인 하이드롤라이즈드스클레로튬검(Hydrolyzed Sclerotium Gum)을 이용해 고함량의 칼라민을 안정적으로 분산시키는 방법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칼라민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사용감을 개선하는 동시에 장기간의 제품 안정성을 보장하는 새로운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실험 결과 개발된 조성물은 우수한 분산 안정성과 피부 친화성을 보여줬으며 장기간 저장 후에도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특허 출원과 등록을 했으며 이러한 결과는 칼라민을 포함한 수중형 화장료의 개발과제조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칼라민(Calamine)은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와 산화철(III)(Iron oxide, FeO)을 혼합해 얻어진 담홍색 분말로 소염과 피부 보호 효과로 인해 의약외품과 화장품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특히 염증, 가려움, 습
# 엘포틴 유산균 Lactobacillus L-14 유래 추출물과 추출물 중에 존재하는 세포외 다당체(Exopolysaccharide, EPS)의 항염증 효능과 작용기전 규명 유산균 유래 화장품은 최근 몇 년간 뷰티 산업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유산균과 그 배양물이 피부의 건강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면서부터다. 유산균 유래 성분은 피부의 미생물군을 조화롭게 유지하고 염증을 감소시키며 피부 장벽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피부 과학에 대한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여러 브랜드들이 마이크로바이옴에 기반한 화장품을 개발해 피부의 자연스러운 방어 체계를 지원하고 강화하는 혁신적인 제품으로 선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로 유도된 염증 반응을 가진 대식세포(RAW 264.7)에 EPS를 처리했을 때 염증 매개 물질인 사이클로옥시게나제-2(COX-2), 인터류킨-6(IL-6),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인터류킨-1베타(IL-1β)의 발현이 억제됐다는 점을 발견했다. 더욱이 EPS는 TLR4(Toll-like receptor 4)와의 상호작용을 차단해 항염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염
# 발광 다이오드(LED) 처리에델바이스 캘러스 유래 세포외 소포체 생산 향상과피부 항노화 지표 강화 현대에 이르러 피부 노화가 하나의 질병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세포외 EVs(소포체)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 시장에서 다양한 EVs가 유통되고 있지만 미생물과 식물 기반의 EVs를 활용해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다. 에델바이스라는 식물은 현재 멸종 위기에 처한 의약 식물이다. 보호를 위해 캘러스 배양이라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캘러스 배양에서 유래한 EVs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에델바이스 캘러스를 다양한 광원 조건에서 배양한 후 성장 속도와 성장 비율을 확인한 결과 그림1에 나타난 바와 같이 M-LED에서 얻은 캘러스는 빛을 처리하지 않은 D조건과 유사한 성장 속도를 보여줬다. M-LED와 D에서 얻은 캘러스와 비교하였을 때 R-LED와 B-LED에서 얻은 캘러스는 그에 비해 성장 속도가 늦었다. 이들이 서로 다른 생성량을 지니고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각각 성장한 캘러스에서 신선 무게(FW)와 건조된 무게(DW) 그리고 DW/FW 비율(%)을 측정했다. M-LED에서 얻은 캘러스는 FW(8.76
# 친환경 HME-DDS 기술적용된 고기능성 화장품 원료 개발 화학적으로 인공적으로 제조하는 합성물질의 경우 인체에 노출된 적이 없는 물질이다 보니 생체에서 이물질로 취급돼 독성 등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반면, 식물과 동물, 광물, 미생물 등 자연계에서 획득할 수 있는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물질들은 인간의 오랜 역사만큼 경험적으로 임상시험이 이뤄져 온 만큼 부작용이 적고 비교적 안전하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천연물 유래 물질들은 대부분 식품으로도 섭취할 수 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부작용도 적은 편이다. 하지만 천연물은 합성물질에 비교해 효능이 다소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천연물은 다양한 물질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는데 성분들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다르기에 추출하거나 가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그림1 HME-DDS의 특성과 비지니스 확장성 강원대학교 백종섭 교수는 이 같은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천연물 가공 플랫폼 기술인 HME-DDS를 개발했다. HME-DDS기술은 열과 압력 그리고 전단력과 같이 물리적 인자를 이용하는 열용융압출(Hot Melt Extrusion, HME) 기술에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
#NICT 투과 물질과 결합된 FGF2, EGF 성장인자, Type A Light chain 보툴리눔 톡신(Botulinum toxin, BTX)의 피부, 세포 투과 능력 검증과 효능 평가 본 연구는 네오리젠바이오텍이 개발한 혁신적인 NICT 투과기술과 그 응용에 대해 고찰한다. 네오리젠바이오텍은 양친매성 Natural Cyclic CPP를 기반으로 하는 NICT Platform 기술을 통해 세포막과의 결합 능력을 강화하고 투과 효율을 높여 다양한 치료 물질을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이 기술은 단백질, 플라스미드 DNA, RNA, 리포좀, 그리고 항암제 등의 물질 전달에 있어 타사 보유 물질 대비 단위 세포당 유입되는 분자 수에서 월등한 효과를 보여준다. 이러한 뛰어난 투과 능력은 치료제와 화장품 분야의 다양한 unmet needs에 대응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 연구의 중점은 네오리젠바이오텍이 INCI에 등재한 혁신적 성분인 NR-FGF2, NR-EGF, 그리고 NR-보툴리늄 톡신(BTX)의 효과와 기능에 있다. EGF, FGF2와 같은 성장인자들은 세포 외막에 존재하는 특이적 수용체(receptor)와 상호작용해 세포 내 신
#메추라기 난각막 펩타이드 난각막은 70μm 정도의 단백질성 섬유상 박막으로 예전부터 열상(laceration) 등의 치료에 사용됐던 사례가 있으며 중국(명나라 시대)의 ‘본초강목’에도 기재돼 있다. 이 섬유상 단백질은 한때 케라틴으로 분류됐지만1)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데스모신(Des)과 이소데스모신(Isod)을 포함함으로써 엘라스틴 유사 단백질일 것으로2) 생각되고 있다3). 그림1 HA4의 구조도 열상 치료에 대해서는 난각막에 항균, 항곰팡이와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높은 친화성이4) 밝혀지고 있지만 저분자 히알루론산(HA4)(그림1)의 관여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열상 시 조직을 구성하는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이 절단된다. 히알루론산은 집적된 면역 담당 세포에서 최소 단위의 분자량 820으로 분해돼 HA4가 형성된다5). HA4는 세포 증식 촉진, 세포외기질 형성, 혈관 신생, 필라그린 생성 등 신규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난각막의 열상 치유에 유효한 메커니즘은 상처 커버와 집적된 면역 담당 세포에 대한 HA4의 작용일 것으로 생각된다. 히라마쓰(平松)팀은 수용성 난각막이 진피 섬유아 세포를 증식시켜 세포외기질의 특히 Ⅲ형 콜라겐을 생산하는
# 키즈(kids) 연구로 산업 빅뱅을 일으켜라! 저출산, 초고령사회가 점점 더 가속화되면서 의료, 사회복지제도를 비롯한 나라의 장래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교육에서도 사회로 이어지는 의식이 높아지고 현역 고교생 등이 대기업과의 공동 개발로 결과를 내는 예도 나오고 있다. Sunshine delight사와 KOSE사가 아이들용으로 친환경 UV케어 상품을 개발(https://www.sunshinedelight.net/), Plunger는 (주)공문교육연구회에서 화장실의 젠더 문제 해결에 힘쓰고 있다(https:/plunger-toilet.studio.site/). 일본 내 총기업 수의 99.7%, 노동자 수는 70%에 이르는 중소기업도 이러한 아이디어와 행동력이 풍부한 젊은 세대의 힘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 머지 않아 창조력이 높아져 부가가치나 노동생산성이 올라갈 것이다. # 반복 축적형의 과학 교육 저자는 학술연구기관과 중소 민간기업 모두에서 과학에 종사한 후 독립, 랩을 시작해 일련의 과학 보급 활동을 하고 있다1)2). 이번에는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아이들 교육의 대처를 소개한다. 아이들의 과학 강좌 라고 하면 슬라임(slime)이
# 섬유아세포서 활성산소종 유발성 세포 장애에 영향주는 수소 나노 버블유용성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 ROS)은 인체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생리 활성물질이면서 동시에 과도한 ROS 생성은 세포 장애를 일으켜 암, 심혈관 계질환 등 생활습관병을 비롯한 질환과 노화 현상의 원인이 된다1). 한편, ROS는 세포 내외에서 정보전달을 담당하는 세컨드 메신저로 적극적으로 이용되며 많은 생명현상이나 생체기능 조절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 그림5 수소 Sure Bubble®의 효과 정리 보통 우리들의 인체 내에서는 ROS의 생산과 항산화 방어 기구의 균형이 유지되고 있지만 자외선, 방사선, 대기오염이나 산화된 물질의 섭취 등에 의해 산화스트레스(ROS의 생산이 과도하게 돼 항산화 방어 기구의 균형이 무너진 상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피부는 직접 자외선, 방사선, 대기오염의 외부 환경의 영향을 강하게 받기 때문에 ROS가 쉽게 발생한다. 사람의 피부는 주로 표피, 진피, 피하조직 3층으로 나눠져 있다. 그중에서도 진피는 피부 중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주요 구성 성분인 섬유아세포는…
#화장품에 사용되는 유지가 토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최근 화장품의 환경 영향에 대한 염려는 점점 고도 화되고 있으며 그 원료에는 환경부하 저감과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과 같은 지구환경을 고려한 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OECD 시험 가이드라인에서는 환경부하에서 ‘생분해성’ 평가가 실시돼 60% 이상 생분해되면 그 물질은 환경 속에서 신속하게 분해되는 Readily biodegradable(쉬운 생분해성)로 판정된다. 한편, 인간의 세계에서는 서로의 입장 존중(Diversity & Inclusion)이 외쳐지고 있는 가운데 미생물 환경의 세계에 있어서도 분해되는 쪽 뿐아니라 분해하는 측-토양 미생물의 입장에서도 검증할 필요성을 생각 해봐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토양의 생물성, 화학성, 물리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평가하는 토양비옥도 지표(Soil Fertility Index 이하 SOFIX)를 물질순환형 농업 분야에서 기반 기술로서 개발해 왔다. 본 토양비옥도 지표 중에 이용되고 있는 총 세균수 해석과 그 생물 활성 평가에 있어서 토양에 농약이나 화학물질 등이 혼입되면 이 수치들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실험 2주째의…
#구아검과 잔탄검의 상승효과 이용한 처방 기술 레올로지 조정제는 퍼스널 케어 제품의 처방에 사용되는 필수 성분이다. 레올로지 조정제는 레올로지적 거동을 변화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레올로지와 센서리(sensory)의 상관관계는 수십 년에 걸쳐 복잡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제품의 거동을 지배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의 결정에 있어서 기본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메커니즘의 이해와 더불어 인간의 감각, 특히 손가락 끝을 통한 감각이 소비자의 기호와 그에 따른 구매 의욕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레올로지(rheology)라는 용어는 그리스어의 rhéō(‘flow’)와 logia(‘study of’)에서 유래해 1920년대에 유진 C. 빙엄(Eugene C. Bingham)이 고안한 물질의 변형과 flow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유동이란 응력의 영향 하에 있는 물질의 연속적인 변형이다. 액체에 힘이 가해지면 액체는 그 힘에 의한 변형(strain)을 완화하기 위해 유동한다. 이 유동에 대한 저항은 계에 따라 다르며 이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가장 자주 사용되는 레올로지 파라미터 중 하나인 점도를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