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농도 계면활성제향료 추출 분석법 최근 샴푸와 제한제, 섬유유연제(이하, 유연제) 등의 생활용품에는 다양한 향의 제품이 많이 갖춰진 것을 볼수 있으며 매장은 다양한 제품으로 붐비고 있다. 사용 상황에 따라서 향기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기분, 기호에 따라 향기를 선택할 수 있어 생활 속에 향기를 받아들여 생활하는 소비자가 많이 존재한다. 생활용품에서 향기의 역할은 주로 두 가지로 나눌 수있는데 하나는 원료 유래의 냄새를 마스킹해 사용성을 향상하는 것, 다른 하나는 향기를 부여해 제품 가치를 향상하는 것이다. 특히 후자는 제품의 이미지와 콘셉트를 전달하는 것, 사용 상황에서의 사용 만족감을 주는 것, 타깃층의 기호성 니즈에 부응하는 것 등 향기에 의해 제품의 차별성을 내어 부가가치를 향상하고 있다. 샴푸와 제한제, 유연제 등 생활용품의 향기는 소비 자의 구매 욕구를 높이는 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향기가 강하고 남기 쉬운 것부터 약하게 남지 않는 것까지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생활용품 중에서도 최근에는 향기에 의한 구매욕이 많은 유연제에 주목해 보면 세탁물을 부드럽게 마무리해 사용감을 향상하는 기능, 세탁으로 생기는 주름을 억제하는 기능
# 화장품 향기의 중독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화장품에 부여되는 향기는 소비자의 화장품 선택에 있어 효능, 디자인, 감촉과 함께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무향료의 화장품보다 부향된 화장품이 긍정적인 인상을 준다든지 향기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이 높더라도 향기가 상품 이미지와 일치하지 않으면 일치할 때보다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화장품의 향료 개발 과정에서 제품 사용 시향기의 선호도나 제품 콘셉트와의 일치도에 관한 조사가 자주 수행되며 특히 거대한 시장을 목표로 한 제품에서는 이러한 조사 평가가 일정 이상으로 높아야 한다는 것이 향기의 목표 품질 중 하나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목표 품질에 맞춰 개발된 향기는 많은 소비자가 싫어하지는 않으나 특징이 부족하고 어딘가에서 많이 맡아본 향기와 같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한편, 롱셀러 화장품 중에는 앞에서 언급한 향기와는 달리 이 세상에서 하나 밖에 없으며 특징이 있어 강한 인상을 주는 향기도 존재한다. 실제로 소비자의 화장품 지속사용 의향을 묻는 질문에서 향기 품질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향기가 이러한 지속적
# 노화성 후각 저하와 관련된 후각 점액 인자의 발견 일본의 코로나19 감염자는 누적 3,300만 명을 넘어 섰으며 이미 4명 중 1명은 감염을 경험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팬데믹이 가져온 것 중의 하나가 후각 장애에 대한 인식이다. 지금까지 자신의 후각 상태를 의식하는 일은 적었을지도 모르지만 다시금 후각의 중요성을 깨달은 분도 많은 것은 아닐까. 냄새 정보는 생활의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위험의 감지, 음식의 풍미, 타인의 인식에서도 중요한 정보이다. 즉, 후각 능력의 저하는 위기 감지 능력의 저하, 식욕의 저하, 커뮤니케이션 장애로부터 심신의 나쁜 상태를 통해 삶의 질(QOL)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후각 저하의 요인 으로는 질병 이외에 노화를 들 수 있지만 노화가 어떻게 후각 저하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 비강에서 흡인한 냄새 분자는 비강 가장 깊은 쪽의 후열(嗅裂, olfactory cleft)에 도달해 후각 점액에 용해된 후 후각상피의 후각 신경세포에서 발현하는 후각 수용체에 의해 인식된다. 지금까지 후각 신경세포나 후각 수용체의 노화에 따른 변화에 대한 해석 예가 보고됐으나 노화성 후각 저하를 충분히…
# 메르켈세포의 멀티 센싱 - 촉감을 담당하는 세포가 향기 성분에 활성화 피부를 통해 생기는 촉감은 통각을 발생시켜 생체 방어를 위한 경고를 할 뿐아니라 우리가 사회와 관계하고 다른 사람과 커뮤니케이션을 하기 위해서 필요 불가 결한 것으로 우리의 감정, 예를 들면 행복감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뇌에 입력된 촉감을 비롯한 감각 정보를 바탕으로 우리가 지각, 판단, 기억, 학습, 운동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이 증가나 주위 환경에 따라 개인 내에서도 변화하는 촉감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자기, 타인, 사회에 대해 건전하고 충실한 일상생활을 보내는 데 매우 중요하다. 촉감은 피부에서 생긴 촉각 자극이 피부 내부에 존재하는 기계 수용체에 수용돼 감각 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됨으로써 발현된다. 기계 수용체의 하나인 메르켈 세포는 직경 약 10μm의 작은 세포로 기저막 상에 존재 하며 털이 있는 부위에서는 수십에서 수백 개의 메르켈 세포가 밀집한 특징적인 클러스터를 형성한다고 알려져 있다. 메르켈세포는 감각 신경과 화학적 시냅스를 형성하고 있으며(메르켈세포-신경 복합체) 느린 순응성(slowly adapting)의 신경 응답을 일으킴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0월호는 특집으로 향기의 최신 연구라는 주제로▲메르켈세포의 멀티 센싱 - 촉감을 담당하는 세포가 향기 성분에 활성화▲노화성 후각 저하와 관련된 후각 점액 인자의 발견 ▲화장품 향기의 중독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농도 계면활성제 중의 향료 추출 · 분석법 ▲기호성이나 자율 신경의 상태에 따라 같은 향기를 냄새만 맡아도 효과에 차이 ▲인체 자율신경 활동에 미치는 1,8-시네올 향의 효용 ▲사할린 가문비나무 가지와 잎에서 얻는 정유와 증류액의 매크로파지 세포에 대한 항염증 작용 ▲인체 후각 수용체를 이용한 향기의 상호작용 연구 등으로 구성됐다. [컬럼] 2023 세계피부과학회(WCD)를 다녀와서 [특집] 향기의 최신 연구 1.메르켈세포의 멀티 센싱 - 촉감을 담당하는 세포가 향기 성분에 활성화 Multisensory nature of Merkel cells-Do they smell? (주)시세이도 미래개발연구소(資生堂 みらい開発研究所) 坂口歳斗 · 堤 も絵 · 加治屋健太朗 2. 노화성 후각 저하와 관련된 후각 점액 인자의 발견 Prope…
[코스인코리아닷컴 주수아 기자] 2023년 제33회 세계화장품학회(IFSCC Congress)가 지난 9월 4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전 세계 1,100명의 화장품 과학자가 참여한 가운데 카밀라 카사 부회장의 개막식으로 개최됐다. 2023년 제33회 세계화장품학회의 발표주제는 ‘미용과학을 다시 생각해 보다’로 3일간76개의 구두발표와373개의 포스터 발표가 이뤄졌다. 2021년 메디선 지디 나바르(Madison G. De Navarre) 젊은 과학자상은 Pechoin의 진휘쭈오에게 수여됐으며 2023년 젊은 과학자상은 한국 성균관대학교의 마르타 곤살베스 교수가 수상했다.카탈란 정부의 오리올 알코바 산업국장은 이 지역의 화장품의 중요성에 대해 연설했다. 저녁 행사는 바르셀로나 식당인 디스프루타르에서 개최됐으며 셰프들의 요리 시연과 칵테일, 참석자들의 교류로 마무리 됐다. # 피부미용의 재발견 학회의 첫날은 무르시아대학의 파코 칼보 교수의 기조 강연으로 시작됐다. 그는 참가자들에게 생각을 달리해 익숙하지 않은 분야에 도전함으로써 현재 하는 일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기를 격려했다. 그는 식물을 Planta Sapiens(생각하는 식물)로 설명하면서 식물…
[코스인코리아닷컴 주수아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3년 10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0월호는 특집으로 '향기의 최신 연구'를주제로▲메르켈세포의 멀티 센싱 - 촉감을 담당하는 세포가 향기 성분에 활성화▲노화성 후각 저하와 관련된 후각 점액 인자의 발견 ▲화장품 향기의 중독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고농도 계면활성제 중의 향료 추출 · 분석법 ▲기호성이나 자율 신경의 상태에 따라 같은 향기를 냄새만 맡아도 효과에 차이 ▲인체 자율신경 활동에 미치는 1,8-시네올 향의 효용 ▲사할린 가문비나무 가지와 잎에서 얻는 정유와 증류액의 매크로파지 세포에 대한 항염증 작용 ▲인체 후각 수용체를 이용한 향기의 상호작용 연구등으로 구성됐다. 포커스에서는 '2023년 제33회 세계화장품학회(IFSCC) 스페셜 특집'으로 지난 9월 4일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전 세계 1…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참조할 수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번역하고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3년 4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3년 4월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78건으로 전월의 163건에 비해 15건이 증가했다. 그러나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23건으로서 전월의 32건에 비해 줄었으며비율도 13%로전월의 19%에 비해 약간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2023년 4월의 한국특허는 공개건수가 전월에 비해 약간 증가했으나 해외 특허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간 떨어지는 추세를 보였다. 2023년 4월공개된 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발모, 육모, 탈모방지’ 분야
# Bioconversion Phyto-Oil Series 올리브, 포도씨, 유채꽃, 피마자, 옥수수, 코코넛등 다양한 종의 식물에서 채취되는 식물성 오일은 Linolen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등의 다양한 지방산, 비타민, 폴리페놀 등 유효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식물성 오일은 피부 본연의 기능 강화, 지질 함량 보충, 수분손실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해 다양한 화장품 원료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식물성 오일의 경우 피부 흡수도가 낮으며무거운 사용감이 나타나 화장품 원료로의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미생물을 사용한 Bioconversion 공법이 사용돼 왔으나 미생물을 사용할 경우 발효 과정 중에 발생하는 발효 취가 강하고생산 시간이 길며미생물의 부산물이 포함되는 등의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때문에 모아캠에서는 식물에서 추출한 Lipase를 이용해 식물성 오일을 Bioconversion시킬 수 있는 지속가능한 기술을 개발했으며이러한 공법을 이용해 Bioconversion Phyto-Oil Series 플랫폼을 구축했다. Bioconversio
# 피부 미생물총에 대한 광 보호 작용 - 높아지는 스킨케어가능성 피부 미생물총은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집단이며 피부 건강을 유지하고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피부 미생물총에 포함되어 있는 Staphylococcus epidermidis, Micrococcus luteus, Bifidobacterium spp., Malassezia furfur 등의 특정한 미생물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미생물들은 태양광에 노출되면 균형을 잃고 피부는 손상되기 쉬운 상태가 되어 버린다. Vytrus사는 태양광 노출 하에서의 피부 미생물총과대사 거동을 포함하는 상태를 포토바이옴(Photobiome) 인자라고 명명했다. 이 미생물들은 태양광과 상호작용하며 특정한 대사산물을 함유한 포토 세크레톰(Secretome)을 생성할 수 있다. 이것을 솔라 포스트바이오틱스(메타바이오틱스)라고 부른다. 솔라 포스트바이오틱스 중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멜라닌과 유로리틴(Urolithin)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Bifidobacterium spp.에 의해
# 중력에 의한 부하에 대항하는 강력한 페이셜 리프팅Gravityl™(그라비틸) 피부 노화 현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최근 보고에 의하면 소비자의 약 50%가 ‘피부 탄력 저하’, ‘페이셜 라인의 무너짐’, ‘이중 턱’ 등의 현상이 피부 노화를 신경 쓰게 되는 사인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현상들은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주요 구성 성분 열화와 재생능력 상실로 인해 야기되지만통상적으로 몇 가지 외적 요인, 예를 들어 ‘자외선’, ‘대기오염’ 등이 관련되어 피부 노화가 가속화된다. 한편, ‘중력’도 영구적이며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작용 하는 피부에 대한 부하이지만 일상적이기 때문에 피부 노화의 주제로 잊히기 쉽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중력이 피부, 특히 얼굴의 아랫부분에서 일어나는 많은 노화의 징후에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속적인 중력 부하에 대해 피부 구성 성분의 재생력을 회복하고 리프팅 효과를 가져올 뿐아니라 웰 에이징의 개혁으로도 이어질 수 있는 성분으로서 본 제품이 개발됐다. 그림1I형 콜라겐의 합성 촉진 Gravityl은 지보단 액티브 뷰티의 마린 바이오 연구시설이 있는 프랑스의 브르타뉴 지역에 서
#포장을 넘어 상품으로 보는 패키지 디자인 필자가 이사로운영에 관여하고 있는 공익사단법인 일본패키지디자인협회(JPDA)는 60년 이상의 역사가 있는 패키지 디자인 단체로 개인 디자이너, 내부 디자이너, 브랜드 오너 기업, 포장 관련 산업의 기업 등 패키지 디자인에 관련된 다양한 직종과 업종의 개인과 법인으로 구성돼 널리 공익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JPDA의 중심적인 사업 중 하나가 격년으로 개최하고 있는 ‘일본 패키지 디자인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널리 작품을 모집해 전형, 디자인 영역의 전문가들이 겨루는 어워드(award)로서 정착하고 있으며 2023년에 20회를 맞이했다. 5월에는 입상, 입선 작품 패키지를 수록한 ‘연감 일본 패키지 디자인 2023’이 발간됐다. 그랑프리의 ‘대상’에 빛난 것은 시세이도 ‘BAUM’. 가구를 만들고 남은 자투리 목재를 패키지로 활용하는 등 ‘수목과의 공생’을 테마로 하고 있다. 이번에 특별 심사위원상을 받은 작품을 비롯해 지속가능성은 큰 조류 이지만 3R(Reduce, Reuse, Recycle)이라는 설계나 구조의 면 뿐아니라디자인으로 어떻게 승화시켜 나갈지, 보다 매력 있는 상품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