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어난 SPF부스트 효과와 사용감 겸비한 무기분체 분산성 향상 폴리머 미세화된 티타늄디옥사이드(TiO2)는 높은 SPF값을 가진 선스크린에 무기계 자외선산란제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널리 보급됨에 따라 선스크린 처방에 이 성분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려면 몇 가지 과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그것은 배합처방 중 또는 피부에서 부분적으로 응집하는 경향이 있어 UV 산란 효과가 저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건 바람직하지 못한 피부백화 또는 불균일한 피부색과 사용감의 저하로 연결된다. 그림1 SOLTEX TM INO Polymer의 작용 메커니즘 본고에서는 무기계 자외선산란제의 선스크린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어프로치를 소개하고 in vivo에서의 SPF 시험결과를 나타냈다. 새로운 아크릴 폴리머 SOLTEXTM INO Polymer는 TiO2입자 표면에 약하게 부착되어 선스크린 제제 중의 TiO2 입자의 클러스터 사이의 간격을 넓히도록 설계되고 있다(그림1). 그 결과 소수성/친수성 처리된 TiO2, ZnO에 의해 오일 중 수분형 에멀젼(W/O, Si)과 수분중 오일형 에멀젼(O/W)의 양쪽에서 SPF 성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했기 때문
Polyglyceryl Fatty Acid Esters의 α겔 형성과 유화 특성 고급알코올에 계면활성제를 혼합함으로써 형성되는 α겔은 오래 전부터 레올로지를 조정하는 목적으로 헤어케어 제품에 이용되어 왔으며 높은 수분유지 기능이나 특이한 감촉으로부터 최근에는 스킨케어 제품에도 응용되고 있다. α-겔이란 라멜라 겔상(相)이 복잡하게 얽힌 겔 네트워크 구조를 이루고 있고 그 결과 에멀젼을 안정화시키고 있는 여러 가지의 상으로 이루어진 콜로이드 형태다1). 그림1 선소프트 α-C에 의한 α겔의 형성확인 (A) DSC, (B) X선산란 스펙트럼 α겔을 크림처방의 기제로서 이용하는 이점은 수용성 물질, 유용성 물질, 불용성 물질 등 많은 물질을 비교적 쉽게 안정적이며 저렴하게 처방할 수 있고, 유성성분이 소량임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으며 게다가 유성성분의 끈적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 α겔은 내부에 다량의 물을 함유할수 있어서 각질층의 세포간지질막에 유사한 라멜라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보수성과 폐쇄성을 기대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2). 일반적으로 α겔은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고급알코올로부터 형성되지만 최근에는 이온성 계면활성제…
아마이드알코올 유도체 이용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는 유화 에멀젼 제제의 개발 화장품 소재로서 아마이드계 화합물은 ‘지방산 아마이드’, ‘알킬 알칸올 아마이드’가 알려져 있으며 계면활성제로서 범용되고 있다1). 최근 ‘계면활성제 프리’를 홍보하는 화장품 제제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가운데 ‘아마이드알코올 유도체’를 합성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했다. 표 아마이드알코올과 고분자와의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한 평가처방 그 결과, 아마이드알코올 유도체 분자 중의 아마이드 결합부위와 카복시(Carboxy)기 함유 고분자가 수소결합을 하여 복합체를 형성함으로써 유화기능을 발현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양자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계면활성제 프리’의 O/W형 또는 W/O형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본고에서 그 검토결과를 소개한다. 카복시기 함유 고분자(폴리아크릴릭애씨드, PAA 라 약칭함)와 아마이드알코올 유도체(알코올 타입은 OLH, 에스터 타입은 OLHA라 약칭함, 그림1)의 존재 하에 물/클로로포름 계면에서 계면장력을 현적법 (縣滴法, Pendant drop method)으로 측정(접촉각 측정기, DMs-401, 일본 協和界面科学社)
독특한 안티폴루션 소재 ‘황벽나무껍질추출물’의 새로운 연구 결과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외적 요인으로 건조나 자외선 등 다양한 요인이 주목받고 있다. 최근 외적 요인의 하나로 대기오염 물질이 주목받고 있으며 안티폴루션(Anti-Pollution) 소재가 다수 확인되고 있다. 안티폴루션 소재는 주로 2종류로 분류되고 대기오염 물질을 피부로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 또는 그 제거를 돕는 것과 피부에 접촉했을 때의 악영향을 완화하는 것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림1 대기오염물질에 의한 MMP-1활성화에 대한 황벽나무껍질 추출물의 억제 효과 Mean±SD, p<0.05 Student’s t-test(n=4) *:대기오염물질 없는 컨트롤과의 유의차 †: 대기오염물질 있는 컨트롤과의 유의차 우리는 황벽나무껍질추출물 후자(後者)의 안티폴루션 효과에 대해서 본지 Fragrance Journal 한국판의 2018년 8월호에서 보고했다1). 황벽나무껍질추출물은 대기오염 물질이나 과산화수소에 의한 표피 각화세포의 염증성 물질과 노화 촉진인자인 IL-8 생성항진과 활성산소(ROS) 생성항진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본고에서는 황벽나무껍질추출물의 안티폴루션 효과의 메커니즘
새로운 에스터와 그 특성 - 고도의 정제기술 이용한 에코머티리얼 유성원료는 화장품에 필수적인 기초 원료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Croda International PLC(영국)의 일본법인 크로다재팬(주)은 식물유지, 왁스, 탄화수소, 에스터 등의 유성원료를 풍부하게 갖추고 있으며 다양화되는 고객의 니즈에 대응하고 있다. 그림1 SR CrodamolTM DNEO 당사는 원료 중에 포함된 미량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독자의 고도정제기술(Super RefinedTM, 통칭 SR)을 갖추고 있어 유성원료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색, 냄새, 산화 안정성, 안전성, 로트 간의 품질 격차를 개선할 수 있다. 이 정제기술은 안정, 안전, 안심하는 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1). 대표적인 제품으로서 CropureTM 시리즈(식물유)2), CrodamolTM 시리즈(에스터오일)이 있고 일본 제조 거점인 시가(滋賀)공장에서 제조, 판매하고 있다. 이번에는 그 제품 라인 업에 새로운 에스터 ‘SR CrodamolTM DNEO’이 추가됐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새로운 에스터는 특징적인 분기(分岐) 구조를 가진 긴 사슬 이염기산 에스터를 SR기술로
Isopentyldiol 이용한 방부제 프리 처방의 실현 화장품에는 제조 시나 보존 시에 있어 방부방미성(防腐防黴性, 썩거나 곰팡이 오염 억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파라벤(Paraben)과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등의 방부제가 배합되어 있다.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은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 수단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이 뛰어난 것이다. 그림1 아이소펜틸다이올의 화학 구조식 그러나 최근 이러한 방부제에 대해 민감하고 피부 자극을 호소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또오늘날 피부에 부드럽고 보다 안전성이 높은 조성물을 요구하는 경향이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에 파라벤과 페녹시에탄올 등의 방부제의 함유량을 줄이려는 시도와 방부제를 함유하지 않는 방부제 프리 제품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펜틸렌글라이콜(Pentylene Glycol)과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에틸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등의 알칸디올(Alkanediol)을 방부제 대용품으로 사용하거나 부틸렌글라이콜(Butylene Glycol, BG) 등의 보습 베이스 성분을 방부조제로 사용하는 것으로 파라벤 등 지금까지 범용되고
새로운 고분자 유화제 이용해 거대한 오일방울 입자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제제의 제조방법 유화물이란 오일과 물로 대표되는 상호용해성이 없는 액체의 한 쪽이 미세한 액체 방울로서 다른 쪽의 액체 중에 분산된 혼합물을 말한다. 또유화물을 만드는 방법은 전상(転相)온도 유화법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부분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유화입자가 미세하며 안정성이 높은 제품을 만들 수가 있다. 표1 PemulenTM 시리즈의 기초 데이터 한편, 계면활성제가 없이 유화시키는 방법도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일 성분의 소요 HLB 값에 관계 없이 안정적으로 유화, 분산시킬 수 있는 3상유화법1) 또는 미립자를 이용한 pickering emulsion은 화장품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소량의 오일과 물의 혼합액에 수십 kHz~수 MHz의 초음파를 발사해 물리 적인 외부의 힘만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나 고분자 유화법 등으로도 안정된 유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2). 특히 고분자를 이용하는 유화법은 도포 시에 특징 있는 감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 보호 콜로이드로서 유화입자를 둘러싸서 응집과 합일(合一)을 방지하는 동시에
현대적 생활 스타일에 기인하는 미용과제와 관련 원료 이제 대부분의 사람은 개인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보유하고 직장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은 기본이다. 남녀노소, 공사(公私)를 불문하고 우리의 생활환경에는 디지털 광(光)을 방출하는 기기가 깊게 침투하고 있어 활동시간의 대부분이 인공 광에 노출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림1 인공 광 노출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네트워크에의 영향 한편,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는 과식의 원인을 만들고 비만은 사회구조를 반영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원래의 연령증가에 따른 대사저하 뿐아니라 비만화되기 쉬운 생활환경이 갖추어져 비대화된 체형을 표준으로 되돌리는 것은 쉽지 않다. 그리고 발전이 두드러진 지역에서는 공장 배기, 자동차 배기가스, 스모그, 미립자 확산 등 대기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오염(pollution)은 염증을 유발한다. 이처럼 현대인을 둘러싼 환경, 생활 스타일에 기인한 미용상의 과제는 셀 수 없이 많다. 그 중에서 1) 인공 광 노출로 인한 손상, 2) 과부족 없는 체형의 유지, 3) 과다한 피지 분비 조절에 초점을 맞춘 화장품 원료를 소개한다. EnergiNius(Gattefossé사)는…
식물 스몰(small) RNA - 스킨케어의 새로운 테크놀로지 마이크로(micro) RNA(miRNA)와 스몰 RNA가 중요한 생물학적 제어인자라고 증명된 것은 1990년 이후이다. 스몰 RNA는 non-coding RNA의 일종이며 게놈(genome)의 제어, 크로마틴(chromatin) 또는 전사생성물(轉寫生成物, transcription product)을 표적 으로 하는 트랜스크립톰(transcriptome) 제어에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림1 PSR 테크놀로지의 추출단계 스몰 RNA에는 22~24 뉴클레오티드(necleotide)로 구성된 miRNA 등이 있다. 사람과 식물 세포 모두에서 miRNA는 발생(생육), 대사와 번식에 작용하며 생물적 혹은 비(非)생물적 스트레스나 질환에 대한 응답 등 여러 공정에 관여하고 있다. miRNA에 의한 제어는 모든 유전자 발현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miRNA는 후생유전 학(後生遺傳學, epigenetics) 제어인자로 여겨지고 있다. 후생유전학이란 DNA 염기서열의 변화를 따르지 않는 변형(modification) 연구 분야이며 후생유전학 마크(mark) 변형을 통해서 환경에서 세
고기능식물 콤플렉스(감초잎, 진주, 당귀, 금은화, 의이인)의 주름개선 효과 여성의 사회진출, 고도 고령화 사회의 도래 등 사회적 배경을 바탕으로 화장품 시장 중에서도 에이징케어 제품의 시장은 증가하고 있다. 여성들이 밖으로 나갈 기회가 많아지면서 나이를 먹어도 언제까지나 젊고 아름다웠으면 하는 욕망이 높아져 에이징케어 제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림1 다양한 주름 대책 메커니즘 그 중에서도 외형의 인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주름’은 가장 니즈가 높고 2011년 7월 화장품 56번째 효능표현으로 ‘건조로 인한 잔주름을 눈에 띄지 않게 한다’가 추가되어 제품에 표시하고 소비자에게 직접적으로 어필할 수 있게 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 2016년 주름을 개선하는 진피를 대상으로 한 유효성분을 포함 의약부외품이 승인된 것을 계기로 2017년에는 표피를 대상으로 한 상품, 2018년에는 표피, 진피 모두 어프로치 하는 상품이 출시되는 등 점차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현대의 복잡한 생활환경에서는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며 더욱 실감할 수 있는 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번에 우리는 마루젠제약(丸善製薬)이 보유한 수백 종의 생약(식물)추출물에서 에이징…
쇠락한 상태의 손상 피부를 복구하는 완전히 새로운 epigenetic 억제 활성 피부 병변은 남녀를 불문하고 사교상, 심리상의 악영향을 가져올 뿐 아니라 염증, 불쾌감, 열감, 통증까지도 일으킨다. 얼룩, 색소침작, 잔주름, 주름, 비늘모양의 피부와 가루를 뿌린 듯한 상태는 모두 불완전한 피부의 징후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보다 영속적인 피부 손상의 일례인 피부 병변은 심한 흉터를 유발할 수 있다. 그림2 Epi-On™에 의한 HDAC 활성 억제 일반적으로 이러한 흉터는 피부에 깊게 파여 있어서 일련의 임상 기법(clinical technique)의 조합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다. 그다지 심각하지 않은 피부 병변에도 색소침착, 자국, 반점이 일시적으로 생길 우려가 있다. 손상 피부 부위에 적절한 치료가 실시되지 않은 경우 광범위하게 거칠어지거나 좁쌀알 같은 것이 생기는 등의 피부 병변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염증을 일으키는 여드름의 영향은 심각하다. 자연 발생적인 피부 손상 외에도 수많은 임상 기법이 존재한다. 각질층 또는 각질층보다 약간 깊은 피부층을 쇠약하게 또는 파괴하기 위해 행해지는 레이저 치료와 스킨 니들링(skin needling), 마
퇴색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피막형성 특성의 아미노변성 실리콘 에멀젼 아모다이메티콘(Amodimethicone)은 모발에 대한 부드러움, 매끄러움, 촉촉함과 같은 컨디셔너에 요구 되는 효과를 발휘하는데 필수 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감촉부여 효과는 아모다이메티콘의 아미노기가 캐치온화되서 앵커가 되는 것으로 얻어지는 모발에 대한 높은 부착성에 기인한다. 그림1 BELSIL® ADM 8600E의 외관 그렇지만 오늘날 헤어케어 제품에 요구되는 새로운 효과, 예를 들어 모발에 대한 열 손상을 막는 히트 프로텍션 효과나 염색한 모발의 퇴색을 억제하는 퇴색억제 효과를 얻는 것은 지금까지의 아모다이메티콘으로 일정한 개량효과는 있었지만 충분한 효과는 얻지 못했다. 한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 siloxysilicate)는 피막제로서 워터프루프성, 롱래스팅, 색 번짐 방지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선케어 제품과 메이크업 화장품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번에 일반적인 아모다이메티콘 단독으로는 커버할 수 없는 상기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Wacker Chemie AG는 독자적인 기술을 이용해 아모다이메티콘과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를 조합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