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개발한 산화세륨 입자의 활성산소종 소거기능 평가 화장품에서 요구되는 기능의 하나로서 ‘자외선으로 부터 피부 방어와 보호’를 들 수 있다. 태양광은 크게 나눠 적외선 영역, 가시광선 영역, 자외선 영역이라는 파장영역이 다른 빛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장이 짧을 수록 에너지가 커진다. 따라서 태양광에서도 단(短)파장 자외선에서 유래된 에너지에서 ‘직접적’으로 피부를 방어ㆍ보호하기 위해 화장품 분야에서는 자외선산란제나 자외선흡수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림1 산화세륨 입자의 첨가에 따른 각종 발생법에서 생긴 ROS의 소거 A) ·OH 소거기능 평가 B) O2·- 소거기능 평가 C) 1O2 소거기능 평가 A-C) error-bar는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N≥2 . 우리는 산화티탄과 산화아연에 이어서 무기(無機) 자외선산란제로서 산화세륨(cerium)에 착안하고 독자적인 입자설계 기술을 사용해 개발한 수(水) 분산이 가능한 산화세륨 입자에 대해서 보고했다1). 세륨은 희토류 원소(rare earth)로 분류되는 원자번호 58의 금속이다. 그 산화물인 산화세륨은 비교적 안전하면서 폭넓은 자외선 파장에 대응하고 있으며 높은 수 분산성을 갖고 있어 비유계(非油系)…
립 화장품에 부가가치를 줄 수 있는 기능성 유성성분 2000년대 전반에 주류였던 누드(nude) 립스틱에 반항하듯이 최근 미용잡지에서는 모든 립스틱의 트렌드 컬러(trend color)와 새로운 기능을 다루고 있다. 여러 가지 컬러 베리에이션(variation)의 립스틱이나 잘 지워지지 않는 립스틱, 틴트 립(tint lip) 등의 새로운 기능을 갖는 립(lip) 화장품이 시장에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립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도 매년 높아지면서 해결해야 할 과제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림1 Plandool TM -MAS와 LUSPLAN TM PI-DA, 또는 LUSPLAN TM DD-DA5에 의한 포수성 상승 효과 일반적으로 립 화장품은 액상 유성성분을 기본으로 하고 왁스, 점증제, 안료, 염료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균일하게 섞이지 않는 고체와 액체를 동일 제제 내에서 안정적으로 만들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각각의 물성, 배합비가 중요하고 그들의 균형이 깨지면 처방과 사용상 여러 가지 트러블을 일으키게 된다. 예를 들어 매트(matte) 타입의 립스틱처럼 안료가 많은 처방에서는 안료의 분산불량, 발한(發汗), 입술 건조 등
입술화장료의 안전성과 사용감 향상의 양립 입술화장료로 사용되는 원료는 저점도유, 고점도유, 왁스, 안료의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역할로서 저점도유는 안료 분산, 고점도유는 윤기와 밀착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 왁스는 오일의 고화에 의한 스틱상 구조 형성의 주역이지만 특유의 무거운 감촉을 가진다. 립스틱을 만들 때 이러한 원료의 종류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이상적인 사용감을 구축해 나가지만 왁스의 무거운 감촉을 줄인 매끄러운 사용감을 실현하려고 하면 스틱 안정성의 저하를 부르는등 안정성과 사용감을 양립하는 것은 립스틱을 만드는데 있어서 큰 과제의 하나이다. 본고에서는 고점도유에서 왁스까지 여러 가지 성상을 가지는 아실아미노산 에스터오일에 의한 립스 틱의 안정성과 사용감 향상의 양립에 대해 소개한다. 표1 각종 아실아미노산 에스터오일의 구조와 성상 아실아미노산 에스터오일은 그 에스터 부위 구조의 차이나 비율에 따라 상온에서 액상의 것에서부터 고형상의 것까지 존재하는 등 폭넓은 성상을 가지고 사용하는 방법도 다양하다. 표1에는 대표적인 아실아미노산 에스터오일의 구조와 성상의 특징을 나타냈다. 세포간지질은 주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매끄럽게 녹는 듯한 립스틱과 무의식적인 행동의 연구 스틱형 립스틱은 일반적으로 색이나 질감 이외에 사용감의 쾌적함이 요구된다. 사용감은 경도(硬度)나 레올로지(rheology)의 차이 등 ‘기제(基劑, 베이스 성분)’ 유래와 외장이나 스틱 지름 등 ‘형상(形狀)’ 유래의 원인이 크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인 기제에서는 경도가 낮고 부드러운 기제를 사용함으로써 무너지기 쉽고 매끄러운 사용감이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부드러운 기제는 부러지기 쉽다는 과제를 갖고 있다. 그림1 실험 모식도5) 이 과제는 슬림 타입의 스틱 용기를 사용해 통의 측면 전체에서 기제를 지지하고 부러지는 일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해 극복해 왔다. 시세이도는 점도가 높은 폴리아이소부텐(polyisobutene)과 점도가 낮은 실리콘오일을 사용해 독특한 매끈함을 가진 기제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에는 기제 유래의 독특한 매끄러움과 부드럽게 무너지는 매끄러움을 겸비한, 녹는 듯한 감촉의 립스틱 기제를 보고한다. 한편, 제품의 사용감 평가는 기제의 물성 평가 외에 모션 캡처(motion capture)를 이용한 제품 사용 중의 손의 움직임 분석1) 등도 사용되고 있지만 주축은 설문평
식물유래 원료의 립 화장품에 대한 활용 현대 화장품에서 석유를 출발물질로서 화학합성에 의해 제조된 원료의 사용비율은 높다. 생산 코스트, 생산 효율, 높은 성능, 높은 순도 등 많은 점에 있어서 석유유래의 화학합성원료는 그 등장 이전에 이용되고 있던 식물 추출 등의 원료에 비해 우수하다. 한편, 석유유래의 원료보다 식물유래의 원료가 안심,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소비자의 가치관은 뿌리가 깊다. 그림1 왁스겔의 SEM 사진(오일제거)와 카드하우스 구조 모델 특히 립스틱, 립글로스, 립크림 등의 립화장품의 원료는 입술이라는 장벽기능이 낮고 거칠어지기 쉬운 부위에 도포하는 경우도 있어서 천연유래 원료를 중심으로 한 제품을 원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립스틱은 선명한 색을 입술에 올리는 것이 사용 목적의 하나이며 이것은 합성색소로 실현되고 있다. 또 잘 부러지지 않고 쉽게 도포할 수 있는 스틱으로 만들기 위해 석유유래의 탄화수소왁스의 사용이 불가피하다1). 그래서 석유유래의 원료를 이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제품과 동등한 성능을 실현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립스틱의 원료로 쓰이고 있는각 원료들의 기능상의 역할을 명확히 한 후 그것들과 대응하는 식물
성별 · 세대별 립 컬러의 인상평가 비교 립 컬러는 얼굴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2017년 수행한 연구1)에서는 립 컬러를 색상별로 하나씩 제시하면서 SD(Semantic Differential)법으로 인상을 평가했다. 이 방법은 정량적인 결과를 얻기 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실험에 시간이 걸리고 실험자극의 개수나 이미지 단어의 개수가 제한되며 실험자극의 차이를 분별할 수 없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립 컬러의 색상 개수와 이미지 단어의 개수를 늘리고 여러 가지 립 컬러를 동시에 제시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그림1 실험참가자에게 제시한 립 컬러 그림1의 립 컬러 총 27색(명도 3단계, 색상 3단계, 채도 3단계)의 인상평가를 수행한 연구2)에서 실험 참가자들은 높은 명도 · 높은 채도 · 노란계열~중간계열 정도의 립 컬러가 ‘젊은’, ‘건강한’, ‘친절한’, ‘귀여 운’ 인상을 준다고 답했다. 그리고 낮은 명도 · 높은 채도의 립 컬러는 ‘어른스러운’, ‘우아한’ 인상, 높은 채도의 립 컬러는 ‘여성적인’, ‘화려한’ 인상, 낮은 채도의 립 컬러는 ‘중성적인’, ‘차
입술 형상의 연령증가 변화 입술은 얼굴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인상에도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로부터 여성의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연지를 바르는 등의 꾸밈이 이루어져 왔다. 피부와 점막과의 전환부위인 입술은 털, 피지선, 피지막이 없고 각질층이 얇아 수분 증발량이 많아 매우 건조해지기 쉬운 부위이다1). 따라서 입술 고민의 대부분은 ‘건조ㆍ각질 벗겨짐’이지만 나이가 들수록 ‘색의 칙칙함’, ‘세로 주름의 눈에 띔’, ‘윤곽이 흐릿해짐’, ‘도톰함의 상실’ 등 외관에 관한 고민이 증가해2) 연령 증가에 따라 입술의 변화를 느끼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림1 입술 실제로 입술의 외관이 변화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고 나이가 들수록 입매가 직선화되고 가로로 길게 평면적인 인상을 강하게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입술과 인상의 관계에 대해서는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는 가로 주름의 존재가 입술의 아름다움을 해치는 요인인 것4), 40대 여성에서 입술이 두껍고 가로 폭이 좁을수록 젊어 보이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5). 본고에서는 입술의 외관 형상의 연령증가 변화에 주목하고 폭넓은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횡단조사와 동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토마토씨앗추출물 함유 사포닌 피부세포외기질에 미치는 효과 미용에 있어서 피부의 주름과 처짐은 외관상 현저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30대 이후의 피부고민으로 항상 상위에 꼽히고 있다. 오늘날 화장품이나 기능성식품 시장에서도 주름과 처짐 예방에 있어 개선을 강조한 상품을 다수 볼 수 있어 피부노화에 고민하는 소비자의 많은 부분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림1 토마토씨앗에서 분리된 사포닌의 구조 피부는 외측에서 표피층,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피부의 탱탱함과 탄력을 담당하는 것은 주로 진피층이다. 진피층은 주로 섬유아세포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세포외기질은 피부의 탄력에 크나큰 영향을 미치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세포외기질의 구성 이상은 주름과 처짐의 큰 원인이 된다. 따라서 피부 세포외기질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것은 피부의 컨디션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저자들은 사포닌을 함유한 토마토씨앗추출물에 주목하고 미용 소재로 세포외기질에 대한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해 지난해 10월에 기능성 원료 ‘토마토씨앗추출물’로 출시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Tie2 활성화 촉진하는 식물추출물 내외 미용 효용 피부의 아름다움은 연령증가에 따른 생리적 기능의 쇠퇴로 대표되는 내적 요인과 자외선 등으로 대표되는 외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소비자의 항노화 의식이 높아지면서 미용시장도 확장되고 화장품에 의한 외측으로부터의 관리 뿐 아니라 식품 미용 소재를 활용한 내측부터의 관리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식품 미용 소재는 2001년 식약(食藥) 구분 개정 후 콜라겐이나 히알루론산, 플라센타 등으로 대표되는 많은 기능성 소재가 시장을 확보 하고 에비던스(evidence) 연구가 활발해졌다. 표 월도 잎 추출물의 Tie2 활성화 작용 또 2015년 시작된 기능성표시식품 제도가 내외 미용 시장을 더욱 활성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피부에 대해서는 글루코실세라마이드나 히알루론산 나트륨을 기능성 관여 성분으로 하는 보고가 많이 보이고 있다. 더불어 피부 건조가 고민이 되는 사람을 대상으로 기능성표시식품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도 늘고 소비자도 한층 더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상품을 원하게 됐다. 본고에서는 연령증가에 따른 모세혈관의 기능 저하가 피부 기능을 저하한다1)는 것에 주목하고 외용에 의한 미용
실크의 내외 미용 효과 누에가 만들어 내는 고치(그림1)는 거대한 분자구조를 가지는 단백질을 주체로 하며 가느다란 섬유가 겹겹이 서로 겹쳐져 있는 층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층상 섬유를 실크(silk, 絹, 명주)라고 부른다.실크는 섬유의 여왕으로 수 천년 전부터 고급 의류 소재로 전세계에서 이용되어 왔다. 클레오파트라와 히미코(卑弥呼, 일본 고대 시대의 여왕)도 실크를 애용했으며 섬유로서의 이용은 사람들의 역사와 다를 바 없을 만큼 오래됐다. 실크의 생산은 기원전 3000년경 중국에서 시작됐다고 한다. 기원전 1000년경 인도, 페르시아 등의 가까운 중동을 거쳐 유럽으로 견직물이 퍼져간 실크로드의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하며 그 당시에는 금과 같은 가치로 거래됐다고 한다. 그림1 누에고치 일본에 양잠기술이 전해진 것은 기원전 200년경으로 히미코 시대에는 중국에 견직물을 선물했다고 한다. 메이지 시대에는 제사(실의 제조)의 기계화가 진행됐으며 동시에 고치를 만드는 양잠 농가도 전국으로 퍼져 성수기에는 농가의 40%에서 양잠이 행해졌다. 쇼와(昭和) 초기에 생사(生糸, 명주실)는 일본 수출의 40~70%를 차지했으며 세계 제일의 생사 수출국이었다.
콜라겐, 히알루론산 경구(經口) 섭취 피부 효과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콘드로이틴황산(chondroitin sulfate) 등은 세포외매트릭스의 주성분이며 경구 섭취되는 기능성 소재로도 주목받고 있다. 섭취 효과를 강조하는 근거로 거론되는 것이 ‘나이와 함께 감소하는 OOOO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서 OOOO을 적극적으로 섭취합시다’라는 것이다. 정말로 그럴까? 그림1 식품 중에 포함된 콜라겐 5g에 해당되는 양 저자가 경단백질(硬蛋白質, scleroprotein) 이용 연구에서 콜라겐 섭취 효과에 관한 연구를 했던 초기에 이러한 관련 학회에서는 믿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이해를 위해서는 어떤 연구를 해나가면 좋을까? 를 생각하면서 진행해 왔다. 본 연구는 콜라겐을 대표로 하는 세포외매트릭스의 기초부터 응용에 관한 연구를 실시했다. 해양성(海洋性) 콜라겐의 가능성에 착안해 제조방법부터 이용까지 연구를 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주목도가 높은 콜라겐, 히알루론산 경구 섭취에 의한 피부의 효과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해설해 나간다. 기능성 식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콜라겐 재료는 주로 돼지 피부와 틸
건강식품 안전성과 품질관리 - 코엔자임Q10 함유 건강식품 품질관리 이른바 ‘건강식품’은 법률상의 정의는 없고 널리 건강유지 증진에 이바지하는 식품으로 판매,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서플리먼트(supplement)는 일반적으로 일상의 식사에서는 섭취하기 어려운 영양소나 성분을 보충하기 위한 식품을 나타낸다. 그런데 최근에는 과학적으로 생체에 대한 필요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것도 서플리먼트로서 취급되고 있는 것이 현 상황이다. 그림1 식품과 의약품의 분류 식품을 크게 분류하면 특별용도식품, 보건기능식품과 일반식품으로 나눌 수 있다(그림1). 이 중 일본에서 식품의 기능성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은 보건기능식품 중 ‘특정보건용식품(특보)’과 2015년 4월부터 새롭게 도입된 기능성표시식품이다. 특히 이 기능성식품은 인체에 대한 식품성분의 기능성을 기업 등의 책임으로 표시할 수 있어 시장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이미 제도의 도입에서 3년여 만에 기능성표시 신고건 수(2018년 6월 8일 시점에서 1,318건)가 특보를 넘었다고 한다. 소비자청은 최근 인터넷 통신판매로 구입한 제품에서 발생한 사고와 건강 피해에 대해 공표하고 있다. 전국 소비자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