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로에베라 유래 식물스테롤은 여성호르몬 저하상태에서 피부 광노화를 예방한다 アロエベラ由来植物ステロールは,女性ホルモン低下状態での皮膚光老化を予防する Phytosterols derived from Aloe vera (Aloe sterol) supplementati on prevents skin photoaging acceration by estrogen deficiency 齊藤万里江(마리에 사이토, Marie Saito) 姚 瑞卿(루이킹야오, Ruiqing Yao) 田中美順(미야키 타나카, Miyuki Tanaka) 三澤江里子(에리코 미사와, Eriko Misawa) 山内恒治(고우지 야마우치, KoujiYamauchi) 阿部文明(후미아키 아베, Fumiaki Abe) 표1여성호르몬(에스트로겐)의 피부에 대한 작용 1. 서론 여성호르몬 분비가 저하된다. 이른바 갱년기 이후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피부에 관련된 변화는 ‘건조감’, ‘탄성과 유연성 상실’, ‘기미 증가’ 등을 열거할 수 있다)~3). 일반적으로 갱년기 증세 치료로서 실시되는 호르몬 보충요법(hormon replacement therapy : HRT)에서는 피부의 비박화(菲薄化, 피부가 얇아짐)가…
여성호르몬 배합 육모제女性ホルモン配合育毛剤 Ethinylestradiol-containing hair tonic 安原美帆(야스하라 마호, Miho Yasuhara) 茂呂 修(모로 오사무, Osamu Moro) 표1 육모제의 유효성분과 작용 1. 서론 탈모, 박모(薄毛)에 관해서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남녀노소의 고민 거리이다. 박모의 치료의 역사는 지금부터 5000년 전 고대 이집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된다. 다양한 치료법이 제안되었으며 사람들이 다양한 물질을 먹고 바르는 등 어렵지 않게 그 모습이 상상이 가능하다. 평균수명이 비약적으로 늘어나 ‘인생 100세 시대’가 도래한 지금, 이전보다 더욱 사람들은 젊어 보이는 용모나 외관 등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됐다. 2. 의약품, 의약부외품의 육모제 유효성분 길고 긴 치료법 탐구의 역사에도 불구하고 일본에서 탈모, 박모에 관한 치료의 일반적인 의약품이 발매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1973년에 ‘카로얀’이 다이이치제약(주)(현 : 다이이치산쿄헬스케어(주))에서 발매됐다. 이 제품의 유효성분에는 원형탈모증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인 프로진 외용액의 유효 성분인 carpronium chloride가 배합됐다. 19
여성호르몬이 두발 모유두 세포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6-Banzylaminopurine의 작용 女性ホルモンが頭髪毛乳頭細胞に与える影響の解析と 6-Banzylaminopurineの作用 E2 affects the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hair biology on dermal papilla cells, and similar role played by 6-Benzylaminopurine 엔도 유지로(遠藤雄二郎, Yujiro Endo) 그림1 여성 모발 볼륨의 연령별 추이(문헌 4에서 인용) 1. 서론 최근 박모(薄毛, 숱이 적은 모발) 때문에 고민하는 여성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을 위한 두발케어제품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여성의 박모 대책에는 신체적 변화를 동반하는 케어는 물론이거니와 남성에 비해 정신적인 케어도 필요하다. 정신적인 케어를 위한 단기적 방법으로 박모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염색, 가발의 사용, 모발의 볼륨을 내기 위해 헤어케어 제품을 사용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자신의 모발 양 자체를 늘리기 위해 육모(育毛)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의 육모제는 충분
폐경기 호르몬 요법 ─ 에스트로겐에 의한 안티에이징의 현재 閉経期ホルモン療法 ─エストロジェンによるアンチエイジングの現在 Menopausal hormone therapy: current perspective on estrogen’s anti-aging effects 寺内公 寺内公一(데라우치 마사카즈, Masakazu Terauchi) ▲그림1 MHT의 CAD 예방효과에 대한 연령과 폐경 후 년수(年數)의 영향(메타 분석) 1. 서론 호르몬 대체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 현재, 국제적으로는 폐경기 호르몬 요법(Menopausal Hormone Therapy, MHT)으로 불리는 일이 많아지고 있음-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증상 완화와 질환의 치료 목적, 무증상 폐경 후 여성에게 에스트로겐 결핍에 따른 여러 질환의 위험 감소와 헬스케어를 목적으로 하는 두 가지 측면을 갖는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후자가 당연히 MHT 안티에이징으로서의 측면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이에 관한 평가는 현재도 여전히 흔들리고 있다. 본고에서는 에스트로겐에 의한 안티에이징의 역사적 경위와 현 시점에서의 위상에 대
사드영향 완화 글로벌화 가속화 새로운 소비 주체 부상 전문가 좌담회, 2018년 화장품 산업 전망한다 * 일 시 2017년 12월 18일 * 장 소 한국폴리텍대학 제3공학관 제1회의실 * 사 회 길기우 코스인 발행인 * 참석자 김기환 연구소장(메가코스), 김승중 총무간사(대한화장품OEM협의회), 김신겸 사장(성진플라스틱), 김주덕 교수(성신여자대학교), 노석지 전무이사(인핸스비), 신송석 상무(SK바이오랜드 연구소장), 안인숙 대표(진셀팜), 최상숙 교수(충북대학교) * 정 리 장미란 편집국 팀장 코스인(대표 길기우)은 지난해 12월 18일 한국폴리텍대학 제3공학관 제1회의실에서 본지 편집위원과 업계, 단체, 학계 등 전문가들을 초청해 2018년 화장품 산업 전망을 토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2018년 화장품 산업 전망 전문가 좌담회는 2018년 변화되는 국내외 화장품 법규와 제도 변화 등 시장 환경을 짚어보고 화장품 뷰티 산업의 주요 이슈를 한발 앞서 살펴보는 시간으로 진행됐다. 특히 해외 시장 진출과 관련한 부분에 시선이 모아졌다. 이번 좌담회는 본지 길기우 대표가 사회를 맡아 전문가들의 공통질
위생 마스크가 얼굴의 매력과 크기를 인식하는데 미치는 효과 衛生マスクが顔の魅力と大きさの知覚に及ぼす効果 The effects of sanitary mask on perception of facial attractiveness and size 河原純一郎(가와하라 준이치로, Jun-ichiro Kawahara) 宮崎由樹(미야자키 유키, Yuki Miyazaki) 그림 2 실험에서 사용한 얼굴 자극과 평가화면의 예 (이 이미지는 실제 실험에서 사용한 것은 아님) 1. 서론 얼굴은 사회적인 의사소통의 출발점이 된다. 감정과 행동 상태를 상대에게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창구가 된다. 또한 지금 일하고 있는 작업과 관계가 없더라도 얼굴은 주의를 끌게 된다. 그러나 어떤 얼굴이라도 똑같이 취급되는 것은 아니고 특히 매력적인 얼굴이 더 관심을 끌게 된다. 이외에도 매력 있는 얼굴은 건강하게 보이며 지적, 외향적, 사회적 능력이 있다고 평가되기 쉬운 등 사회적으로 이득이 있다. 얼굴 매력에는 어떤 요인이 관련되어 있는가에 대해 수많은 연구가 진행됐다. 특히 얼굴의 대칭성과 평균특성, 피부결이나 피부색은 문화에 관계없이 얼굴 외형의 매력에 큰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알
얼굴의 매력을 과학화하다 표정연구에서 생각하는 미용연구의 전망 表情研究から考える美容研究の展望 Prospects for the application of facial expression research to beauty research 清水建二(시미즈 겐지, Kenji Shimizu) 그림. 표정연구에서 생각하는 미용연구의 전망 1. 서론 본고는 표정연구 관점에서 미용연구의 전망을 생각하는 학제적인 논고이다. 필자의 전문분야인 표정분 석은 사람의 얼굴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그 움직임을 감정으로 변환해 그 감정이 어디에서 생긴 것인지를 추측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 표정분석의 연구결과에서 미용연구를 바라봄으로써 미용연구 발전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우선 표정연구의 흐름을 소개한 후에 얼굴 움직임을 계측하는 시스템인 FACS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표정연구에서 미용연구에 두 가지를 제안한다. 하나는 표정연구와 화장이 주는 인상연구를 서로 융합시키는 학제연구에 대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화장품 불만족도 조사에 표정분석을 도입하는 것이다. 2. 표정연구의 궤적과 만국공통성 표정연구가 감정과학의 세계에 가장 크게 미친 영향은…
얼굴 매력의 주의(注意) 과정 : 고속순차시각제시(RSVP)에 의한 검토와 이용 가능성 顔魅力への注意過程:高速逐次視覚提示による検討とその利用可能性 Attentional moduration onto facial attractiveness : Investigation using Rapid Sereal Visual Presentation (RSVP) and its psychological availability 川畑秀明(가와바타 히데야끼, Hideaki Kawabata) 中村航洋(나카무라 고요, Koyo Nakamura) 그림 1 Nakamura & Kawabata(2014)에 의한 고속순차시각제시(RSVP) 과제의 자극 제시 개략도 1. 서론 사람은 다른 사람의 내면에 대해서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물에 관한 여러 측면에 대해서 얼굴을 보고 그것을 단서로 판단을 해버린다. 사람은 다른 사람의 얼굴을 통해 인물의 감정과 건강 상태 등 일시적인 성질(상태) 뿐만 아니라 인물의 퍼스낼리티(personality)나 면역 기능, 내분비 또는 능력이라는 지속적인 성질(특성)에 관한 정보를 얻으려고 한다. 얻은 결과가 인물에 대해서 바른 정보를 포함하고
아름다운 미소 만들기에 관한 연구 美しい笑顔づくりに関する研究 Study of Creating Beautiful Smiles 菅原 徹(스가하라 도오루, Toru Sugahara) 그림1 뒤셴 미소의 기하학적 특징 1. 서론 ‘미소보다 나은 화장은 없다’고 하듯이 미소는 자주 최고의 화장에 비유된다. 실제로 메이크업을 한 얼굴보다도 노 메이크업의 미소가 더 매력을 느끼기 쉽다는 평가 결과도 있다. 기억에 남고 멀리서도 식별할 수 있어 시야의 흐릿함에 대한 강한 미소 형성의 매력 효과는 화장과 마찬가지로 얼굴의 시각 우위성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어른이 되어 미소 짓는 일이 줄었다’, ‘미소를 잘 만들지 못 한다’라는 소리를 듣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것에 응하듯 미소에 초점을 맞추고 촬영하는 디지털 카메라나 미소의 강도를 실시간 측정하는 시스템 등이 상품화되고 있다. IT화가 진행되고 고속 대용량 정보 전달이 가능해지면서 대면(対面)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기회가 감소해 가는 가운데 미소에 의한 정보 전달의 친화성과 심신의 건강 효과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필자는 감성공학 영역에서 ‘감성 형성을 목표로 한 미소의 구조와 창출에 관한 연구’를 계속해 왔다.
화장의 착시효과 - 얼굴 연구와 착시연구의 융합 化粧の錯視効果―顔研究と錯視研究の融合 Illusory effects of facial makeup ― Integration of face research and illusion research 森川和則(모리카와 가즈노리, Kazunori Morikawa) ▲ 그림1 (A) 쌍꺼풀·애교살 메이크업과 (B) 마스카라·인조 속눈썹에 의한 Delboeuf 착시 (A) 왼쪽 눈과 원이 오른쪽보다 크게 보이지만 실은 같은 크기이다. (B) 마스카라, 인조 속눈썹(좌)에 의한 모리나가·노구치 착시. 왼쪽의 눈과 원이 오른쪽보다 크게 보이지만 실은 같은 크기다. 1. 서론 디지털 카메라가 풍경이나 인물을 그대로 촬영하는 것처럼 인간의 눈은 외계(外界)를 그대로 복사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그것은 큰 착각이다. 인간의 눈에 보이는 ‘현실’은 모두 뇌가 망막으로부터의 입력을 분석, 해석해 추측한 결과이지만 어디까지나 추측이기 때문에 반드시 정확하지는 않고 물리적 현실과 그 해석인 주관적 현실 사이에는 종종 다소 차이가 있다. 그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착시’라고 불린다. 어느 현상이 ‘착시’이기 위한 조
얼굴의 매력을 과학화하다 화장시의 밝기와 색온도가 대인인지에 미치는 영향과 화장의 농도에 관한 연구 化粧時の照度と色温度が対人認知に与える影響及び化粧の濃さに関する研究 Interpersonal cognition affected by il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during makeup and a study on heavy makeup 齋藤美穂(사이토 미호, Miho Saito) ▲ 그림1 연구1 : 자극 이미지(평균 얼굴) 1.서론 필자가 화장 심리학에 착수한 계기는 일본과 아시아의 하얀 피부 기호에 대한 심리적 배경에 대한 탐구에 있었다. 지금까지 실시해 온 색채 기호의 국제 비교 연구를 통해 일본과 아시아에서 흰색에 대한 선호도가 공통적으로 높은 것과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하얀 피부 기호가 밝혀져 그 심리적 배경을 탐구하기 위해 일본, 인도네시아, 중국에서 실시한 피부의 색과 피부 상태(살결) 기호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피부색에 대한 기호와 문화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지만 본고에서 소개하는 두개의 연구는 모두 일본인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1에서는 화장시 조명의 밝기와 색온도의 차이가 주는 인상의 변화,
얼굴의 매력을 과학화하다 얼굴을 매력적으로 보이게 하는 안경과 메이크업의 연구 顔を魅力的にする眼鏡とメイクの研究 Study on eyeglasses and makeup and that make the face attractive 中西さつき(사츠키 나카니시, Satsuki Nakanishi) ▲ 그림2안경에 의한 착시 1. 서론 화장에 의해 눈이 크게 보이거나 얼굴을 작게 보이게 하는 것은 착시이며 얼굴과 화장의 착시와 그 메커니즘, 얼굴에 주는 영향에 관해서는 화장심리학, 지각심리학 분야 연구에서 더욱더 명확해지고 있다. 또한 경험 측면에서도 화장을 하면 얼굴이 매력적으로 변하며 화장이 얼굴에 미치는 인상변화에 관해서는 많은 여성들이 실감하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얼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화장 외에도 있다. 그것은 안경이다. 얼굴을 인지하는데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얼굴의 윗부분이다. 그 중에서도 눈은 입만큼이나 사물을 표현한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사회생활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 눈의 인상을 크게 바꾸는 것이 안경이기 때문에 얼굴에 대한 영향이 큰 것도 당연하다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2D인 화장과 비교해 안경은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