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류조절기능과 피부와의 관계에 대해서 피부의 혈류는 열 운반에 의한 체온조절이나 외부환경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 피부조직으로의 영양 공급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생체에 필요 불가결한 것이다1)2). 그 역할에서 피부 혈류는 일정하지 않고 외부환 경의 환경변화나 조직의 에너지 수요에 따라 항상 조절되고 있다3). 즉, 피부에서는 필요한 때에 필요한 장소에 혈액을 전달하기 위한 ‘혈류조절기능’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피부혈류의 조절에는 전신성(全身性)과 조직국소성(組織局所性)이 있다. 전신의 혈류조절기능은 체온이나 혈압조절과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신경계의 지배에 의해 피부 심부(深部) 혈관(세동맥, 세정맥)의 혈류가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자율신경이 관계되는 혈류조절기능이 전신의 피부 건조상태와 관계되는 것4), 피부 장벽기능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5) 전신의 혈류조절기능은 피부성상과 관련될 가능성이 제시됐다. 그림1 피부에서의 혈관구조 그러나 전신의 혈류조절기능의 평가부위에는 팔이나 손가락을 자주 이용하는데 반해 피부성상은 얼굴 등 다른 평가부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피부성상의 평가부위와 근방의 국소적인 혈류조절기능을 조사
#배양세포 이용한 새로운 어프로치, 여성호르몬이 피부의 장벽기능에 미치는 영향 여성의 생리 주기를 조절하는 2가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Estrogen, EST)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PROG)은 생리 주기에 따라 분비량이 변화하고 생식작용 뿐 아니라 여성의 신체에 다양한 영향을 가져온다1). 피부에의 영향에서도 생리 주기와 관련이 있으므로 많은 여성은 생리 주기에 따른 피부의 불안정과 변화를 경험한다. 생리 주기에 따른 피부의 불안정은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지만 개인차와 연령대에 의한 증상의 차이도 크다. 따라서 피부 상태의 변동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최적의 스킨케어에 대한 구체적인 대처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여성의 약 30%가 생리 주기의 특정 시기에 피부 트러블이 확인된다고 느끼고 있으며 그 중 72%가 생리 전에 피부 변화를 경험한다고 응답했다2). 또 피부장벽의 지표인 경피수분손실량(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은 생리 전에 증가하고 혈류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그림1 E2 또는 PROG 단독…
#피부에 갖추어진 염증 저항력에 의한 기미에의 접근법 기미는 많은 여성들이 안고 있는 피부 고민 중 하나이다. 그래서 화장품 업체들은 미백 화장품의 제품개발에 주력하고 기미의 고민 해결로 접근해 왔다. 피부에서 기미 형성의 한 요인으로서 자외선 노출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의 염증을 들 수 있다. 케라티노사이트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성, 분비해 피부에 염증반응을 야기시킨다. 또 염증 시의 세포에서는 IL-1α나 IL-1β 등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영향에 의해 엔도세린-1(ET-1)이나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COX-2)의 mRNA 발현량도 증가하는 것이 밝혀져 있다1)2). ET-1, COX-2를 매개로 생성되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은 멜라노사이트 자극 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생리활 성물질의 증가는 기미의 형성으로 연결된다3)4). 즉, 기미의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있어서의 과잉 염증반응 억제와 멜라노사이트 자극인자의 작용 억제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림1 인체 피부조직절편의 IL-37 면역염색 이미지 지금까지도 염증반응이나 그 후의 멜라노사이트 자극인자의 증가에 대해서 다양한 유효성분이 개발되고…
#이미지로 보는 감각 신경과 피부장벽의 관계 피부는 몸의 가장 바깥쪽에 존재하며 항상 바깥 세상에 노출되면서 몸을 보호하고 있는 조직으로 바깥쪽부터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부 장벽은 표피에 형성되어 있고 죽은 세포로 형성되어 있는 ‘각질’과 각질 바로 아래 세포가 형성되어 있는 ‘타이트정크션(tight junction)’이라는 2개의 장벽이 존재한다. 이 장벽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며 바깥세상으로부터 이물질 침입을 막거나 체내에서의 수분 증발을 막을 수있게 되어 있다. 또 우리는 뜨거움이나 차가움을 느끼기도 하고 무엇인가에 닿는 감각을 피부를 통해 느끼지만 실제로는 피부에 존재하는 신경이 느끼고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1 (A) 인체 피부 검체와 (B) 마우스 피부의 3차원 면역 조직 염색 이미지 최근 정상적인 피부에서도 표피 내에서는 표피를 구성하는 각화(角化)세포 외에 신경 섬유가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상당히 표면 가까이까지 신경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 졌다1). 그러나 표피 장벽과 신경을 동시에 해석한 연구는 지금까지 실행되지 않았고 실제 피부 장벽과 신경의…
이승훈 현대바이오랜드 연구소장 1997년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미생물공학과 공학사, 2002년 건국대학교 대학원 미생물공학과 공학석사, 2018년 건국대학교 대학원 생물공학과 공학박사, Ph.D., 2001년~2018년 일동제약 바이오R&D 수석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 연구팀장, 2018년~현재현대바이오랜드 연구소장 * 학회활동 : 2019년~현재 한국미용학회 기초과학분과 이사, 2019년~현재 대한화장품학회 정회원, 2018년~현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정회원 * 주요 발명특허 : 4중코팅유산균의 제조방법 외 11건, 용암해수미네랄코팅 프로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외 5건, 화장품용 더마바이오틱스 제조방법 외 4건, 유산균 하이브리드 바이오셀룰로오스 마스크 시트 제조방법…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참조할 수있도록 한국과 일본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매월 보도한다. 한국과 일본에서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번역하고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0년5월 공개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0년 5월 공개된 한국 화장품 특허는 총 235건으로 4월 131건과 비교해 104건이증가했다. 5월 특허출원 중외국에서 출원, 공개된 특허는 43건으로 지난 4월과 비슷했다. 반면, 국내 특허출원 건수가크게 증가했다. 국내 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항노화, 항산화’ 분야가 20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자외선 차단, 흡수, 광방어’ 분야가 16건을 차지했다. ‘피부미백’ 분야, ‘항염증, 아토피성
#피부가 지닌 힘을 고찰하다 피부는 생체의 표면을 덮고 외부환경과 접하는 장기(臓器)이며 생명유지와 관계되는 ‘보호막’, ‘열교환기’, ‘센서’ 역할과 심신의 상태를 나타내는 ‘거울’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피부가 생체에서 하고 있는 역할을 언급하고 나아가 각각의 역할에 관련된 화제를 하나 다루고 그 속에서 피부가 가진 힘을 생각한다. 피부는 자외선이나 미생물, 화학물질 등 생체 외부로 부터의 이물질 침입이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 한편, 체내에 유지해야 할 약 60%의 수분이 손실되지 않도록 막는 기능도 있다. 그림1 자외선량과 피부 명도의 계절변화 그럼 생체 내부를 지키는 보호막으로서 피부는 계절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사실 피부는 계절을 따라 순응해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피부는 계절의 환경변화를 감지하고 그 환경에 순응하려고 변화하기 때문에 뒤쫓게 되기 마련이다. 계절의 환경변화에서 주요 지표가 되는 것은 자외선, 기온, 습도이며 이 중에서 자외선의 증감에 대응하는 것은 주로 표피의 멜라노사이트를 생산하는 멜라닌 색소의 증감이며 기온, 습도의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은 각질층의 수분이나 모세혈관의
■ 개요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12월호는 특집으로 '피부가 지닌 힘을 고찰하다' 주제로6개 논문을 게재했다. ▲이미지로 보는 감각 신경과 피부 장벽의 관계 ▲피부에 갖추어진 염증 저항력에 의한 기미에의 접근법 ▲배양세포를 이용한 새로운 어프로치를 통해 여성호르몬이 피부의 장벽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혈류조절기능과 피부와의 관계에 대해서 ▲광 수용체로서의 피부 - 멜라놉신에 대하여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ω3 지방산 대사물의 작용 메커니즘 등으로 구성했다. [칼럼] K-뷰티, ‘로컬 코스메틱 진화’가 필요할 때 [테마기획] 2020년 화장품 연구개발(R&D) 분야 이슈는? [특집] 피부가 지닌 힘을 고찰하다 1. 피부가 지닌 힘을 고찰하다, Consider the power of skin, 아름다움과 건강생활 연구소(美と健康生活の研究所) 島上和則 2. 이미지로 보는 감각 신경과 피부 장벽의 관계, Imaging of epidermal barrier and sensory nerve fibers, 이화학연구소 생명의과학연구센터 조직동태연구팀(理化…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기술 전문저널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2020년 12월호가 발간됐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는 연구개발(R&D) 분야 전문 매체다. 프레그런스저널코리아(FJK) 12월호는 특집 '피부가 지닌 힘을 고찰하다'를 주제로 ▲피부가 지닌 힘을 고찰하다▲이미지로 보는 감각 신경과 피부 장벽의 관계 ▲피부에 갖추어진 염증 저항력에 의한 기미에의 접근법 ▲배양세포를 이용한 새로운 어프로치를 통해 여성 호르몬이 피부의 장벽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혈류조절기능과 피부와의 관계에 대해서 ▲광 수용체로서의 피부 - 멜라놉신에 대하여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ω3 지방산 대사물의 작용 메커니즘 등의 특집으로 구성했다. 신소재 신원료는 엘비에이치의 'HEYGIE'와 스미토모 코스메틱스의 'M15030 Leucidal® Liquid J MAX', 일본촉매의 'HEBELYS™', 히구치상회의 'SEALIFT™, GALACTEANE™', BIOLIE와 도코화학의 'Rainb’ Oil'을…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 메디힐을 전개하는 엘앤피코스메틱(주)이 마스크팩 브랜드 최초로 안면 피지 흡유 기술이 적용된 시트 마스크 부직포 원단 제조 방법에 대한 기술 특허를 취득했다. 엘앤피코스메틱은 마스크팩 시트 섬유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에 피지 흡유가 가능한 층상 실리케이트(규산염)를 결합해 피부 부착 시 안면 피지를 흡수함으로써 잉여 유분 제거를 돕는 개질 셀룰로오스 고분자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 기존 단순한 수분 밀폐와 지지체 역할에 그쳤던 마스크팩 시트에 차별화된 피지 흡유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제품 사용을 통한 피부 유수분 밸런스 케어를 기대할 수 있게 된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고기능성 마스크팩 시트 섬유의 개발 배경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뷰티 홈케어족의 마스크팩 수요 증가와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다양해진 소비자들의 피부 고민에 있다. 특히 피부 유수분 밸런스 불균형과 트러블의 원인이 되는 피지 관리의 중요성이 커진 이때 엘앤피코스메틱은 마스크팩 시트에 피지 흡유 기술을 접목, 유분 제거 기능성을 더한 차별화된 시트 마스크팩의 등장을 예고한다. 이청희 엘앤피코스메틱(주) R&a…
# Highly Hydrophilic Polyglyceryl fatty 'NIKKOL DECAGLYN ‘EX’ series' 1. 서론 최근 대표적인 화장품 트렌드로 클린뷰티를 꼽을수 있다. 이 트렌드의 키워드인 Natural, EWG, Vegan, Non-toxic 등으로 알 수 있듯이 ‘Safety’ 관련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기존부터 보고되어 왔던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 화합 과정에서 생성되는 에틸렌옥사이드와 다이옥산의 인체 유해성이 최근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가용화제는 PEG 화합물인 경우가 대부분이다.본고에서는 ‘Safety’ 트렌드에 맞춰 독특한 정제기술로 친수성을 높인 폴리글리세릴 지방산에스테르 가용화제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림1 Low polymer polyglycerin 정제 2. 제품개발 배경 기존의 폴리글리세릴 지방산에스테르는 그림1과 같이 글리세린의 중합과정에서 생성되는 Mono-, Di-, Triglycerin 등 Low polymer polyglycerin의 함량이 많아 높은 가용화력을 가질 수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low polymer polyglycerin의 함량을…
#the solution to extreme conditions 'Flocare SK 425(Thickener)' 1. 소개 점증제는 화장품의 물리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또는 제품을 인체에 적용할 때 적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원료이다. 점증제는 제품에 단단함, 매끄러움, 부드러운 감촉 등을 부여해 제품의 심미적 가치를 배가시킬 수 있다. 점증제의 종류로는 카제인, 알긴산, 잔탄검 등의 천연물질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등의 반합성물질이 있고 합성고분자로는 카르복시 비닐폴리머, 폴리아크릴레이트류 등으로 다양하다. 그러나 높은 전해질 시스템을 가진 제품이나 낮은 pH값을 가진 제품에서 점증의 효과를 크게 낼 수 있는 점증제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Flocare SK 425는 수용성 점증제로써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Flocare SK 425는 염(salt)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고 강산(AHA, BHA, PHA, TDSA)에서도 안정성을 제공해 극한 조건에서도 작용하는 혁신적인 점증제이다. 2. 화학적 물성 Flocare SK 425(INCI : Ammonium Polyacryloyldi methyl Taur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