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계 향장품 소재이용한 친환경 화장품용 마이크로 플라스틱 비즈 대체품개발 최근지속가능성과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대해 노력하려는 의식이 높아지는 가운데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큰 고분자 플라스틱의 사용금지나 삭감을 위한 규제가 각국에서 강화되고 있다. 이미 북미, 유럽과 아시아 국가에서는 마이크로 플라스틱 비즈를 사용한 씻어낼 수 있는 퍼스널케어 제품 등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대체품으로 대체되고 있다. 마이크로 플라스틱 비즈는 5mm 이하의 비즈(작은 구슬) 모양 플라스틱으로서 세안제나 치약 등 씻어내는 유형의 퍼스널케어 제품, 스킨케어, 메이크업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마이크로 플라스틱 비즈 등 마이크로 크기로 제조된 플라스틱을 ‘1차 마이크로 플라스틱’, 큰 크기로 제조된 플라스틱이 자연환경에서 파쇄, 세분화되어 마이크로 크기가 된 것은 ‘2차 마이크로 플라스틱’으로 분류된다1). 그림1 아실화 라이신의 형상을 SEM으로 관찰 (a) 라우로일라이신, (b) N-카프릴로일 라이신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화장품에 사용되는 마이크로 플라스틱 비즈는 피부 촉감과 사용감을 유지할 수 있는 대체품 개발이 기술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
#칡 유래 성분 푸에라린(puerarin) 피부세포 노화억제 효과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는 체외로 꺼내어 플라스틱 접시 위에서 배양하면 증식을 반복하는데 정상 세포는 영구적으로 세포분열을 하여 증식할 수 없으며 어느 기간이 지나면 증식의 속도가 떨어져 최종적으로는 증식을 정지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세포노화(senescence)’라고 한다. 이 밖에 세포는 방사선이나 자외선에 노출되거나 항암제를 처치 받으면 DNA가 손상되어 세포노화가 유도된다. 체내에서 노화한 세포는 신속하게 세포사해서 사라져 없어지는 것은 아닐까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그와 반대로 노화한 세포는 ‘좀비화’해서 체내에 축적된다1). 그림1 진피 섬유아세포의 노화에 따른 영향 이러한 체내에 축적된 노화세포는 아직 노화되지 않은 다른 세포에 악영향을 미쳐 몸 전체의 노화를 촉진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노화한 세포는 인터페론(interferon) 등의 사이토카인이나 성장 인자, 프로테아제 등 여러 가지 물질을 분비해 주위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다른 세포에 작용해 노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SASP
#피부시간멈추고 아름다움유지시키는 두릅나무 발효 추출물 화장품을 통한 노화에 대한 어프로치는 노화에 의해 발생한 주름과 처짐을 개선하는 사후조치와 세포의 노화를 막는 등 사전조치의 2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본고에서는 후자의 사전조치를 더욱 극대화한 현상의 영속적인 유지 ‘피부의 시간을 멈추게 하는’ 것을 콘셉트로 개발한 두릅나무 유래 원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두릅나무에 특수 발효기술을 적용한 두릅나무 발효 추출물(제품명 : 안젤록)은 세포의 연명을 도모함과 동시에 오래된 세포의 제거와 새로운 세포의 재생을 동시에 촉진시키고 피부 시간의 경과를 멈추게 하는 새로운 원료이다. 그림1 두릅나무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두릅나무(Aralia elata)는 널리 일본에 분포하는 갈피 나무과 두릅나무속의 낙엽관목이며 혈당을 낮추거나 소화기병, 신장병 등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으며1) 생약의 원료로 이용된다. 봄에 싹트는 새싹을 ‘두릅 싹’이 라고 부르며 예로부터 봄철 식품으로도 친숙하다. 화장품 원료로서의 두릅나무 유래 원료는 예를 들어 양모 화장품이나2)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효과로 인한 피부 가려움 개선제로 이용된다3). 또케라티노사이트의 이상증식…
#젊음회복열쇠 ‘MITOL’착안한 피부, 모발안티에이징 연구 세포내 소기관의 하나인 미토콘드리아의 주요한 기능으로서 세포의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는 미토콘드리아의 지질막이나 단백질, DNA 등을 산화시킴으로써 그 구성물이나 형태, 기능을 손상시켜 대미지를 준다. 대미지를 입은 미토콘드리아 에서는 한층 더 ROS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 ROS 생성 ⇄ 미토콘드리아 대미지라고 하는 악순환이 생겨 이것이 노화의 하나의 요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1). 따라서 ROS 생성과 노화의 프로세스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림1 Drp1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분열의 메커니즘 또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에서 분열, 융합을 자주 반복해 그 형태를 변화시키고 소포체 등 다른 세포 소기관(organelle)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매우 다이내믹한 세포내 소기관이다.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움직임은 ‘미토콘드리아 다이내믹스’라고 불리고 있어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생성이나 ROS 생성, 세포 증식 등과 깊게 관계되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2). 게다
#메르켈 세포와 피부 노화의 연관성 매일 스킨케어 행동에 사용되는 핸드프레스나 마사지 등 피부에 부드러운 접촉자극은 촉각 수용체, 신경 섬유를 통해 뇌에 전달되어 타액이나 혈액 중의 옥시토신 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2) 접촉자극이 쾌감자극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화장 행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이러한 촉각 기능은 나이가 들면서 떨어지며3) 촉각 기능의 둔화는 피부 상태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각 기능은 쾌감자극을 가져올 뿐아니라 피부의 노화 현상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노화에 따른 피부 노화와 촉각 기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촉각과 관련된 감각 수용체 중에서 비교적 피부 표면(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메르켈 세포에 주목했다(그림1). 그림1 인체 피부의 복부 조직의 메르켈 세포의 염색 이미지 메르켈 세포는 부드럽게 만지는 감각을 수용하는 촉각 세포로서 어류에서 포유류까지 다양한 생물에 존재하고 있다. 사람에서는 물체의 모양과 질감 등을 인식하는 손가락 끝이나 손바닥에 많이 있고 얼굴을 포함한 전신의 피부에 존재하므로 피부 상태나 스킨케어 행동이 가져오는 쾌감자극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생
#세포 활성 저하에 대한 크리스테영향과 개선방법검토 우리 몸은 다양한 세포로 구성되며 각각의 세포는 각자의 기능을 발휘하고 그 역할을 수행해 생명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세포의 기본적인 기능은 노화로 인해 떨어 지고 있다고 생각되며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도 예외는 아니다. 예를 들어, 표피에서는 노화로 인한 턴 오버 속도의 지연1)2), 장벽 기능과 장벽회복 기능의 저하3) 가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노화로 인한 표피 세포의 사이토카 인에 대한 반응성 감소4), 타이트정크션(tight junction)을 구성하는 단백질 감소5)6) 등 표피 세포의 기능 저하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림1 PDL 증가에 의한 세포노화의 확인 진피에서는 노화에 따른 피부 콜라겐 양이 감소해 20세부터 80세까지 약 65%가 감소되며7) 생리 노화로 인해 탄성 섬유의 감소와 단편화가 일어난다고8) 보고됐다. 이것은 노화된 섬유아세포로 인해 콜라겐 합성능력이 감소하고9) 콜라게나아제 생성의 mRNA 수준이 증가한다는10) 사실과 노인으로부터 얻은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엘라스틴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11)에서 볼 때, 섬유아세포의 세포외기질을 대사하는 기능이
#피부노화세포 제거 메커니즘 해명 우리의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는 일정한 세포분열을 반복하면 분열이 정지한다. 이 현상은 Haff와 Swim에 의해 1956년 처음 보고됐으며1961년 Hayflick 팀의 연구에 의해 세포노화(Cellular Senescence)라는 현상으로 널리 인지되게 됐다1)2). 세포노화는 DNA 손상에 따라 일어나고 p53과 p16INK4A(이하 p16)의 작용에 의해 불가역적인 세포 주기의 정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생체에 구비된 암 유발 회피 메커니즘의 하나로서 생각되어 왔다3). 그림1 세포노화에 따른 SASP의 영향 그러나 최근에는 노화세포가 염증성 인자 등을 능동적으로 방출해 주변 조직을 손상시키는 세포노화 관련 분비 현상(Senescence 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SASP)을 통해 종양 형성과 섬유화의 촉진 등 많은 질환에 관여하는 것이 나타나 신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퍼지고 있다4)(그림1). 피부에서도 새로운 세포의공급원인 줄기세포를 비롯해 주위의 세포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노화를 가속시키고 있다고 생각된다5). 노화세포의 제거가 주목된 것은 2004년 Kri
#구매 이력이 없는 고객의 감성을 추정하는 기술 기업에서 고객 데이터는 중요하지만 화장품과 같은 감성이 중요한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에서 개인의 속성 정보와 결부된 구매 이력은 고객에게 어떠한 상품을 권장할 것인가, 어떠한 상품을 어디에 어떻게 배치할 것인가, 그리고 향후 어떠한 상품을 개발할 것인가 등 브랜드 전략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구매 이력이 없는 잠재적인 고객에 대해서는 어떠한 상품을 권장해야 하는가는 속성정보나 매장에서 접하게 되는 판매원의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할 수 밖에 없다. 점포나 점원 사이에 영업 성적의 차이가 생겨 나는 원인의 하나가 될 수 있지만 경험이 부족한 점원이라도 고객의 감성을 높은 정밀도 그리고 신속하게 추정할 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그림1 의성의태어를 수치화하는 시스템에 의한 ‘촉촉함’의 출력 결과 아무리 우수한 고기능 크림이라도 ‘끈적끈적’ 하게 밖에 느끼지 않는 사람에게 팔려고 해도 잘 되지 않는다. ‘끈적끈적’ 하게 밖에 느끼지 않는 사람에게는 조금 ‘산뜻’한 사용감의 보습제가 선호될지도 모른다. 농후한 고기능 크림은 ‘촉촉하다’고 느끼는 사람에게 팔아야 하곤 한다. 지금부터 팔려고 하는 것을 그 고객
#컴퓨터 시뮬레이션 이용한 화장품 개발전개 현재 화장품 개발에서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라도 컴퓨터가 빠질 수 없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관능평가나 측정데이터 등실험결과의 통계해석은 말할 것도 없고 이미지 해석을 조합한 평가 등 많은 상황에서 활용되며 연구 속도는 반세기 전과 비교하면 비약적으로 빨라졌다. 또현재 다양한 데이터가 디지털 형태로 계속해서 대량으로 축적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대량으로 축적된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해 상상조차할 수 없는 응용으로 이어지는 것도 기대된다. 한편, 컴퓨터의 범용화로 인해 데이터 해석이나 축적 뿐아니라 광학 계산이나 MD(분자동력학) 등의 물리 분야, 화학 분야의 시뮬레이션도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데이터 사이언스나 딥 러닝이 대규모 데이터에서 솔루션 창출을 촉진하는 현재의 주류적 응용인데 반해 물리 분야, 화학 분야의 시뮬레이션은 정통적인(orthodox) 컴퓨터 사용법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품 개발에서 물리, 화학적인 견해가 반드시 필요함은 물론이며 연구대상이 복잡해지면 컴퓨터를 이용한 계산기술은 매우 유용한 툴이 된다. 그림1 도포 피부 시뮬레이션 모델 그렇다면 물리 분야, 화학 분야의…
#디지털 테크놀로지활용한 가치 만들기트랜스포메이션 2020년 4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의 확대에 따른 긴급사태 선언 발표1)를 계기로 우리는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가진 가능성을 재인식하게 됐다. 일하는 방법을 나누어보면 재택근무(telework), 원격근무(remote work)가 단번에 확대됐으며, 온라인 회의와 커뮤니케이션이 당연해져 통근과 이동이 반드시 필요 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됐다. 한편으로 종이로 보관된 서류의 확인과 인감을 찍기 위한 출근이 명확해지고 지금까지의 업무 프로세스를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기점으로 재검토하는 것이 일하는 방법을 업데이트하는 것에 연결된다고 많은 사람이 실감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림1 라이온사 R&D가 목표로 하는 “가치 만들기의 트랜스포메이션” 요즈음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해 사업 활동을 변혁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DX)의 추진이 주목받고 있다. DX란 일반적으로 ‘데이터와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해서 고객과 사회의 조직, 프로세스, 기업 문화 · 풍토를 변혁해 경쟁상의 우위 성을 확보하는 것(DX 추진 가이드라인 - 경제산업성…
#AI & AR활용한 화장품 판촉최전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세계적인 감염증의 확대는 우리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다. 요식업, 관광업을 중심으로 경제적인 큰 손실을 일으킴과 동시에 사람이 모이는 것 자체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간주되어 밀접 해지는 행동이 억제되고 있다. 화장품 업계에서도 특히 소비자의 구매 형태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코로나 재난 전과 비교하면 현저 하게 저하된 소비1)도 있지만 상품을 구입할 때 점포에 가기 전 온라인에서 조사를 하는 것이 주류2)가 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도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그림1 일본 업계 전체전자상거래율추이 매장에서 샘플을 접할 기회도 없고점원으로부터 직접 메이크업을 받을 수 있는 터치 업의 기회도 감소해 고객 측에서도 그 요구는 줄어들고 있다. 쇼핑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고 싶다는 수요도 있는 가운데 각 화장품 업체는 다양한 과제를 떠안고 있다. 또항공업 계에서는 아바타라고 불리는 가상공간의 캐릭터를 사용해 가상 여행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다. 화장품 업계에서도 다양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해야 할 상황에 있는 것은 틀림없다. 그러면 앞의 항에서 기술한 각종 과제에 대해서 어
#디지털 시대새로운 가치창조목표로 한 연구소의 어프로치 - 부문 간 연계통한 온라인 카운슬링 시스템개발 2019년 신설된 첨단기술연구실은 (주)고세 연구소의 모든 업무와 연구개발을 첨단기술을 구사함으로써 고속화, 고도화하는 것을 미션으로 하는 부서이다. 그 연구 과제의 하나가 디지털 시대에 있어 새로운 소비자 가치의 창조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소비자와화장품업체의 접점을 비약적으로 확대시키는 동시에 소비자는 많은 정보와 복수의 선택사항을 항상 갖고 있는 시대로 변화시켰다. 고세 연구소에서는 기존의 미용 체험이나 미용 카운슬링을 소비자 개개인에게 맞는 가치 제공을 위한 접점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디지털 기술, 첨단기술의 응용연구를 강화시켜 왔다. 또소비자의 보다 좋은 선택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evidence)를 제공하는 수리 정보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본고에서는 전기통신대학이나 통계수리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해 온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가치 창조를 목적으로 한 연구와 연구 성과의 사회 구현을 향한 대처에 대해 소개한다. 그림2 각 VGG16 모델의 혼동 행렬 (a) VGG16_fixed 각 VGG16 모델의 혼동 행렬 스킨케어나 메이크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