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추출물혈관내피세포에 미치는 작용과 혈류 개선 작용 우리 몸에는 체중의 약 13분의 1에 해당하는 양의 혈액이 있으며 항상 전신을 순환하고 있다. 혈액은 몸에 필요한 물질이나 체열을 전신으로 운반하고 노폐물을 회수하는 운반 기능, 체내에 침입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면역 기능, 혈관이 손상되 었을 때 지혈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있어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1). 심장에서 송출된 혈액은 동맥, 모세혈관, 정맥을 통해서 체내를 둘러싸고 혈관의 전체 길이는 약 10만km로 지구 2바퀴 반이나 되는 계산이 된다고 한다2). 건강한 혈관은 부드럽고 유연하지만 그 열쇠를 쥐는 것이 혈관의 가장 안쪽을 구성하는 혈관 내피세포이다. 연령증가, 생활습관, 운동부족, 흡연 등의 요인에 의해 혈관내피세포가 장애를 받으면 접착분자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ICAM-1 세포간부착분자1),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VCAM-1 혈관세포부착분자1)등의 발현이 높아져 단핵구(monocyte)가 혈관내피세포 표면에 접착해 내피로 침윤하고 나아가 동맥경화의 진전으로 이어진다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화장품 제조 전문기업 나우코스(대표 노향선, 김태원)가 ‘사용감이 향상된 고광택 립 메이크업 조성물’ 관련 특허(출원번호 : 10-2021-0158971)를 취득했다고 11일 밝혔다. 해당 특허는 파우더와 다량의 휘발성 성분 또는 플레이크 레진을 함유하지 않아 입술 자극감을 줄이면서도 사용감과 광택감을 함께 개선한 립 메이크업 관련 특허다. 최근 실외 마스크 착용이 완전히 해제되면서 색조 메이크업 제품 매출이 크게 늘어나는 가운데 립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늘어가고 있다. 지난 몇 년간 마스크에 묻지 않는 매트한립을 꾸준히 사용해 왔던 소비자들은 실외 마스크 착용 해제를 통해 촉촉함, 광택립, 물먹립 등 ‘글로시함’을 강조한 립 제품에 대해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해당 특허기술은 자극을 줄이고 촉촉하면서도 비비드한 색감을 놓치지 않는 고광택 립 메이크업 제품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우코스 연구진은 “파우더와 다량의 휘발성 성분 또는 플레이크 레진을 함유하지 않아 무겁거나 끈적이지 않는 사용감을 구현해냈으며 현재는 제형 안정도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며, “해당 특허를 활용해 가볍게 밀착되…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1월호는 특집 이너뷰티에 대한 대처와 개발동향이라는 주제로▲영지추출물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에 미치는 작용과 혈류개선작용 ▲수용성프로테오글리칸의 내외 매용 효과▲쌀 유래 각종 글루코실세라마이드와 유리형 세라마이드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피부 개선을 실현하는 안티에이징 식품의 개발▲피부의 밝기를 실현하는 기능성 식품 개발 - 도포 제제와의 병용 효과▲장미(Rose centifolia)꽃잎 폴리페놀의 경구 섭취에 의한 피부개선 작용▲시즈오카현산 청귤추출무의 말초혈류 개선과 냉증 개선 효과 등으로 구성했다. [컬럼] K-뷰티, 유연한 변화 실천 필요한 시기 [특집] 이너뷰티에 대한 대처와 개발동향 1.영지추출물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에 미치는 작용과 혈류개선작용, Effects of Reishi extracts on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blood flow improvement, 일본메나드화장품 종합연구소(日本メナード化粧品 総合研究所) 渡邊明子 2.수용성 프로테오글리칸의 내외미용효과,Effects of soluble Pr…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영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2년 11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물류,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1월호는 특집 이너뷰티에 대한 대처와 개발동향이라는 주제로▲영지추출물에 의한 혈관내피세포에 미치는 작용과 혈류개선작용 ▲수용성프로테오글리칸의 내외 매용 효과▲쌀 유래 각종 글루코실세라마이드와 유리형 세라마이드의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피부 개선을 실현하는 안티에이징 식품의 개발▲피부의 밝기를 실현하는 기능성 식품 개발 - 도포 제제와의 병용 효과▲장미(Rose centifolia)꽃잎 폴리페놀의 경구 섭취에 의한 피부개선 작용▲시즈오카현산 청귤추출무의 말초혈류 개선과 냉증 개선 효과 등으로 구성했다. 마케팅 섹션에서는 마케팅에 핵심이 되는 '브랜드 에쿼티'에 대해 자세히 다뤘다. 인지도와 지각된 품질에 대해 짚어내며 브랜드 마케팅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글로벌 마스크팩 브랜드 메디힐 등을 전개하는 엘앤피코스메틱이 ‘복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특허’를 취득했다. 손상된 머릿결을 집에서 간편히 관리할 수 있는 홈 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는 추세 속에 엘앤피코스메틱 R&D Lab은 콜텍스(모피질) 내 끊어진 결합을 다시 연결해 손상된 모발을 근본적으로 케어해 주는 두피,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원천 기술을 확보했다. 손상된 모발의 경우 모발 구성요소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콜텍스 내 시스틴 결합(S-S 결합)이 끊어진 상태인데, 여기에 붙어 복구를 돕는 비휘발성 물질이 바로 '유기산'이다. 엘앤피코스메틱 R&D Lab은 사탕수수, 비트 등 유기산이 다량 존재하는 천연물에 특정 물질을 첨가하거나 발효, 농축해 유기산의 추출을 극대화했다. 실험 결과, 해당 추출물을 적용한 트리트먼트는 시스틴 결합의 복구를 돕는 동시에 손상돼 얇아진 모발을 두껍게 가꿔 주고 두피 각질 케어 효과까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엘앤피코스메틱 R&D Lab 박다정 연구원은 “이번 특허는 천연 유래 물질을 활용해…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경상북도농업기술원(원장 신용습) 봉화약용작물연구소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따른 작약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생산기술 개발에 나섰다. 31일 봉화약용작물연구소에 따르면 연구소는 올해부터 농촌진흥청, 안동대학교, 솔나라와 공동으로 작약의 기능성원료 표준화 기술 개발을 추진해 작약의 유효성분을 안정적으로 함유하는 품종을 선발하고 모주의 형질을 유지할 수 있는 대량증식방법과 안정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안동대학교가 작약의 식의약 소재 개발을 위한 기능성 평가를 맡고건강기능식품과 화장품을 생산하는 기업 솔나라가 작약 소재를 활용한 제품 개발을 함께 추진한다. 작약은 복통, 위경련의 진정, 진통, 해열, 부인병 치료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돼 왔다. 당귀, 천궁, 황기, 지황과 함께 5대 기본 한방 약재 중 하나로 작약감초탕, 십전대보탕, 쌍화탕 등의 원재료로 많은 양이 소비돼 왔다. 약용작물의 대부분이 한약재로 소비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기능성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산업 소재로의 활용으로 소비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작약의 경우에도 작약 추출물이 함유된 복합물이 위 점막을 보호해 위 건강에 도…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참조할 수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번역하고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2년 5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2년 5월에 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218건으로 전월의 168건에 비해 50건 증가해 높은 공개건수를 보였다. 이 가운데 해외 특허는 39건으로 전체의 약 18%를 차지해 전월의 25%보다 그 비율은 줄었다. 전체적으로 2022년 5월의 한국특허는 전월에 비해 그 건수가 많이 증가했으나 해외 특허의 비율은 전체 건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22년 5월에 공개된 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항염증, 아토피
# Calm down inflamed skin! 1. 서론 소비자들은 그들의 피부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요인들을 과소평가해서는 안된다. 땀, 자외선, 외부오염, 알레르기 등 이러한 모든 스트레스 요소들은 피부 표피(skin epidermis)가 외부 요인에 과도하게 반응하도록 만든다. 피부 반응성(skin reactivity)은 외부 인자들의 공격에 장기간 노출됨으로써 발생하는 복잡한 염증 과정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이러한 피부 반응성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데일리 스킨케어 보호장치가 필요하다. 2. 본론 Tazman Pepper™는 Tasmanian pepper berry에서 추출한 천연 활성 성분으로 민감한 피부를 위해 특별하게 고안돼 피부를 보호하고 민감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가 편안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Tasmanian pepper berry는 강력한 활성 성분인 polygodial이 함유돼 있다. 이 성분은 혈관 확장과 부종을 줄이는데 효과적인 항염증제(anti-inflammatory)이다. 또피부의 discomfort를 감소시키고 항알레르기(anti-allergic)와 항균…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애기동백 잎줄기 추출물을 비롯한 제주 식물자원 4건이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 추가로 등재됐다. 이번에 등재된 화장품 원료 소재는 ▲애기동백 잎줄기 추출물▲수선화 줄기 추출물▲긴잎모시풀 잎줄기 추출물▲팔손이 잎 추출물 등이다. 27일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피부자극 완화에 효능이 있는 제주산 화장품 원료 소재 4건이 미국화장품협회(PCPC)가 발간하는 국제화장품원료집(ICID)에 등재된 것으로 확인됐다. 선발된 소재는 기업 수요에 맞는 세포 효능 평가를 실시하고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화장품원료집에 등재해 기업에서 바로 산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앞서 제주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제주 향토생물자원의 종별, 부위별, 시료 제작법별 412점에 대한 효능평가시험을 거쳐 피부자극 완화에 효능이 있는 제주산 화장품 원료소재 4건에 대해 지난 7월 27일 국제화장품원료집 등재를 신청했다. 등재심사 결과 소재 4건 모두 심사를 통과해 이번 국제화장품원료집 등재가 결정됐다. 제주TP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지원하는 ‘제주형 항노화산업 지원 및 서비스기반 조성사업’을 통해 항노화…
#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1. 서론 최근 합성 항산화제가 인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됨에 따라 천연소재로부터 분리된 다양한 활성 성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1). 다양한 식물의 활성 성분은 피부세포에 free radical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억제 또는 제거시켜 산화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2). 산화에 의한 손상은 주로 ROS에 의해 발생하며3) 이러한 ROS 증가는 피부의 형태학적 그리고 화학적인 변화를 유발시켜 염증을 촉진시킨다4). 이처럼 일련의 산화반응과 염증반응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산화반응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항산화 물질은 염증 또한 감소시키므로 생체 노화를 억제 하기 위해서는 항산화 물질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할수 있다5). 본 연구에서는 전통식물 약재로 미국 북미에서 다양한 유형의 감염과 상처 치료에 사용되어진 바 있으며6), 최근 COVID-19에 관한 연구로7)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Echinacea의 항산화와 항염활성 효과를 확인했다. 2. 연구방법 2-1. 추출물 E. angustifoli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화장품 제조 전문 기업 나우코스(대표 노향선, 김태원)가 우수한 숙면 효과를 갖는 천연 에센셜 오일 화장품 조성물 관련 특허(출원번호 : 10-2022-0048640)를 취득했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특허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한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우수한 숙면 효과, 피부 저자극, 우수한 기호도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최근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MZ세대의 고품질 수면 욕구가 커지면서 ‘슬리포노믹스’(Sleeponomics, 수면과 경제학의 합성어)가 뷰티 산업의 한 축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나우코스는 ‘슬리포노믹스’가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관심도 증가로 이어진다고 생각해해당 특허 기술이 헬스앤뷰티 분야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우코스 연구진은 “힐링, 아로마테라피 등의 키워드가 급부상함에 따라 천연 에센셜 오일을 적용한 화장품이 늘어나고 있는 이때나우코스도 다양한 화장품 컨셉과 제조 품목을 넓혀가기 위해 천연 에센셜 오일의 효능, 효과 관련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편안한 숙면을 통해 건강한 일상을 영위하는 헬시(H
# 안정화 레티놀 니오좀 형성통해 안정화된 레티놀 1. 서론 레티놀(Retinol)은 비타민 A라고 불리는 노란색 결정성 고체이다. 화장품 원료로써 피부노화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며 의약품으로써 난치성 여드름과 안구건조 증, 급성 전골수구성 백혈병 등 다방면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레티놀은 식약처에서 고시한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2500IU를 사용할 시 항산화 기능을 인정하고 있다1). 레티놀이 체내에 흡수되면 레티닐에스터(Retinyl ester), 레티날(Retinal), 레티노산(Retinoic acid) 대사산물로 변환해 외부로부터 받은 자극을 회복과 피부세포의 기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세포 내에 mRNA 증식을 유도해 세포분화를 활성시킴으로서 각화 주기를 정상화하고 엘라스틴 합성을 촉진해 세포재생을 촉진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 전달될 시 표피와 진피가 두껍게 자라며 UV로 인한 손상된 피부 관리에 효과적인 활성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각질세포가 과다증식되는 것을 억제하며 각질 세포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 위해 activator protein1(AP-1)의 통로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여드름 치료제에 쓰여지고 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