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폴리페놀 ‘클로로겐산류’ 미용 응용 몸 전체를 감싸고 있는 피부는 인체에서 가장 큰 장기(臟器)이다. 피부는 외적자극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고 수분손실이나 투과를 방지하며 체온을 유지시킨다. 또 감각기관으로서 일을 하는 등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불가결한 기능을 갖고 있다. 피부 항상성(恒常性)에는 유전적 요인, 노화, 생활습관, 생활환경,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주고 있다. 최근 사회에서 활약하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여성들이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직접적인 피부 케어에 덧붙여서 인체가 본래 갖고 있는 항상성 유지 기능을 높여 체내로부터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는 접근방식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림1 클로로겐산류의 대표 성분 5-CQA 식품을 통한 피부로의 접근방법에는 피부를 구성하는 성분인 ‘콜라겐’, ‘세라마이드’, ‘히알루론산’ 등을 경구(經口) 섭취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섭취로 인한 각질층 수분증가와 경피수분증발량(TEWL)의 저하가 보고되고 있으며1)~4), 특정 보건용식품이나 기능성 표시식품으로 활용되는 예도 있다. 이러한 수법에 대해 우리들은 혈관, 신경, 면역 등 신체기능
건강식품 시장 현황과 이너뷰티 개발 건강식품 시장은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건강유지ㆍ증진’, ‘자양강장’, ‘미용ㆍ에이징 케어’에 대한 수요의 증가를 바탕으로 견조한 추이를 보이고 있다1)2). 또 젊은 층에서도 건강 유지, 몸 만들기에 대한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상품도 순조로운 추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2015년 시행된 ‘기능성표시식품’ 시장은 2018년에는 특정보건용식품의 시장 규모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3). 본고에서는 ‘특정보건용식품’, ‘영양기능식품’, ‘기능성표시식품’의 시장동향과 이너뷰티(Inner Beauty) 소재로서 기대되는 기능성 소재를 소개한다. 그림1 건강식품과 화장품의 시장 규모1) 건강식품의 시장 규모를 그림1에 나타냈다. 호조인 화장품 시장과 비교했지만 건강식품 시장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특히 ‘기능성표시식품’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소재개발, 상품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식품표시제도에서는 기능 표시를 할 수 없는 ‘일반식품(이른바 건강식품을 포함)’과 기능 표시가 가능한 ‘건강기능식품’이 정의되어 있다. 한편, 소비자측면에서 보면 예를 들어 표시가 가능한 ‘보건기능식품’에서도 ‘특정보건용식품’, ‘영양기능식
야자열매오일에 의한 피부 상재 세균총의 개선과 피부에 대한 임상 효과 여러 균류가 집합해 서식하고 있는 상태는 세균총(플로라)이라고 불린다. 플로라의 생육 환경은 인체에도 존재하며 그 존재 부위에 따라 장내 플로라, 구강 플로라 또는 본 연구에서 다루는 피부 플로라 등으로 호칭된다1). 최근 플로라는 인체에 대해 일방적으로 기생하는 것 뿐 아니라 공생관계에 있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1). 피부에는 약 300~1,000의 균종이 플로라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들이 피부의 항상성 유지나 질환에 대해서 여러 가지 관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림1 야자열매오일의 지방산 조성 예를 들어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피부 장벽기능 개선작용2), Streptococcus thermophilus(써모필러스 균)에 의한 세라마이드 생산작용3), Staphylococcus epidermidis(표피포도상구균)에 의한 보습작용4) 등이 보고되고 있다. 또 Propionibacterium acnes(아크네균)은 피지를 분해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는 리파아제의 작용에 의해 피지를 분해해 유리 지방산을 만든다5). 이 유리 지방산이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하고 Staphyloco
여드름 균주에 대한 선택적 항균제 ‘2%’라는 숫자를 어떻게 느끼시는지? 이 숫자는 여드름에 대해 부모와 자식 간의 의식조사1) 에서 ‘여드름 때문에 왕따를 당한 적이 있다’라고 대답한 중고생의 비율이다. 이 조사에서는 여드름이 있어서 왕따를 당할지 모른다는 불안을 느끼고 있는 중고생이 5.7%, 여드름이 있는 것이 싫다고 생각하는 중고생이 14%라고 보고하고 있다. 그림1 P. acnes의 전자현미경 사진 여드름은 ‘청춘의 상징’이라 불리며 90% 이상의 사람이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진 만성질환이다. 사춘기의 미성숙한 정신발달과 사춘기 특유의 부모자식 관계 등 삶의 질(QOL, quality of life)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부끄럽다’, ‘자신감이 없다’는 등 감정적 측면에서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여드름은 사춘기 이후에는 보통 자연스럽게 없어지기 때문에 질환이기 보다는 생리적 변화로 파악하는 측면도 있다. 그러나 중증이 되면 흉터가 남는 등 삶의 질을 한층 떨어뜨리기 때문에 빠른 시기에 전문의에게 진찰을 받아 적절하게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여드름은 얼굴과 가슴, 등 부위의 모낭 · 피지선을 발병 장소로 하는 지질대사 이상(내분비
두피 홍조와 관련된 두피 세균총 변화에 대해서 오늘날 ‘제2의 게놈’으로서 인체(공생) 세균총(human microbiome, human flora)이 주목받고 있다. 우리가 세포 내에서 유지하고 있는 게놈 정보는 개인 고유의 정보이며 평생 변화되지 않지만 그 사람 현재 체형이나 신체 상태 등 ‘지금’의 상태를 아는 것은 어렵다. 한편, 우리 몸에 공생하고 있는 약 100조 이상의 세균은 그사람이 놓여 있는 환경이나 신체 상태에 의해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공생하고 있는 휴먼 플로라(human flora) 게놈 정보를 조사하면 그 사람의 ‘지금’ 상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때문에 최근 휴먼 플로라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6). 그림1 얼굴 부위의 피부 세균총과 두피 세균총의 차이 출현빈도 상위 25종 세균 표시 휴먼 플로라 연구 진전에는 기술혁신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전부터 피부의 20곳에서 다른 부위 별로 휴먼 플로라에 대해 조사했던 연구에서는 플로라의 밸런스를 조사하는 것만으로 수년이 걸렸다1). 그러나 현재는 차세대 시퀀서(sequence)의 등장으로 수일 만에 플로라의 밸런스를 조사할 수 있게 됐다. 이
HMP로부터 10년 - 피부 세균총 연구의 토픽 2008년 인간의 몸 안에서 바깥까지 모든 공생 세균 총을 밝혀 내는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프로젝트(HMP) 가 미국에서 발족됐다. 이후 구강내ㆍ장내ㆍ요로ㆍ생식기, 그리고 피부 세균총의 분석이 진행되어 그 전모가 밝혀지고 있다. 또 최근의 분석 기술의 발전에 따라 species level(세균종 레벨)에서 strain level(세균주 레벨)로 분석 정밀도가 향상되어 새로운 지식과 과제가 보고되고 있다. HMP가 발족된 지 10년 지금까지 보고된 피부 세균총 분석 연구를 개설하는 것과 동시에 최근의 보고에서 향후 동향을 고찰한다. 또 피부 세균총의 주요 세균인 여드름균에 대한 이야기도 다룬다. 표1 건조 부위, 습윤 부위, 지루 부위, 발에서의 상위 10종 우세 점유종(dominant species) 우리의 피부 세균총에는 어떤 세균이 포함되어 있는가? 2009년 미국국립 인간게놈연구소(National Human Genome Research Institute : NHGRI)의 Grice, Segre연구팀들의 연구성과를 통해 머리부터 발끝까지 총망라한 피부 세균총이 처음 밝혀졌다. 정상인으로부터 건조 부위
세균은 피부에 있어 중요? : 일본인 여성 대상으로 한 피부 플로라 대규모 분석 통해 알게 된 것 우리는 매일 세균과 함께 살고 있다1). 세균이라고 하면 식중독이나 감염증 등의 말과 함께 자주 듣게 되기 때문에 나쁜 것, 더러운 것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그러나 우리의 생활과 신체에 좋은 작용을 하는 세균도 많이 존재하고 있다. 우리가 평소 입에 달고 사는 된장이나 간장 등의 식품 생산에 있어서도 세균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세균은 인간에게 가장 가까이 있는 생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1 피부 플로라의 중요한 기능 우리 몸의 장내(腸内)에는 수백 종류의 세균이 서식 하고 있으며 ‘장내 세균총’이나 ‘장내 플로라(flora)’라고 불리고 있다. 장내 플로라는 다종다양한 장내 세균이 장에서 서식하는 모습이 꽃밭(플로라)과 같다는 점에서 이렇게 불리게 됐다. 인간 신체의 세균총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것은 이 장내 플로라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장내 플로라의 밸런스 붕괴가 비만이나 생활 습관병인 2형 당뇨병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3). 또 실험동물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장내 플로라의 이상으로 간암이나 자폐증 같은
피부 상재균의 화장품에 응용과 향후의 전망 최근 몇 년 피부 상재균에 착안한 화장품이나 화장품 원료가 눈에 띈다. 2014년 잡지나 TV에서 화제가 되어 거론됐던 주문생산 바이오 스킨케어 ‘미용(美肌) 플로라’라는 미용균(美肌菌)과 기초화장품에 의한 서비스가 있다. 이것은 자신의 피부 상재균 중에서 피부에 좋은균, 바꿔 말하면 미용균을 선별해 배양, 증가시켜 동결건조시킨 균체를 다시 자신의 피부에 되돌려 스킨케어를 하는 것이다. 표 향후, 해명해야 할 피부 상재균의 과제 (주)바이오제노믹스가 판매원으로 나가사키(長崎) 국제대학과의 산학공동사업이라는 내용이 화제가 되어 당초의 전체 서비스 가격이 50만엔(한화로 약 500만원)을 넘어섰다. 과연 이 서비스는 일반 화장품에 의한 스킨케어 효과를 넘어 고객에게 충분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확실히 피부라는 배지(培地) 위에서 피부 상재균은 1㎠당 1,000~1,000,000(10의 3승~10의 6승 숫자와 기호의 전환)개라고 불리며 종(種)으로 1,000종 정도의 균이 상호 경합과 조합을 하면서 안정한 집단, 즉 무리(총, 叢, 플로라)를 만들고 있다고 생각된다. 또 개인마다
두피 세균총의 불균형과 비듬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동물은 자궁에 있을 때 일반적으로 무균 상태이나 외부세계로 탄생된 직후에는 즉시 각종 미생물들이 정착하기 시작한다. 특히 피부와 점막 등 외부세계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일정한 미생물 균이 자라나게 된다. 이러한 미생물 균은 상재미생물총(常在微生物叢)이라 부르며 숙주와 서로 이익을 나누는 공생관계에 있게 된다. 그림1 미생물 균총 분석에 이용된 증폭 영역과 프라이머 그러나 숙주의 저항력이 떨어진 경우에는 상재미 생물총이 내인성 감염의 원인이 되는 등 불이익을 초래한1)우리는 피부가 가진 많은 트러블에 상재미 생물총의 불균형이 관여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해 먼저 비듬의 발생을 다시 생각해 보기로 했다. 비듬은 두피에서 발생하는 비늘형태의 하얀 노폐물이며 각질층 표면에서 박리된 각질세포의 집합체이다. 비듬 질환은 성별이나 인종에 관계없이 생기는 두피의 트러블이며 사춘기 후기의 약 절반이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비듬 질환과 지루성 피부염(seborrhoeic dermatitis, 피지선이 발달된 부위에 발생 하기 쉬운 피부 질환)은 모두 과도한 피지분비를 수반하는 증상이기 때문에 구별하기가 어려워…
아토피 피부염과 마이크로바이옴 아토피 피부염은 일반적인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최근 특히 산업국,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나라에서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다1). 일본에서 이환율 (Morbidity)은 성인이 약 9%, 소아가 약 12%로 추정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손상시키며 또한 높은 이환율과 맞물려 그 사회경제적 부하는 매우 크다. 당초 아토피 피부염은 면역성 질환이며 만성 염증에 의해 피부장벽 기능이 떨어진 것으로 예상됐으나 현재는 다양한 유전인자와 환경 인자가 관여하는 복잡한 다인자 질환인 것이 밝혀지고 있다2)3). 그림1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병변부위ㆍ비병변부위의 마이크로바이오임 프로파일과 에몰리언트의 효과 49명의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병변 부위(AF)와 비병변부위(UAF)로부터 에몰리언트 사용 전(A)과 에몰리언트를 83일간 사용한 후(B)에 swab method으로 피부세균 샘플을 채취해 16s 리포좀 RNA유전자배열 분석을 시행했다. 주요한 30세균속 각각에 관해 그 평균비율을 나타낸다. 에몰리언트 사용 전은 비병변 부위와 비교해 병변 부위에 있어 Staphylococcus속이 현저하게 많지만 에몰리언트 사용
7가지의 다른 유전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그룹에서의 두피 피지분비의 차이 모발과 두피를 세정하는 행위(샴푸)는 지난 수십년 동안 일상적인 습관이 되어 왔다. 오늘날 널리 사회적 삶에 도입되어 있으며 문화, 성별, 직업, 날씨, 환경 등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그 빈도는 1주일에 2번부터 하루에 한 번, 국가나 지역에 따라 그 이상이 되는 경우도 있다. 이제 샴푸는 양치와 손 씻기에 필적하는 건강에 필수적인 행위로 간주되고 있다. 표1 측정장소와 대상으로 한 피험자의 성별 및 연령층 분포 모발과 두피의 더러움은 외관과 촉감이 기름지거나 냄새의 발생, 모발의 칙칙함, 비듬의 발생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두피의 피지 존재가 주된 원인이다. 피지는 피부를 촉촉하게 보습하는 역할을 가지고 있지만 그 과도한 축적은 성분의 산화, 오염물질의 부착 등에 의해 오염되고 모발의 아름다움을 훼손한다. 샴푸는 이러한 오염을 제거하고 머리카락과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행위이지만 피지가 두피상에서 어떤 거동을 나타낼까를 관찰하는 것은 샴푸를 비롯한 헤어케어제품 개발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두피의 피지분비에 관한 보고는 극히 적게 존재하며 보고의 대부분은 유럽계…
아시아 시장에 있어서 피카소미화학연구소의 해외 전략 2003년 7월 (주)피카소미화학연구소는 태국 시장에서 화장품 OEM ODM 사업의 전개를 목표로 첫 해외 거점으로 태국 방콕 교외에 현지법인을 설립했다. 15년 남짓한 시간이 지난 2018년 11월 현재 태국 방콕에 제2공장, 중국 상해에 제1공장을 설립하게 됐다. 그동안 당사 해외 공장은 일본 국내나 세계 정세, 소비자의 지향이나 유행 등 둘러싸인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 현재의 포지션을 구축하고 있다. 당사의 족적을 되돌아 보면서 향후의 전망에 대해 소개한다. 일본 OEM ODM 피카소미화학연구소 태국 방콕 제1공장 피카소가 태국에 진출한 계기는 태국 최대의 제약 회사가 화장품 사업에 진출하는데 따른 기술지도였다. 사전에 일본에서 연구개발이나 품질개선에 대해서 연수를 받은 스태프를 중심으로 Picaso Naturals Laboratory Co., Ltd.는 시작했다. 이후 활발한 영업 활동으로 태국 국내 고객의 도움도 받아가며 많은 제품을 생산하는데 이르렀고 3년후 2006년 7월 랏크라 방(LatKrabang)공업단지의 EPZ(수출가공지역)로 불리는 보세구역에 신공장(현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