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새로운 형태'락토코스메 유산균' 락토코스메 유산균은 살균체의 유산균을 배합한 분말 제품이다. 본 제품의 유산균 수는 1g당 4,000억 개 이상을 규격으로 하고 있다. 제품의 패키지나 제품 광고 페이지에서 유산균 ○○억 개 함유 등의 표기를 하는 경우는 이 균 수의 규격을 참고해 주었으면 한다. 효과로서는 구강관리 효과나 피부 장벽 기능 향상 효과, 히알루론산 생성촉진 효과 등이 확인됐다. 이것들은 모두 세포시험을 통해 데이터를 취득했으며 시험에서 효과를 확인한 첨가량에 따라 목적별 권장 첨가량을 설정하고 있다. 첨가량의 기준은 표와 같다. 그림1 hBD-2mRNA의 발현량 본 제품에 배합되어 있는 유산균은 크리스파투스균(Lactobacillus crispatus) KT-11주라고 하는 유산균이다. 크리스파투스균은 여성의 산도에 많이 존재하는 진귀한 유산균종으로서 여성을 감염증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아기가 태어날 때 이 크리스 파투스균이 산도(birth canal)를 통해 산모로부터 아기에게 전해지는 것이 확인됐으며 크리스파투스균이 아기를 알레르기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당사에서는 이 크
#피부장벽강화하는 새로운 타입기능성 원료 '3GG LB' 우리 몸의 표면을 덮고 있는 피부는 ‘외부환경의 이물질 침입방지 기능’과 ‘체내 수분 증발을 막는 기능’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이것들은 장벽 기능이라 불리며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나 불규칙한 생활습관, 환경의 변화와 노화 등에 의해 장벽 기능이 저하되어 건조피부 등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장벽 기능의 저하가 아토피성 피부염 등 피부질환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당사는 피부가 본래 지닌 기능을 높여 피부 속에서 미용 성분을 증가시키는 기능성화장품 원료의 개발과 제조를 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당사가 새롭게 개발한 장벽 기능 개선제 ‘3GG LB’를 소개한다. 그림2 3GG의 CLDN 생성 촉진 작용 인도나 동남아시아 원산의 염부나무(학명 : Syzygium cumini)은 예전부터 수렴제나 이뇨제, 당뇨병 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우리는 염부나무에 함유된 3-갈로일 글루코오스(이하 3GG로 표기, INCI 명칭 : Glucosyl Gallate)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작용을…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보습케어 효과 겨울철 피부의 건조는 큰 고민거리 중의 하나이다. 최근 에어컨 등의 난방기구 사용으로 인해 피부의 건조 트러블이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되어 있어 스킨케어에 의한 보습성의 수요는 높아지고 있다. 특히 피부에 사용하는 세정제는 충분한 세정력이 요구되는 한편, 장벽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처방 설계가 요구된다. 또세정제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는 세정 후에 조금 이나마 피부에 흡착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서1) 세정제에는 저자극으로 보습감이 높은 세정성분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저자극 계면활성제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도 특히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2)3)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에 주목해 기존 피부의 장벽 기능에 중요한 성분을 남긴다는 시점 뿐아니라 보습력이 높고 스킨케어 효과가 있는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를 피부에 흡착함으로써 건조 트러블을 해결할 수 있는 세정제의 처방 설계를 할 수 없을까 생각했다. 그림1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의 수분보유력 평가 (A) 항온, 항습도 하의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중량 변화, (B)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융해열 피크 폴리글리세린계 계면활성제는 화장수(토너)나 유액(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화장품 제조 전문기업 나우코스(대표 노향선)가 지난달 ‘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 밀도 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화장품 조성물’ 관련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해당 특허는 비타민 E 유도체와 머루포도 추출물을 함유한 기술이다. 해당 특허는 주름과 피부치밀도 개선에 도움을 준다. 최근 점점 따가워지는 봄 햇볕과 환절기로 인해 건조한 피부와 탄력이 고민인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이번 특허가 피부 속 유수분 밸런스를 조절해 주는 데 효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나우코스 연구진은 “각각의 세대와 환경에 따라 고객의 니즈를 세분화해검증된 효능과 효과의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며, “머루포도의 수확시기인 올 가을부터 해당 특허원료를 이용해 제형에 적용할 계획으로향후 피부탄력에 있어 나우코스만의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어갈 것이다”고 밝혔다. 한편, 나우코스는 2000년설립된 화장품 OEM ODM 전문기업으로 K-beauty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클렌징과 파운데이션 품목에서 높은 기술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색조 뿐 아니라 동물용 의약외품에 이르기까지 제조 품목을 확대해 나가고…
#Upcycling Super Anti-Oxide Complex 'OxiBlock-SF™' 1. 소개 OxiBlock-SF™는 스페인 남부에서 수확한 올리브로 오일을 생산하고 남은 열매에서 얻은 Hydroxytyrosol 성분과 고밀도의 영양소를 포함한 케일 새싹에서 얻은 Sulforaphane 성분을 복합해 만든 원료로 항산화 효과를 안정화시키고 노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정상적인 생물학적 과정의 부산물인 프리라디칼은 반응성이 높고 불안정한 분자이다. 이 프리라디칼이 불안정해지면 신체 기능을 방해해 산화스트레스를 유발하며 이 산화스트레스가 피부의 노화, 염증, 색소침착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그림1). 본 글에서는 실험 결과를 토대로 입증된 OxiBlock-SF™의 다양한 효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1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주름, 염증, 색소침착 현상 2. 배경 2-1. OxiBlock-SF™의 항산화 시너지 효과 2-1-1. 실험 방법 Olive Extract(Hydroxytyrosol), Kale Sprout Extract(Sulforaphane), OxiBlock-SF™(Hydroxytyrosol+Sulforaphane)의 항산화 효
#Geranium Maculatum Extract(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염효과 1. 서론 최근 들어 건강한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트렌드에 따라 국내 화장품 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다1). 식품의약품안전처(2021)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8.94조 원으로 국내 총 수출의 1.40%를 차지하며 연평균 성장률(2011~2020)은 29.19%로 나타났다2). 특히친환경적인 천연유래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브랜드에서 천연 유래 원료를 사용한 기능성화장품을 출시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천연 유래 원료에 대한 연구는 매우 한정적이며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 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3).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 와일드제라늄 추출물(Geranium Maculatum Extract)의 활용 가능성을 연구했다. 2. 실험 방법 2-1. 추출물 본 실험에 사용한 와일드제라늄 추출물은 정제수와 원물은 1%의 비율로 80℃ 열수추출 방식을 통해 추출해 제조했다. 항산화능 실험과 세포 실험을 위해 동결 건조로 건조중량을 측정했으며 이를 증류수로 재용해시킨 뒤 syri
#칡 유래 성분 푸에라린(puerarin) 피부세포 노화억제 효과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는 체외로 꺼내어 플라스틱 접시 위에서 배양하면 증식을 반복하는데 정상 세포는 영구적으로 세포분열을 하여 증식할 수 없으며 어느 기간이 지나면 증식의 속도가 떨어져 최종적으로는 증식을 정지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를 ‘세포노화(senescence)’라고 한다. 이 밖에 세포는 방사선이나 자외선에 노출되거나 항암제를 처치 받으면 DNA가 손상되어 세포노화가 유도된다. 체내에서 노화한 세포는 신속하게 세포사해서 사라져 없어지는 것은 아닐까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그와 반대로 노화한 세포는 ‘좀비화’해서 체내에 축적된다1). 그림1 진피 섬유아세포의 노화에 따른 영향 이러한 체내에 축적된 노화세포는 아직 노화되지 않은 다른 세포에 악영향을 미쳐 몸 전체의 노화를 촉진하도록 작용하고 있다. 노화한 세포는 인터페론(interferon) 등의 사이토카인이나 성장 인자, 프로테아제 등 여러 가지 물질을 분비해 주위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다른 세포에 작용해 노화를 촉진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Senescence-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SASP
#피부시간멈추고 아름다움유지시키는 두릅나무 발효 추출물 화장품을 통한 노화에 대한 어프로치는 노화에 의해 발생한 주름과 처짐을 개선하는 사후조치와 세포의 노화를 막는 등 사전조치의 2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본고에서는 후자의 사전조치를 더욱 극대화한 현상의 영속적인 유지 ‘피부의 시간을 멈추게 하는’ 것을 콘셉트로 개발한 두릅나무 유래 원료를 소개하고자 한다. 두릅나무에 특수 발효기술을 적용한 두릅나무 발효 추출물(제품명 : 안젤록)은 세포의 연명을 도모함과 동시에 오래된 세포의 제거와 새로운 세포의 재생을 동시에 촉진시키고 피부 시간의 경과를 멈추게 하는 새로운 원료이다. 그림1 두릅나무 발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두릅나무(Aralia elata)는 널리 일본에 분포하는 갈피 나무과 두릅나무속의 낙엽관목이며 혈당을 낮추거나 소화기병, 신장병 등에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으며1) 생약의 원료로 이용된다. 봄에 싹트는 새싹을 ‘두릅 싹’이 라고 부르며 예로부터 봄철 식품으로도 친숙하다. 화장품 원료로서의 두릅나무 유래 원료는 예를 들어 양모 화장품이나2)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 활성효과로 인한 피부 가려움 개선제로 이용된다3). 또케라티노사이트의 이상증식…
[코스인코리아닷컴 허재성 기자] 화장품 제조 전문기업 나우코스(대표 노향선)가 지난 12일 ‘여드름 피부용 논 코메도제닉 화장료 조성물’ 관련 특허(출원번호 : 10-2021-0064276)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해당 특허는 ‘면포 유발을 하지 않고 피부 자극 문제를 해결하는 고삼뿌리, 굴피와모란뿌리를 함유한 여드름 피부용 논 코메도제닉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다. ‘논 코메도제닉’이란여드름성 피부에 사용해도 안전한 제품을 말한다. 최근 외부 자극과 환절기 피부 트러블로 고민하는 이들이 많은 가운데해당 특허는 여드름 유발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 여드름 피부 위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여드름 피부의 각질케어와 진정 그리고 유수분 밸런스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우코스 연구진은 “특허 기술을 통해 여드름성 피부, 속 당김, 과도한 피지 등 피부 고민이 있는 고객들이 비교적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하고 촉촉한 피부를 가꿔줄 수 있도록 끊임없이 연구하고 개발할 것이다”며, “향후 생산될 여드름과트러블 피부를 위한 제품에 활용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편, 나우코스는 2000년설립된 화장품 OEM ODM 전문기업으로창의성을 강조한…
#젊음회복열쇠 ‘MITOL’착안한 피부, 모발안티에이징 연구 세포내 소기관의 하나인 미토콘드리아의 주요한 기능으로서 세포의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들어 내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부산물로서 발생하는 ROS(Reactive oxygen species)는 미토콘드리아의 지질막이나 단백질, DNA 등을 산화시킴으로써 그 구성물이나 형태, 기능을 손상시켜 대미지를 준다. 대미지를 입은 미토콘드리아 에서는 한층 더 ROS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어 ROS 생성 ⇄ 미토콘드리아 대미지라고 하는 악순환이 생겨 이것이 노화의 하나의 요인이라고 생각되고 있다1). 따라서 ROS 생성과 노화의 프로세스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림1 Drp1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분열의 메커니즘 또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에서 분열, 융합을 자주 반복해 그 형태를 변화시키고 소포체 등 다른 세포 소기관(organelle)과 물리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매우 다이내믹한 세포내 소기관이다. 이러한 미토콘드리아 움직임은 ‘미토콘드리아 다이내믹스’라고 불리고 있어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생성이나 ROS 생성, 세포 증식 등과 깊게 관계되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2). 게다
#메르켈 세포와 피부 노화의 연관성 매일 스킨케어 행동에 사용되는 핸드프레스나 마사지 등 피부에 부드러운 접촉자극은 촉각 수용체, 신경 섬유를 통해 뇌에 전달되어 타액이나 혈액 중의 옥시토신 양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2) 접촉자극이 쾌감자극을 가져온다는 점에서 화장 행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이러한 촉각 기능은 나이가 들면서 떨어지며3) 촉각 기능의 둔화는 피부 상태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촉각 기능은 쾌감자극을 가져올 뿐아니라 피부의 노화 현상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들은 노화에 따른 피부 노화와 촉각 기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촉각과 관련된 감각 수용체 중에서 비교적 피부 표면(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메르켈 세포에 주목했다(그림1). 그림1 인체 피부의 복부 조직의 메르켈 세포의 염색 이미지 메르켈 세포는 부드럽게 만지는 감각을 수용하는 촉각 세포로서 어류에서 포유류까지 다양한 생물에 존재하고 있다. 사람에서는 물체의 모양과 질감 등을 인식하는 손가락 끝이나 손바닥에 많이 있고 얼굴을 포함한 전신의 피부에 존재하므로 피부 상태나 스킨케어 행동이 가져오는 쾌감자극과 깊은 관계가 있다고 생
#세포 활성 저하에 대한 크리스테영향과 개선방법검토 우리 몸은 다양한 세포로 구성되며 각각의 세포는 각자의 기능을 발휘하고 그 역할을 수행해 생명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 세포의 기본적인 기능은 노화로 인해 떨어 지고 있다고 생각되며 피부에 존재하는 세포도 예외는 아니다. 예를 들어, 표피에서는 노화로 인한 턴 오버 속도의 지연1)2), 장벽 기능과 장벽회복 기능의 저하3) 가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노화로 인한 표피 세포의 사이토카 인에 대한 반응성 감소4), 타이트정크션(tight junction)을 구성하는 단백질 감소5)6) 등 표피 세포의 기능 저하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그림1 PDL 증가에 의한 세포노화의 확인 진피에서는 노화에 따른 피부 콜라겐 양이 감소해 20세부터 80세까지 약 65%가 감소되며7) 생리 노화로 인해 탄성 섬유의 감소와 단편화가 일어난다고8) 보고됐다. 이것은 노화된 섬유아세포로 인해 콜라겐 합성능력이 감소하고9) 콜라게나아제 생성의 mRNA 수준이 증가한다는10) 사실과 노인으로부터 얻은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엘라스틴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고 있다는 사실11)에서 볼 때, 섬유아세포의 세포외기질을 대사하는 기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