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발의 메둘라(medulla) 구조의 규명과 새로운 케어 기술 모발은 바깥쪽부터 큐티클(cuticle, 모표피), 코텍스(cortex, 모피질), 그리고 메둘라(medulla, 모수질)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림1). 각각의 부분은 그들 나름의 역할이 있지만 모발의 성질을 감안하면 모든 부분의 영향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모발의 외관에 대해 이전에는 큐티클이 주목을 받아 관련된 제품이 많이 나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모발 내부로 들어온 빛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내부 구조의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멜라닌이 많은 어두운 모발색은 내부로 들어온 대부분의 빛을 흡수하지만 특히 최근에는 헤어컬러나 자연스러운 흰색 모발을 즐기는 등 밝은 색의 모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 모발의 외관에 대한 내부 구조의 영향이 커지고 있다. 그림1 모발의 3가지 영역 큐티클이나 코텍스에 관해서는 자세한 구조, 기능과상태의 변화까지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1)2) 이 연구결과는 화장품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메둘라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결과는 별로 없으며 밝은 색모발의 광택, 투명감과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보고3)가 있지만 메둘라에 극적인 변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 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1년 11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1월호는 특집 ‘모발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 새로운 연구결과를 탐구하다'를 주제로 ▲모발의 메둘라(medulla) 구조의 규명과 새로운 케어 기술 ▲모발의 표면 구조를 모방한 식물성 헤어컨디셔닝 원료에 의한 모발의 재소수화해 ▲모발에 먼지, 꽃가루 등 미립자 오염의 부착 용이성과 그 제어 기술의 연구 ▲탈색모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폴리페놀에 의한 퀴논 가교 반응 ▲이중 타원통 모델을 이용한 모발의 부분적 탄성률 해석 ▲아이소펜틸다이올의 헤어케어 제품으로의 활용 - 감촉향상, 손상 억제, 피지세정 등을 구성했다. 테마기획은 최근 화장품 업계에 불고 있는 기업공개(IPO) 현황을 살펴봤다. 마케팅 섹션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마케팅 전략인 STP 전략에 대해…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11월호는 특집 ‘모발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 새로운 연구결과를 탐구하다'를 주제로 ▲모발의 메둘라(medulla) 구조의 규명과 새로운 케어 기술 ▲모발의 표면 구조를 모방한 식물성 헤어컨디셔닝 원료에 의한 모발의 재소수화해 ▲모발에 먼지 · 꽃가루 등 미립자 오염의 부착 용이성과 그 제어 기술의 연구 ▲탈색모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폴리페놀에 의한 퀴논 가교 반응 ▲이중 타원통 모델을 이용한 모발의 부분적 탄성률 해석 ▲아이소펜틸다이올의 헤어케어 제품으로의 활용 - 감촉향상 · 손상 억제 · 피지세정 등을 구성했다. [칼럼] 2022년 화장품 트렌드는 무엇일까? [테마기획] 화장품업계, 기업공개(IPO) 줄줄이 ‘도전’ [특집] 모발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 새로운 연구결과를 탐구하다 1. 모발의 메둘라(medulla) 구조의 규명과 새로운 케어 기술, Uncovering a structure of hair medulla and a new hair care technology, TAKARA BELMONT 화장품연구개발부 (タカラベルモ…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화장품 OEM ODM 전문기업 (주)나우코스(대표이사 노향선)가 고보습 투명 화장품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특허(출원 10-2021-0046063)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해당 특허는계면활성제와 오일을 함유하지 않은 보습 증진 투명 화장품 조성물에 대한 특허다. 이는 투명 화장품으로 끈적이지 않으면서제형의 안정성도 극대화한 고보습 제품으로 구현한다. (주)나우코스는 업력 20년차 화장품 제조 OEM ODM 전문기업으로국내 코스메틱 시장의 성장세에 일익을 담당해 오고 있다. 2019년 매출 356억 원에서 2020년에는 477억 원으로 매출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NO. 1 파운데이션, 클렌징 등을 주력으로 공격적인 마케팅을 준비하고 있다. (주)나우코스 관계자는“최근 K-Beauty의 열풍으로 거대하게 확대된 코스메틱 시장에서 차별화되는 글로벌 품질과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힘쓰겠다”고 밝혔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제주지역 내에 자생식물 '바위수국'이 화장품과 식품의 원료, 소재로활용 가치가 확인됐다.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소장 정용환)는 11월 3일 제주 지역 내에 자생하는 바위수국에 대한 연구 결과 추출물에서 피부미백 효능을 발견하고 관련 학회에서도 인정받았다고 밝혔다. 바위수국은 한라산 일대에 분포하는 낙엽성 넝쿨나무 식물로줄기 길이가 10m에 달하고 줄기에서 공기뿌리가 뻗어나와 나무나 바위에 붙어 자란다.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성분 분석과 화장품 제형 연구 등 연구개발을 통해 국제화장품원료집(ICID) 등재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생물종다양성연구소는 그동안 연구 결과를 특허출원한 데 이어 지난 10월 7일 한국자원식물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바위수국 잎 추출물의 피부 미백 효능 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바이오코스메틱과 세포치료제 전문 개발기업 에스씨엠생명과학(대표 이병건)가 11월 2일 화장품 분야에 사용할 수 있는 줄기세포 배양액 포함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한국 특허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에스씨엠생명과학이 취득한 특허 명칭은 '인간 혈소판 용해물(hPL :human Platelt Lysate)을 함유한 배지(세포 배양을 위한 영양물)에서 배양된 중간엽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hPL을 함유한 배지에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한 배양액은 기존에 활용되던 FBS(Fetal Bovine Serum, 소태아혈청)을 함유하는 배지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한 배양액보다 면역조절 물질인 사이토카인과 성장인자 함량이 높다는 특징을 갖는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이렇게 조성된 줄기세포 배양액 제조방법과 이를 활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를 획득한 것이다. 특히 본 특허 기술은 ▲인간진피섬유아세포 증식 촉진 ▲콜라센 합성 ▲엘라스틴 합성 ▲멜라닌 합성 억제 ▲발모 촉진 등 다양한 미용 분야에서 효능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효능이 적용된 피부 재생, 주름 개선, 발모, 피부 미백 등의 효과를 가진 코스…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화장품 원료 연구개발 생산 전문기업인 (주)H&A파마켐(대표 유효경)은 2021년 10월 18일부터 28일까지 멕시코 칸쿤(CANCUN)에서 진행된 IFSCC Congress 2021 CANCUN에서 포스터 4편을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 펜데믹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됐다. 이번 포스터 발표는 화장품에 사용하기에 불안정한 소재를 안정화하는 최신 기술에 대해발표가 이루어졌으며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해COFs(gamma-Cyclodextrin based MOFs)를 형성해레틴알을 캡슐화해안정화했으며큐브좀을 글리세릴모노올리에이트와 다양한 고분자를 이용해만들어 레틴알을 안정화하고 피부흡수율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했다. 또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해DDS가 가능한 레틴알 캡슐레이션을 연구개발해화장품에 사용 가능한 소재를 개발했으며LDH(layered double hydroxide)를 이용해Palmitoyl-ReGenerated Peptide(pal-RGD)와 레티놀 포집된 리포좀의 흡수와방출을 연구해pH에 선택적으로 방출하는 화장품 소재를 발표했다. (주)H&A파마켐(대표이
[코스인코리아닷컴 이상호 기자] 화장품 기술력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지는화장품 등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이참조할 수있도록 한국에서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정리한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 시리즈를매월 보도한다. 한국에서가장 최근에 공개한 특허를 목록으로 정리해 화장품 등관련 분야 연구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화장품 최신 특허 정보]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인 이상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데이터공유센터 전문위원(본사 편집위원)이 직접 특허를 검색해번역하고정리한다. 화장품 관련 분야의 연구원들의 적극적인호응을 기대한다. <편집자> # 2021년 3월 공개 한국 화장품 최신 특허출원 현황(KIPRIS) 2021년 3월 공개된 한국특허는 총 194건으로 2월 112건에 비해 82건이 늘어났다. 이 가운데 해외특허는 49건으로 약 25%를 차지해 이전 달과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2021년 3월 공개특허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마스크 팩, 마스크’ 분야가 14건으로 가장 많았고, ‘피부미백’ 13건, ‘피부 진정, 피부 개선’ 12건, ‘복합효능’ 10건, ‘보습’ 9건, ‘항노화, 항산화’ 9건의 순서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민석 기자]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단마, 둥근마의 대사체 연구결과에서 뿌리보다 잎 조직에 더 많은 항산화물질이 함유돼 있으며 시기별 기능성 물질함량의 변화 양상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경북농업기술원 생물자원연구소에서 표준화된 마의 부위별 원료를 제공했고 국립농업과학원 유전체과 김정구 박사와 건국대학교 이충환 교수의 생리활성물질 생합성에 관련된 전사체와 대사체 연구를 통해 이뤄졌다. 잎은 뿌리에 비해 항산화활성은 1.7~2.2배, 페놀성 항산화물질의 함량은 3.6~4.1배 높았다.또 잎에서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가장 많은 시기는 8월 하순이었다.잎 조직 100g당 단마 53mg, 둥근마 38mg의 페놀성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대표 작물인 토마토 과실 100g당 페놀성 항산화 물질 함량이 최대 60mg인 것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으며 버려지는 마 잎에서 톤당 300~500g의 페놀성 항산화 물질을 얻을 수 있다. 국내 마 재배면적은 733ha이며 주당 경엽의 무게는 적어도 250g 정도로 국내에서 마 재배 부산물로 얻어지는 잎 조직의 양은 15,000t 정도로 추산돼 식품원료로의 이용이 기대된다.…
#Flexible Phospholipid-based Emulsifier 'HELIOFEEL™' 1. 서론 화장품 제조에서 유화제의 선택은 제품의 제형과 텍스처 최적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HELIOFEEL™ 제품은 Sunflower Phospholipid 기반 O/W 유화제로 가벼운 사용감과 다양한 텍스처를 구현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이다. Phospholipids는 살아있는 생물들의 세포막을 이루는 주요 구성 성분으로 Stratum Corneum과 친화력이 우수하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 Phospholipids 기반 유화제는 우수한 Bio-compatibility, Biomimetism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HELIOFEEL™ 은 Phospholipids의 화학적, 생물학적 특징에 따라 Moisturizing 효능을 가진 Active 원료로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피부 침투력으로 제형 내 포함된 Active 성분의 Bioavailability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HELIOFEEL™ 제품의 유화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Phospholipids는 2가지 Esters(Glyceryl Stearate Citrate, Poly
#주름,피부장벽 개선 '마이크로바이옴 Exosomal nanovesicles PREX™ LL' 1. 서론 프로바이오틱스는 ‘생명을 위한’이라는 뜻의 라틴어로 1965년 Lilly와 Stillwell에 의해 처음 정의됐다1). 2002년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World Health Organization (FAO/WHO)에서 ‘적절한 양을 취했을 때 숙주에게 이로움을 주는 살아있는 미생물’로 정의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종류로는 대부분 유산균이 차지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과 더불어 비피도박테리움 속(Bifidobacterium spp.), 락토코쿠스 속(Lactococcus spp.)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프로바이오틱스들은 면역력 조절과 아토피, 관절염, 고혈압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됐다2~5). 특히 Lactococcus lactis의 경우 식물 혹은 동물의 위장에 존재하며 항균과 피부 개선 등의 효능이 보고된 바 있다6~8). 피부 개선 효능은 항노화와 피부 장벽기능 개선을 통해 확인할
#항균,생리 활성갖는 식물 유래화장품 원료 'BGC-F 2.0' 1. 서론 화장품의 경우 다양한 화학, 천연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관과 사용 방법에 따라 세균이나 곰팡이 등 미생물들이 쉽게 증식하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장기간 사용하는 제품 특성상 미생물에 오염된 제품을 지속적으로 피부에 사용 시 피부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에 미생물적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1)2)3). 녹차(Camellia sinensis leaf)의 고형물은 수용성 물질이 40% 정도 차지하며 폴리페놀, 아미노산, 사포닌, 유기산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그중 catechin류는 강력한 항균, 항산화 활성과 노화 억제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마늘(Allium sativum)은 널리 알려진 유효성분인 alliin(allicin)을 포함한 함황화합물 외 폴리페놀, 비타민, 무기질 등이 보고됐으며 항균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마늘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등에 대한 항균 활성 평가 시 항생제(Vancomycin, Imipenem)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