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콜마그룹 창업주윤동한 회장이 아들 윤상현 콜마홀딩스(주)(024520) 부회장 겸 대표이사를 상대로 법원에 검사인 선임을 신청하며, 그룹 내 경영권 분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22일 콜마홀딩스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윤동한 회장이 지난 21일 대전지방법원에 콜마홀딩스를 상대로 '상법 제467조'에 따른검사인 선임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검사인 선임 제도는 기업의 업무 및 재산 상황을 외부 전문가가 조사해 경영 투명성을 확보하는 절차로, 조사 결과에 따라 이사 해임, 주주대표소송 등 법적 조치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윤상현 부회장은콜마홀딩스의 최대주주로 지분 31.75%를 확보하고 있으며 윤 회장은 주요 주주로서 지분 5.59%를 보유하고 있다. 공시에 따르면 윤 회장이 제기한 청구 내용에는 △ 콜마비앤에이치 임시주주총회 소집 청구(2025.4.25.자) 및 법원 소집허가 신청(2025.5.2.자) 관련 사항 △ 2025.6.26.자 이사회에서의 사후 추진 결의관련 사항 △ 콜마비앤에이치 및 그 계열회사 매각 또는 리포지셔닝 계획 관련 사항 등이 포함됐다. 소송 등의 제기·신청 공시 (2025.7.22.…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에스씨엠생명과학(주)(298060)가 김유정 신임 대표이사 선임과 함께 새로운 경영진 체제를 공식 출범시켰다. 3년 가까이 이어진 경영권 분쟁과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 신사업과 글로벌 확장을 통해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18일 에스씨엠생명과학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송기령 대표이사 사임에 따라 김유정 대표이사를 신규 선임했다고 공시했다. 김신임 대표는 토론토대학교와 성균관대 MBA를 졸업한 경영 전문가로현재 코스닥 상장사 (주)네오팩트의 사업총괄 상무로 재직 중이다. 대표이사 변경 공시 (2025.7.18.자) 같은 날 열린 임시주주총회에서는 김대표를 포함해 백종욱, 박소림 등 3명의사내이사 선임 안건이 모두 가결됐다. 백종욱 신임 이사는 풍전약품(주)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며, 박소림 신임이사는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엔지온 메디칼(Angeion Medical International)의 한국 지사장을 맡고 있다. 이번 경영진 교체는 2022년부터 지속돼 온 경영권 분쟁과 이에 따른 경영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2022년 3월 창업주인 고(故) 송순옥 대표가 별세하자,창업…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주)동성제약(002211)이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됐다.경영권 분쟁이 장기화 국면에 진입한 가운데, 임원진의 횡령·배임 고발, 법정관리 돌입 등으로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17일 한국거래소는 동성제약을제35조 및 제38조의2에 따른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하고 벌점 8.5점과 공시위반제재금 8,500만원을 부과했다고 밝혔다.지난달 23일 경영권 분쟁 관련 풍문에 대해 해명 공시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판단한 것이다. 앞서 동성제약은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최대주주 변경 및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제기되자 '해당 사항은 사실 무근'이라며 부인했다. 그러나 이후 실제최대주주변경이 이뤄지고 경영권 분쟁이 수면 위로 드러나면서거래소 측은 해당 해명이 허위이거나 중대한 오해를 유발한 것으로 봤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공시 (2025.7.17.자) 과거 1년 이내에 벌점이 15점 이상 누적되면 동성제약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 상장적격성 실질심사를 거쳐 상장폐지까지 이어질 수 있어향후 공시관련 리스크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양구 전 회장과 조카 나원균 대표이사 간의 경영권 분쟁도 투자자들의 우려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주)콜마홀딩스((024720) 오너 일가가 보유 지분의 약 90%를 금융기관 등에 담보로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향후 주가 하락이나 반대매매 발생 시, 오너 일가의 경영권 방어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1일 콜마홀딩스가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에 따르면, 오너 일가가 보유한 콜마홀딩스 주식 중 약 41%(총 1,407만 2,000주)가 다수의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됐다. 주식 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2025.7.11.자 공시) 윤상현부회장 명의로담보 제공된 주식은 △한국증권금융 594만 주 △NH투자증권 191만 5,817주 △한국투자증권 92만 7,644주 △DB금융투자 77만 7,237주 △현대차증권 18만 5,392주 등 900만 주 등총 974만 6,090주다. 이는 윤 부회장이 보유한 콜마홀딩스 주식1,089만9,316주(지분율 31.75%)의 89.4%에 해당하는 규모다. 3대 주주인 윤여원콜마비앤에이치 대표는 보유 주식 260만 6,000주(지분율 7.60%) 중 98.1%(255만 5,999주)를담보로 제공했다. 현재까지 대출 규…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주)파마리서치(214450)가 지난달부터 추진해 온 인적분할 계획을 한 달 만에 전격 철회했다. 주주들의 강한 반발과 시장의 부정적 반응을 고려해 지배구조 개편안을 백지화한 것이다. 파마리서치는 8일이사회를 열고, 존속법인 ‘파마리서치홀딩스(투자 부문)’와 신설법인 ‘파마리서치’(에스테틱 등 사업 부문)로 회사를 인적분할하는 '지주회사 체제 전환 계획'을 공식 철회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13일 파마리서치는 이사회를 통해인적분할을 결의했다. 회사 측은 '사업 전문성과 경영 효율성 제고, 글로벌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지만, 발표 이후 주주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졌다. 가장 큰 쟁점은 분할 비율이었다. 파마리서치는보유자산 기준으로존속법인(파마리서치홀딩스)74.3%, 신설법인(파마리서치) 25.7%의 비율을 산정했는데, 수익성과 성장성이 높은 에스테틱·리쥬란 사업부의 가치가 투자 기능만 남는 존속법인에 비해 지나치게 저평가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한 이번 분할이 대주주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포석이라는 의혹도 불거졌다.분할 후 대주주 일가가 존속법인을 통해 신설법인의 지배력을 간접적으로 강화하려는 의…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세화피앤씨(252500)는한국거래소를 통해 일본 화장품 유통 벤더사와 대표 헤어케어 브랜드 모레모(Moremo)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세화피앤씨의 2024년 매출액(약 438억 원)의 22.79%에 해당하는 대형 수주로,계약 기간은 2025년 7월 1일부터 2027년 12월 31일까지 2년 6개월간이다. 유통지역은 일본 전역이며, 외주생산 없이 자체 생산 방식으로 물량 공급이 이뤄질 예정이다. 계약 업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는 영업비밀 보호 요청에 따라 2027년 12월 31일까지 비공개된다. 세화피앤씨는 최근 3년간 해당 일본 유통사와 동종 계약 이행 이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 공시 (2025.7.2.자) 세화피앤씨는 46년간 축적된 헤어 과학 노하우와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염모제와 헤어케어 제품을 국내외 50여 개국에 수출하며 K뷰티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모레모는 ‘10초의 기적’으로 불리는 ‘워터트리트먼트 미라클10’ 등 혁신적인 헤어케어 제품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를 모았다. 지난해에는 브랜드 리뉴얼을 통해 새로운 로고와 패키지를 선보이…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글로벌 화장품 OGM 전문기업 (주)코스메카코리아(241710, 대표이사 조임래)가유가증권시장(코스피) 이전상장을 본격 추진한다. 지난해 5월 코스피 이전상장 계획을 공시한 지 약 1년 만이다. 한국거래소는 30일코스닥 상장기업 (주)코스메카코리아의 코스피이전상장 예비심사 신청서를 접수했다고 밝혔다.대표주관회사는 NH투자증권이 맡았다. 앞서 (주)코스메카코리아는 지난해 5월 거래소를 통해 코스피 이전상장 추진 계획을 공시했고같은 해 8월 임시주주총회에서 관련 안건을 가결하며 준비 절차에 착수한 바 있다. 신청일 기준 박은희 대표이사와 특수관계인으로 이루어진 최대주주 그룹이39.0%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2대주주는 국민연금공단으로 12.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외국인 지분율은 11.3%로 주로 연기금과 기관투자자가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주)코스메카코리아는 1999년 10월 설립된 OEM ODM전문 기업으로2016년 코스닥상장이후 꾸준히 성장하며 현재 업계 3위 자리에 올랐다.2024년 기준 총자산 3,209억 원, 자기자본 1,963억 원, 매출액 3,286억 원, 영업이익 444억 원, 당기순이익 354억…
[코스인코리아닷텀 김세화 기자] (주)에스디생명공학(217480)이 상장폐지 위기에 몰렸다. 2년 넘게 지속된 거래정지에 실적 부진까지 겹치면서 한국거래소 기업심사위원회는 (주)에스디생명공학주권에 대해 상장폐지를 권고했다. 한국거래소는 오늘(30일) 기업심사위원회를 열어 (주)에스디생명공학의 주권 상장폐지 여부에 대해 심의한 결과,'상장폐지' 의견을 냈다고 밝혔다. (주)에스디생명과학의 상장폐지 위기는 20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23년 3월 (주)에스디생명과학은 '2022년도 감사보고서'에서감사범위 제한과 계속기업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으며이로 인해 주권 거래가 정지됐다. 이듬해 1월 재감사 결과, 감사 의견은'적정'으로 정정됐으나누적 손실 등 추가 사유가 발생하면서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이 됐다. 당시 (주)에스디생명과학은최근 3개 사업연도(2021~2023년) 연속자기자본의 50%를 초과하는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법차손)이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21년 86%, 2022년 1552.5%, 2023년 51.5%의 손실률을 기록했다. 같은 해 5월한국거래소는 (주)에스디생명과학에 1년의 개선 기간을 부…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바이오화장품 소재 전문기업 (주)지에프씨생명과학(388610)이 코스닥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다.상장 첫날부처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주가가 공모가(15,300원)의 두 배를 훌쩍 뛰어 넘으며 강세를 보였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늘(30일)부터 (주)지에프씨생명과학이 코스닥에 성공적으로이전상장을 완료하고 매매거래를 시작했다. 이날 시초가는 공모가 대비 93% 오른 29,550원에 형성됐다. 장중 한때 40,000원까지 치솟으며 공모가 대비 161% 넘게 급등하기도 했다. 종가는 32,550원으로공모가 대비 112.75% 상승하며 이른바 ‘따상(공모가 두 배 돌파)'을 기록했다. 30일기준 시가총액은 약 1,164억 원에 달했다. (주)지에프씨생명과학은 2002년 설립된 식물세포 기반 바이오 소재 전문기업으로스킨 마이크로바이옴, 엑소좀, 하이브리드 엑소좀 등 차세대 바이오 소재를 자체 개발해 글로벌 ODM OEM사, 화장품 브랜드, 제약사 등에 공급하고 있다.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은 168억 5,000만원, 영업이익은 17억 5,00만원을 기록했다. 이번 상장으로 (주)지에프씨생명과학은 코넥스에서 코스닥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주)코디(080530)의 최대주주인 (주)지피클럽(GP CLUB CO., LTD)이 신주인수권부사채(BW) 권리행사를 통해 (주)코디의 주식 보유 비율을 36.78%로 확대했다. (주)코디가 오늘(30일) 공시한'임원, 주요주주 특정증권 등 소유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주)지피클럽은신주인수권부사채 권리행사를 통해 보유 주식 수를 1,094만 1,414주에서 2,035만 9,923주로 늘렸다. 주당 최득 단가는 1,221원이다. 지분율은23.82%에서 36.78%로 12.96%p 확대돼 지배주주로서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게 됐다. (주)코디는 1999년 설립된 화장품 ODM OEM 전문기업으로색조 화장품과 스킨케어 제품의 기획, 개발, 생산, 품질관리, 출하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토탈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요 제품군은 립스틱, 쿠션, 파우더, 아이섀도, 마스카라 등 색조 화장품이며국내외 주요 화장품 브랜드를 고객사로 두고 있다. 2010년대 중반색조 OEM사 마린코스메틱 인수를 계기로 색조 화장품 사업을 본격했다.자회사 이노코스텍을 통해화장품 용기 제조 부문도 주요 사업으로 키워 왔다. 현재 김천과 화성에 생산공장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유동성 위기와 경영권 분쟁으로 회생절차에 들어간 동성제약(주)(002210)이 이번엔 경영진의횡령, 배임 혐의 고발로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했다. 여기에 해당 건과 관련한 허위 공시로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 예고돼 법정 관리, 주식 거래정지 등 악재가 겹치면서 경영 불확실성이 극대화되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25일 동성제약을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하고동시에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사유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이는 최근 횡령, 배임 혐의설 등 주요 경영 현안에 대해 사실과 다른 내용의 해명 공시를 한 데 따른 조치다. 나원균 동성제약(주) 대표와 일부 임원진은24일 회사의 상근감사인 고모씨로부터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 혐의로 고발당했다. 2023년 10월부터 2025년 5월까지 약 177억 원의 회사 자금을유출한 혐의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예고 (2025년 6월 25일) 이에 한국거래소는 해당 사안과 관련해 '풍문 및 보도에 따른 조회 공시'를 요구했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동성제약(주) 주가는 곧바로 하한가로 추락했고24일 오후 4시 14분부로 주식 거래가 정지됐다. 거래정지 전날인 23…
[코스인코리아닷컴 김세화 기자] 유동성 위기와 경영권 분쟁으로 혼란에 빠진 동성제약(주)(002210)이 회생절차에 돌입했다. 그러나 회생절차 개시 하루 만에 대표와일부 임원진의 횡령, 배임 혐의 고발이 알려지면서 주식 거래가 정지되는 등 경영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23일 서울회생법원은 동성제약의 회생절차를 개시를 결정하고 나원균 동성제약(주) 대표와제3자인 김인수씨를 공동관리인으로 선임했다. 5월 7일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지 40여 일만이다. 이에 따라 동성제약(주)는 법원의 관리 아래 채무 상환이 일정기간유예되고 경영 정상화를 위한 절차에 돌입하게 됐다.회생절차 일정도 확정됐다. 회생채권과담보권 신고는 7월 8일부터 8월 4일까지이며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10월 13일이다. 동성제약(주)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배경으로는오너 일가 간의 경영권 분쟁과 급격한 유동성 위기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사태의 발단은 올해 4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오너 2세 이양구 전 회장은 자신이 보유한 지분을 외부 마케팅회사 브랜드리팩터링에 매각하며 경영권 복귀를 선언했다. 이에 조카인 나원균 대표는경영권 방어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