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의 자외선차단제제 도포막가시화 기술 개발 자외선차단제제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한 다는 명확한 기능을 가진 화장품이다. 이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바를 때 빈틈없이 발리고 피부에서 균일한 도포 막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땀이나 마찰의 영향으로 도포 막의 일부가 결여되어 버렸을 경우는 방어기능이 현저히 낮아지므로 그 도포 막이 내구성을 갖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또최근 자외선에 대한 과도한 노출을 피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유아기부터 일상적으로 자외선차단제제를 사용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어 자외선의 방어기능 뿐아니라 ‘피부에 부담감이 없는’ 등의 사용감도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자외선차단 기능을 높은 수준으로 오래 유지하면서 피부에 부담이 적은 자외선차단제제 개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림1 관통 구멍 다공성 알루미나 박막(DIUTHAME®, Hamamatsu Photonics사7)) 또자외선차단제제에는 자외선흡수제나 무기분체, 유성성분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배합 성분들은 자외선의 방어 뿐아니라 도포 막의 뭉침 방지, 감촉 조정 등 피부에서 각각 다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적절하게…
#주름실시간 평가법개발 주름은 에이징(aging)의 사인으로 여겨지며 주요 피부 고민 중의 하나이다. 그 때문에 주름을 방지,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세간의 관심은 매우 높고 그에 따라 차례차례로 항주름 화장품이 개발되고 있다. 또주름은 연령 뿐아니라 그 사람의 라이프스타일이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이러한 점에서 피부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주름은 비침습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의 보고라고 할 수 있으며 그 평가는 매우 유익하다. 현재 다양한 주름의 평가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신규 효능 취득을 위한 항주름 제품 평가 가이드라인’에도그 평가방법이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다4). 이들 방법은 특수한 기재(equipment)를 필요로 하며 평가에 시간이 걸리며 또한 주름은 표정이나 환경에 의해 그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기 때문에 지금까지는 무표정 시의 주름을 엄격하게 관리된 조건에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림1 VIS를 이용한 연령별 주름 평가 (ⅰ) 20대, (ⅱ) 30대, (ⅲ) 40대, (ⅳ) 50대의 눈가 사진 (a) 원래 이미지, (b) VIS에서 작성한 특징 강조 이미지, (c) 주름 부분이 붉게 표시된 이진화 이미지.
[코스인코리아닷컴 신보경 기자] 티앤알바이오팹(T&R바이오팹, 대표이사 윤원수)가 2월 15일 3D 바이오프린팅 고탄성 인공피부 제조탄성 측정기술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특허를 취득한 dECM(탈세포화된 세포외기질) 바이오 잉크를 활용해 탄력성을 구현한 인공피부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해 피부모델 탄성 변화를 쉽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즉, 피부모델은 인간의 피부 세포와 콜라겐 등 생체재료를 이용해 실제 피부와 비슷한 형태로 재구성한 것이다. 그간 기존 피부모델은 실제 인체 피부에 비해 물성이 약해 탄성 측정이 어려웠고화장품 원료나 천연물, LED와 같은 물리적 자극이 피부의 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었는데 이번 제조기술은 해당 한계점을 타파할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됐다. 티앤알바이오팹 dECM(탈세포화된 세포외기질) 바이오 잉크를 활용 인공피부 제조술 한편, 티앤알바이오팹 측은 이번 인공피부 제조기술을 통해 현재 세계적으로 확대 강화되고 있는 화장품 개발 시 동물실험을 금지하는 법안의 수혜주로 떠오를 것으로도 전망된다. 화장품 동물실험 금지법은 미국 캘리포니아, 네바다, 일리노이, 버지니아주 등에 있어 EU
#화장품 개발평가,측정법최신 동향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표면으로부터 피부의 생리 특성이나 내부 구조를 조사하는 것은 화장품 개발이나 그 효과 실증에 필요한 것으로 지금까지 많은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측정 대상은 보습 기능이나 장벽 기능, 피부결, 주름 등의 표면 형상, 역학 특성, 광학 특성, 발한(発汗), 피지 분비, 피부 혈류, 대사 활성 등이다(표). 주로 기기를 이용한 물리 계측이지만 이러한 것 이외에 접착테이프로 피부 표면의 각질층을 벗겨 얻은 각질층 중의 사이토카인(cytokine)이나 효소 활성 등 생화학적 지표를 측정해 피부 상태를 조사하는 방법도 있다. 어느 방법이나 화장품과 식품 등의 유용성 평가에 넓게 이용되고 있다1). 그림1 High wave number region (수분, 지질, 지질 충전구조) 피부측정법 개발에서 최근의 큰 특징은 생체 현미경이라 불리며 피부 내부의 성분이나 구조를 깊이 방향으로 세포 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는 기기가 개발된 점이다. 예를 들어 In vivo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OCT(Optical Coherent Tomography, 광간섭 단층 촬영 장치), 자발(선형) 라만 산란을 이용한 in
■ 개요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월호는 특집 ‘화장품 개발에서 최신 평가 · 측정기술’을 주제로 ▲화장품 개발에서의 평가 · 측정법의 최신 동향 ▲주름의 실시간 평가법의 개발 ▲피부의 자외선차단제제 도포 막의 가시화 기술 개발 ▲자극감의 가시화에 의한 기분 좋은 화장품 개발을 위한 대처 - 신규 자극 관련 인자를 지표로 한 평가방법의 구축 ▲선 스크린 제제의 SPF 측정을 위한 새로운 in vitro 방법의 제안 ▲소비자의 체감 품질을 알기 위한 새로운 촉감 감지 기술 등을 구성했다. [칼럼] 화장품 유통시장, 메타버스와 디지털 시대 온다 [테마기획] 다양한 기능성 헤어케어 시장 현황과 전망 [특집] 화장품 개발에서 최신 평가 · 측정기술 1. 화장품 개발에서의 평가 · 측정법의 최신 동향, Recent trends in skin measurement technologies for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s, MT Consulting Inc.(エムティーコンサルティング) 髙橋元次 2. 주름의 실시간 평가법의 개발, Real-time…
[코스인코리아닷컴 최현정 기자] 국내 대표 화장품 연구개발(R&D) 마케팅 전문저널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022년 2월호가 발간됐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는 화장품 연구개발, 기술 분야에서 화장품 기술자와 연구자들의 연구 논문과 상품기획, 품질관리, 최신 트렌드, 해외시장 정보 등을 공유하는 연구개발(R&D)과 마케팅 분야 전문 매체다. 코스메틱저널코리아(CJK) 2월호는 특집 ‘화장품 개발에서 최신 평가,측정기술'을 주제로▲화장품 개발에서의 평가,측정법의 최신 동향 ▲주름의 실시간 평가법의 개발 ▲피부의 자외선차단제제 도포 막의 가시화 기술 개발 ▲자극감의 가시화에 의한 기분 좋은 화장품 개발을 위한 대처 - 신규 자극 관련 인자를 지표로 한 평가방법의 구축 ▲선 스크린 제제의 SPF 측정을 위한 새로운 in vitro 방법의 제안 ▲소비자의 체감 품질을 알기 위한 새로운 촉감 감지 기술 등을 구성했다. 테마기획은 최근 2030 세대를 중심으로 블루오션으로 부상한 기능성 헤어케어 시장에 대한 동향을 분석했다. 마케팅 섹션에서는 기업들이 신제품 개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마케팅 효과와 구체적 방법에 대해 다뤘다. 물류 섹션에서…
#CBD(칸나비디올)와 같은 효과가진 액티브 'Asyntra CBD-Alt' 심리적 스트레스는 표피 지질의 합성을 저해하고 투과성 배리어의 항상성 등의 이상을 일으킨다고 보고되 어있다1). 한편, 인체에는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엔도칸나비노이드를 리간드로 한 엔도칸나비노이드 시스템(ECS)이 갖추어져 있으며 대표적인 엔도칸나비노이드가 아난다마이드다. 아난다마이드는 스트레스를 감지하면 감소함으로써 스트레스 증상을 유발한다고 생각된다2). 또반대로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항불안(anti-anxiety) 효과를 야기하는 것도 보고됐다3). 그러나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수송 단백질 FABP5에 의해 세포 내로 운반된 후 바로 분해효소 FAAH에 의해 분해되어 버리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4)~6). 따라서 아난다마이드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그 수명의 연장이 중요해진다. 그림1 FAAH 효소 저해 효과 미국 Sytheon사는 아난다마이드의 수명을 연장할수 있는 Asyntra CBD-Alt를 개발했다. Asyntra CBDAlt는 당사의 3가지 원료를 배합한 제품으로 FAAH 등의 표적에 대해 CBD(칸나비디올)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Synov
#플라센타 화장품피부에 미치는 효과 - 예비 검토 시험 인체 유래의 태반추출물(이하 ‘플라센타’)은 일본에서 의료용 의약품 ‘라엔넥’, ‘메르스몬’ 2 제품이 승인됐으며 간 기능 개선1), 갱년기 장애 개선2) 또한 젖 분비 저하3)에 피하주사, 근육주사 등의 투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건강식품과 화장품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돼지 유래와 말 유래의 플라센타이다4). 지금까지 플라센타의 효과로서 ‘아미노산에 의한 보습 효과’, ‘성장 인자에 의한 세포 분열 증진 효과’,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미백 효과’, ‘항산화에 의한 안티에이징 효과’ 등이 기대되어 화장품으로서 화제가 되고 있다5). 그러나 지금까지 사람을 대상으로 한 효과의 연구 보고는 적다. 그림1 피험자에 대한 피부 평가 설문조사 이번에 (주)UTP에서 발매되어 의료기관에서의 사용 실적도 많은 플라센타 화장품에 새롭게 풀러린(Fullerenes)이나 나이아신아마이드 등을 추가해 버전 업한 제품이 발매됨에 따라 40세 이상 65세 이하의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라 프레시아(La PRECIA) 리치 로션과 라 프레시아 엑스트라 크림을 28일 연속 사용 했을 때의 피
[코스인코리아닷컴 김대환 기자] 화장품 OEM ODM 제조 전문기업 (주)나우코스(대표이사 노향선)가 지난 7일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관련 특허(출원번호 : 10-2021-0067786)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번특허는 '비타민C 유도체와 머루포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이다. 나우코스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특허를 획득한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은비타민C 유도체 소량과 머루포도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어 과량의 비타민C 유도체가 함유된 것과 같이 피부 톤 개선의 효능을 발휘한다고 밝혔다. (주)나우코스는지난해 12월에도 '제1제와 제2제 베이스를 혼합해 사용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관련 특허를 취득했으며이러한 연구개발 역량의 집중 강화를 통해 얻어진 기술과제품 특허 취득으로 더 많은 고객에게 검증된 효능 효과의 제품을 제공하는 바탕이 되고 있다. 나우코스는 "이번에 개발한조성물은 향후 스킨케어 제품 개발로확대 계획이 있으며현재 가시적인 연구 성과들을 축적하는 단계에 있다"고 전했다.또“최근 K-Beauty열풍으로 거대하게 확대된 코스메틱 시장에서 차별화되는 글로벌 품질과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힘쓰겠다”면서 “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인디언 단향오일의 in vitro, ex vivo에 의한 항산화 안티에이징 효과 정유(精油)와 정유를 함유하는 식물부위는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귀중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정유는 대략적으로는 터펜(terpene)으로서 분류되며 그 단일 산소화 유사체는 터피네올(terpineol)로 분류된다. 이들 분자는 자연계의 수많은 식물에서 보이며 주로 2종류의 터펜이 발견되며 모노터펜 (monoterpene, C10 탄소 골격을 가진 분자)과 세스퀴터 펜(sesquiterpene, C15 탄소 골격을 가진 분자)이 있다. 인디언 단향(Sandalwood)오일은 단향목(Santalum Album)의 방향성 심재(心材)를 수증기 증류함으로써 얻어진 정유로1) 세스퀴터펜을 주성분으로 하고 있다. 이정유는 부드럽고 따뜻한 나무의 향기의 냄새 특성을 갖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 때문에 향수, attar(에센스, 향유), incense(훈향)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2). 그림2 HaCaT 세포에 대한 인디언 단향오일의 세포독성 또는 항증식 효과를, 처리 후 24(A) 또는 48시간(B)에 대한 평가 결과
#당화 단백질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미백용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최근 많은 멜라닌 생성 억제 작용 성분의 탐색이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식물 성분을 비롯해 합성한 저분자 화합물과 아미노산 유도체에 이르기까지 참으로 많은 연구성과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멜라닌의 생성 억제 작용과 항당화 작용을 비롯한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화장품 원료로고량강1), 트루로즈오브예리코추출물(Anastatica Hierochuntica Extract, Mary's hand)2), 헨나꽃3)~5), 블루베리6), 연꽃7), 동백꽃8), 커리리프트리잎(Murraya Koenigii Leaf, Curry Leaf)9)과 모란꽃10) 등 다양한 추출물과 함유 유효성분에 대해 보고했다. 표1 글루코오스 반응 단백질의 세포 돌기 확장에 미치는 영향 한편, 노화현상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는 물질로 AGEs(Advanced End Products : 최종당화산물)가 알려져 있지만 당화와 멜라닌 생성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예는 부족하고 대부분은 당화 반응의 최종 물질인 AGEs[예를 들면 Nε-카복시메틸라이신 (Carboxymethyl Lysine, CML)
#The mild and soft lamellar emulsifier 'HELIOSOFT™' 1. 서론 유화제는 화장품 제형 최적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원고를 통해 유화제로서 탁월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을 뿐아니라 피부 장벽 개선에 효능이 있는 실질적 Active 효능을 겸비한 이상적 유화제인 ‘HELIOSOFT™’를 흥미롭게 소개하고자 한다. HELIOSOFT™는 100% 천연 유래 O/W 유화제로 유채 씨앗에서 얻은 Fatty Esters, Alcohols 그리고 해바라기에서 얻은 Phospholipids 성분으로 구성된다.이러한 Phospholipids 기반의 HELIOSOFT™는 제형 내에서 Lamellar 형성을 촉진하며 피부에 완벽한 친화성을 가진다. 이 뿐아니라 HELIOSOFT™는 매우 부드러우면서 가볍고 편안한 사용감을 제공한다. 2. Technical Properties 2-1. Lamellar Structure 불포화 Phospholipids, Fatty Acids 그리고 Alcohols 의 조합으로 디자인된 HELIOSOFT™는 제형 내에서 유연한 Lamellar Network를 형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