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은 국가질검총국(质检总局)과 국가표준위원회(国家标准委)의 비준을 거쳐 8월 1일부터 로션, 클렌징폼, 클렌징밤에 대한 국가표준을 적용하고 있다고 중국질량보(中国质量报)가 8월 26일 전했다. 로션에 대해서는 ‘GB/T 29665-2013’이 클렌징폼과 클렌징밤에 대해서는 ‘GB/T 29680-2013’이 각각 적용된다. 과거 중국의 화장품업계에는 기초 화장품에 대한 국가표준이 없었다.
현재 중국 화장품 시장은 ‘유기농’이라는 마케팅 용어를 사용할 수 없지만 업계에서는 여전히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허청만보(鹤城晚报)가 지난 8월 26일 전했다. 중국의 화장품업체는 아직 유기 화장품을 생산해낼 수 없다.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된 식물성분을 원료로 하더라도 화장품의 유효기간을 1~2년 이상 유지하려면 반드시 화장품속에 화학성분과 방부제 성분을 첨가해야 한다.
미국의 시카고 트리뷴(Chicago Tribune)은 최근 크로 굵은 눈썹 트렌드로 인해 아이 브로우 메이크업 판매가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카고 트리뷴은 “만약 크고 굵은 아이 브로우 메이크업 한 패션모델의 얼굴에서도 판매 급증에 대한 의심이 든다면 시장조사 결과를 확인하면 된다”고 말했다.…
중국 화장품업계의 장수 브랜드가 다시금 인기를 얻고 있다고 중국소비자보가 8월 26일 전했다. 친숙함과 신뢰감을 바탕으로 각 업체들의 기술개발이 어우러져 외국 브랜드가 대세를 이루고 있는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로컬 브랜드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대표적인 로컬 장수 브랜드는 바이췌링(百雀羚), 위메이징(郁美净), 펑화(蜂花), 유이(友谊), 샤페이(霞飞) 등이 있다. 매체는 현재 백화점, 대형마트에서 로컬 장수 화장품의 매출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고,…
최근 친환경적을 중시한 라이프 스타일, 윤리적인 소비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며 자연파, 유기농 화장품 시장 규모가 확대 경향을 보이고 있다. 피부 자극이 적은 화장품을 선호하는 여성이 증가하는 것도 시장 확대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일본 야노경제연구소는 이를 뒷받침하듯 지난해 일본의 자연파, 유기농 화장품 시장 규모가 전년대비 5.9% 상승한 1,040억엔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자연파, 유기농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 상승과 해외 유명…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만화인 ‘더 심슨’이 맥과 만났다. 미국 전문지 투데이 스타일(today style)은 지난 8월 23일 “어디서도 본적이 없는 심슨과 맥의 합작품이 출시된다”고 소개했다. 미국 전문지 투데이 스타일(today style)은 지난 8월 23일 “어디서도 본적이 없는 심슨과 맥의 합작품이 출시된다”고 소개했다. 뷰티 아이콘이라고 하면 하늘높이 솟은 파란색의 볼록한 머리와 노란 만화 캐릭터가 떠오르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관
일본 주요 화장품 메이커들이 남성용 스킨케어 상품 강화에 나서고 있다. 화장품 시장이 한계점에 도달했다는 의견이 조심스레 제기되는 상황에서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남성용 상품으로 수익을 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생산통계에 따르면, 일본의 화장품 시장은 지난 1997년 피크에 달했지만, 최근 들어 난관에 봉착한 상태다. 일각에서는 ‘한계점에 도달한 상태’라는 진단을 내리기도 한다.
미국 야후 뷰티(Yahoo Beauty)는 최근 미국에서 ‘체리 레드 립스틱’이 가장 많이 판매된 립스틱이라고 소개했다. 야후 뷰티는 “체리 레드 립스틱은 지난 10년 동안 놀라운 저력을 보여 줬다”며 “사무실 안의 레드 카펫에서 우리는 매우 소수의 셰이드(순색에 검정을 더한 컬러)와 포뮬러(색을 혼합해 특정한 색을 만드는 것)를 좋아하지 않는 여성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NPD그룹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립스틱 3억7천7백만달러의…
미백 화장품 사용으로 인한 ‘백반증’ 피해자와의 협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본 가네보화장품이 중증 피해자에 대한 위자료를 증액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하지만 일본은 물론 국내 소비자들까지 일본 법원에 집단소송을 준비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미국 립 제품 시장이 올해 1조원을 훌쩍 넘기며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PR뉴스와이어(PRnewswire)는 8월 20일 올해 미국 립 제품 시장이 14억달러(1조 301억원)에 도달했다는 내용이 포함된 민텔(Mintel)의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민텔은 미국의 시장 조사와 소비자 정보회사다. 민텔의 이번 조사에 따르면, 미국 립 제품 시장은 2012~214년 사이 9%의 상승세를 기록해 올해 시장 규모가 14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 봤
에스티로더가 높은 순이익과 매출액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리테일 디테일(retail detail)은 8월 19일 "미국 화장품 브랜드인 에스티 로더(Estée Lauder)의 뉴욕 본사는 에스티로더가 순이익과 매출액이 모두 성장했다고 밝혔다"며 "이러한 매출 성장은 4분기마다 기록을 깨고 있다"고 강조했다. 에스티로더는 2013~2014년 12억달러의 당기순이익과 1,100만달러의 매출을 올리며 회계연도를 마감했다. 이같은 매출액은 이전 회계연
시세이도의 중가브랜드인 오프레(欧珀莱, Aupres)가 중국의 여배우 저우둥위(周冬雨)를 광고모델로 내세웠다고 텅쉰(腾讯)이 8월 19일 전했다. 저우둥위는 오프레의 신제품인 융취안룬진(涌泉润肌)의 광고모델로 나섰다. 신제품은 젊은 연령층을 위한 제품으로 저우둥위가 가지고 있는 청순한 이미지와 잘 어울린다. 저우둥위는 오프레 역사상 가장 나이가 어린 광고모델로 남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