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분의 논을 활용한 지역자원순환에서 태어난 지속가능한 원료인 에탄올 (주)퍼멘스테이션(FERMENSTATION Co. Ltd.)은 일본 도쿄에 본사를, 이와테현(岩手県) 오슈시(奥州市)에 제조거점인 랩(Lab)을 두고 발효기술로 순환형 사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벤처기업이다. ‘Fermenting a Renewable Society(발효로 즐거운 사회를!)’를 미션으로 전 세계에 넘치는 이용되지 않는 자원을 발효기술을 활용해 사람들의 손에 잡힐 수 있는 멋진 제품으로 바꾸고 쓸데없는 것이 없는 사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그림1). 그림1 순환도 당사의 사업은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한 개발목표)의 17개 목표(Goal) 가운데 주로 6개의 목표(4, 9, 11, 12, 15, 17)에 적합하다고 생각하고 있다(그림2). 여기에서는 각각의 목표가 어떻게 사업에 연결되어 있는지를 항목별로 소개한다. 생산거점을 두고 지역자원순환의 중심지가 되고 있는 일본 이와테현 오슈시에서 임의단체인 ‘마임마임 오슈’ 를 설립해 주로 아이들을 위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또 도시와 해외의 방문자들에게 지
#브랜드의 힘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실현하다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이제 브랜드 생존전략에 필수적이다. 신형 코로나19 바이러스 위기를 비롯해 기후 변동이나 플라스틱의 해양 오염, 인권 문제, 불평등과 분단 등 인류는 20세기와 다른 지구 규모의 환경 · 사회적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이 심각하고 복잡하게 얽혀 있어 기업이나 단체, 자치단체, 학교 등 여러 활동가가 울타리를 넘어 협동-공동창조(co-creation)로 과제 해결에 임할 필요가 있다. 그림1 지속가능한 브랜드 국제회의 2020 요코하마에 등단한 스카지니아 소비자의 의식도 바뀌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나 Z세대의 젊은층은 경제의 앞날이 불투명한 가운데 전세 계적으로 다양화한 사회에서 자라 풍부함이나 소비의 정의가 그 이전의 세대와는 다르다. 인류가 지금까지 누려왔던 자연의 풍요, 축적해 온 지혜, 문화, 기술, 그리고 생활을 지속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비즈니스와 사회, 생활을 새롭게 정의할 때가 됐다. 그러한 가운데 미래를 여는 원동력으로서 주목받는 것이 브랜드이다. 올해 1월 다보스 포럼을 앞두고 발표된 ‘글로벌 리스크 보고서 2020년판’에서는 세계
#석회석을 주원료로 한 종이 · 플라스틱의 대체 신소재 당사가 개발한 독자적인 제법에 의해 만들어진 무기(無機) 필러(filler) 고 충전형 신소재인 LIMEX는 주원료인 석회석 유래의 중질탄산칼슘을 포함한 무기물(50wt% 이상)과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다.이러한 원료를 녹이고 고르게 섞어 인쇄 미디어로서의 종이 대체와 현존하는 다양한 플라스틱 가공 기계를 이용해 성형하는 것으로 플라스틱 대체로 사용할 수 있는 신소재이다. 주원료인 석회석은 전 세계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종이의 원료인 펄프와 플라스틱의 원료인 원유보다 저렴하기에 우수한 코스트 경쟁력을 갖고 있다. 물, 삼림자원이 부족한 많은 지역에서 플랜트를 설치해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림1에 LIMEX의 제조공정과 제품군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그림1 LIMEX의 제조공정과 제품군 LIMEX는 외부의 전문가와 LCA(Life Cycle Assessment) 에 의한 환경 영향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반 종이와 달리 나무와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또 플라스틱과 비교해 석유 유래 원료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기에 온실효과 가스 삭감
#주름, 피부 처짐과 관련이 깊은 유전자 영역 피부 노화는 얼굴 주름이나 피부 처짐이라는 나이에 맞는 외적인 변화로 나타난다. 피부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표피의 각화세포나 진피의 섬유아세포 기능과 증식 능력이 노화에 따라 저하되고 이에 따라 히알루론산 이나 콜라겐 등의 조직을 유지하고 있는 성분의 감소나 변성이 생기는 원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지금까지 피부 노화를 촉진하는 요인으로는 자외선, 활성산소, 외적 자극물질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한 영향에서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1)∼3). 그림1 피부 외형(주름, 피부 처짐) 노화 정도(7개 항목)의 6단계 스케일 한편, 개개인의 피부 외형 노화 정도에 대해서는 같은 나이에서도 실제 나이보다 젊어 보이는 사람도 있고 실제 나이보다 늙어 보이는 사람이 있는 것처럼 개인차가 크다고 느낄 수 있다. 유럽인의 쌍둥이 연구에서 주름이나 기미 같은 노화 징후의 각 형질에 대해 유전율(遺傳率)(집단에서 표현형분산(表現型分散) 에 대해서 유전 분산이 차지하는 비율)을 추정했을 때피부 외형의 노화 정도는 환경적 요인 뿐 아니라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다분히 받는다고 알려졌다4). 최근 피부 외형의 노화 유전적 요인…
#진드기에 의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유전자 특정 일본에서 아토피성 피부염 환자 수는 약 5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지만 그 수는 해마다 증가해 25년 전과 비교하면 거의 2배로 증가했다. 특히 어린이는 10% 이상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으며 아토피성 피부염을 포함한 연중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으로서집 먼지 진드기(HDM ; house dust mite)가 약 80% 를 차지한다고 한다1). 그림1 알레르겐에 의한 면역반응 HDM은 우리의 생활환경, 음식, 피부 등의 신체표 면에 존재하며 면역원성을 갖는 성분이나 프로테아제에 의해 Toll과 같은 수용체 등의 패턴인식 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조직장애를 계기로 하는 면역반응을 일으킨다2). 알레르기성 원인을 가진 환자는 HDM에 대한 과도한 반응이 질환의 원인이 되는 반면 정상인은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볼 때, HDM에 대한 면역반응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나(그림1), 그 자세한 내용은 해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모델 마우스를 사용해 HDM에 높은 감수성을 보이는 NC/Nga 마우스 게놈을 분석함으로써 HDM에 대한 과도한 면역반응의 원인유전자
#유전자로 결정하는 일본인의 햇볕 그을림과 피부색 피부 색조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이 멜라닌이다.또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산소화 헤모글로빈(酸素化 hemoglobin), 탈산소화(脫酸素化) 헤모글로빈이 피부에 존재하고 이들 색소의 혼합 비율 차이에 따라서 피부색이 정해진다1). 멜라닌(melanine)은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색소세포) 내에 있는 멜라노솜(melanosome)이라는 세포내 소기관에서 생성되고 최종적으로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각화세포)에 전달된다. 케라티노사이트에 전달된 멜라닌은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질내(細胞質內)에서 세포핵 각질층 측에 캡(cap) 모양으로 분포(melanine cap)하고 자외선에 대한 DNA 손상으로부터 케라티노사이트를 보호하고 있다2). 그림1 색소세포 동태와 멜라닌 생성과정에 관련된 유전자의 종합정리 멜라닌 생성은 멜라노솜 내에서 타이로신(tyrosine) 으로부터 합성된다. 멜라닌의 생성과 침착 정도에 따라서 멜라노솜은 stage I, II, III, IV의 성숙 단계로 나눌수 있다. 멜라닌에는 검은색의 유멜라닌(eumelanine)과 노란색의 페오멜라닌(pheome
#유전자의 작용을 돕는 유효 성분과 메커니즘 유전자에 관한 연구 분야에는 제네틱스(유전학)와 에피제네틱스(후성유전학)가 있다. 제네틱스는 생물의 세대간 유전이나 DNA 변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미지되는 유전자 그 자체의 연구로 체격, 피부색, 눈동자의 색 등의 결정에 깊이 관여하는 분야다. 강한 자외선을 받았을 때 일어날 수 있는 DNA 변이는 불가역적이며 이것은 제네틱스의 범주이다. 이에 비해 에피제네틱스는 DNA 배열의 변이를 수반하지 않는 유전자 발현이나 세포표현형의 변화에 관한 연구 분야이다. 그림1 에피제네틱스의 작용 메커니즘 자연계 에피제네틱스의 예로 나비를 들 수 있다. 유충이 언제 번데기가 되고 언제 우화하는지는 DNA 배열에 의해 정해진 것이 아니라 환경에 따라 어느 유전자를 어느 시점에서 발현시키느냐에 달려 있다. 마찬가지로 사람의 성장이나 노화는 생물학적으로 프로그램된 필연적인 과정이기는 하지만 환경이나 라이프스타일이 체세포에서의 DNA 배열의 ‘읽는 방법’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이 가역적인 에피제네틱 패턴의 변화이며 이것에 주목함으로써 유전자 발현 억제나 재활성화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콜라겐이나 엘라스틴 섬유의…
#진화하는 퍼스널라이제이션의 형태 ‘퍼스널라이제이션’ 또는 ‘퍼스널라이즈’라는 말이 외래어 표기로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직역하면 ‘개인에 맞춘’ 또는 ‘무언가를 개인용으로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하는 것’이라는 의미이다. 이 말이 왜 뷰티 업계에서 중요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또 퍼스널라이제이션은 뷰티 업계를 넘어 건강산업 전반에 관계되는 움직임이 되고 있기 때문에 업계를 구분하지 않고 이러한 트렌드의 움직임을 분석해 나간다. 그림1 유로모니터 메가 트렌드 분석 본 연구에서는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이 제공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Passport의 정보를 기초로 하고 있다. Passport는 세계 100개국 1,200명 이상의 현지 애널리스트가 분석한 시장 규모, 시장 경쟁 상황을 비롯해 소비자 조사 등의 정량 정보 뿐 아니라 분석 결과를 정리한 정성 리포트 등을 게재하고 있다.우선 ‘퍼스널라이제이션’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 1) 유로모니터가 제창하는 메가 트랜드 2) 소비자의 목소리 3) 지식인, 업계 관계자의 목소리에서 3가지의 배경을 살펴본다. 유로모니터는 2030년까지 모든 산업과 국가 전반에 걸쳐 일어나는 소비자 트렌드를 ‘
#자율신경 계측 통한 아내의 페이셜 케어 효과의 기초적 연구 고령화가 진전되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촉진되는 일본에서 가족간 병인이 되는 친족관계는 크게 변화하고1) 가족의 간병을 담당하는 남성이 증가하고 있다2). 남성으로서 가족을 간병하는 자는 익숙하지 않은 간병에 대한 문제를 안고3)4) 남자다움을 강조해 나약한 소리를 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며5) 남자다움의 과도한 의식으로부터 해방이 남성 가족간병인의 건강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그림1 N+BC (NURSING+BEAUTY CARE) 강좌 배포 자료에서 인용 일본의 세대수는 증가하는 반면, 한 세대당 인원은 감소하고7) 소가족이 증가, 소가족의 증가 속에서도 고령자 세대의 증가가 현저하다7). 일본 정부는 2000년 4월부터 간병보험 제도를 시작했다. 재택에서의 생활이 추진되는 가운데 사회적 역할을 하며 살아 온 남성은 지금 이상으로 가족의 간병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남성이 익숙하지 않은 가족의 간병역할을 담당하는 가운데 간병을 계속할 수 없게 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사건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학대 가해자는 72.3%가 남성이며 피해자 74.3%가 여성으로8)…
#감성평가를 기반으로 한 닦아내는 화장수 처방설계 최근 일본 모노즈쿠리(제조) 산업의 키워드로서 ‘감성 가치’라는 말이 인지되고 있다. ‘감성 가치’는 2007년 경제산업성이 ‘생활자의 감성에 작용해 감동이나 공감을 얻음으로써 드러나는 가치’라고 정의 하고 있다1). 실제로 ‘감성 가치’를 모노즈쿠리의 척도로서 응용한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2)3). 화장품 분야에서의 사례를 들면 이노우에(井上) 등은 감성 지표화 기술과 진주의 광학현상 시뮬레이션 기술4)을 결합해 진주 피부를 구현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소재를 개발했다5). 그림1 공분산구조 모델 또 다니(谿) 등은 맨살과 메이크업 피부의 투명감 지표화를 실시해 그 차이를 정량적으로 밝혀냈다6). 이러한 연구는 감각과 감성을 지표화하고 지표에 근거하는 제품 디자인에 의해서 새로운 감성 가치를 창출하는 연구를 공학, AI, 심리학, 뇌 과학, 예술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제적 융합에 의해 실현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감성 지표화 기술의 화장품 개발에의 응용한 예로서 화장솜에 적신 후 피부 표면을 물리적으로 닦아 사용해 불필요한 각질층을 제거하는 ‘닦아내는 화장수’7) 를 대상으로 한 감성에 기초한 처방설
#뇌활동 변화를 중심으로 한 지표에 의한 화장법 프로그램 효과 검증 화장은 여성을 중심으로 매일 반복되는 습관의 하나이며 기분을 편안하게 하고 긍정적인 사고방식 등의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1). 그 효과는 일상생활에 머무르지 않고 보호가 필요한 고령자에게도 QOL(Quality of Life)의 개선을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되어 ‘화장요법(化粧療法)’으로서 고령자 시설 등에서 도입되고 있다. 그림1 화장요법 조건 전후의 뇌파 (건강한 고령자 22명) 잘 알려진 효과로는 고령자 표정이 풍요로워지며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활발해지면서 기분 전환이 되고 재활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행동변화가 있다2). 최근에는 화장 동작을 통해 손으로 잡는 힘(악력, 握力)의 증가3), 타액 분비량 증가 등4) 생활동작면에서 변화가 정량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화장에서는 여러 가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다양한 요소가 포함된다. 기본적인 오감(五感)과 관련해 기호성 높은 향, 손과 얼굴의 피부를 통해 느끼는 기분 좋은 촉감, 눈으로 보고 느끼는 아름다운 색이나 디자인, 자신의 변화 또는 손끝 움직임과 동시에 말을 하면서 그 순서의 기억, 일을 진행시키
#심리학적 방법에 따른 속눈썹 컬(curl)이 주는 메이크업 효과 검토 예전이나 현재의 메이크업 제품은 매우 다양하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여성의 외모를 건강하고 젊게, 그리고 보다 매력적으로 변화시킨다1). 그 중에서도 눈화장은 얼굴을 식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눈에 접근되어 있어 인상이나 매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2).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눈화장 있음/ 없음’ 등 화장조건을 대략적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아이섀도(eye shadow)나 아이라이너(eye liner)와 같은 각 제품의 설계와 개량 지침은 얻기가 어려웠다. 그림1 측정위치 보다 매력적으로 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눈화장이 가져다 주는 매력을 분해하고 깊이 파고드는 동시에 제제의 색과 질감, 도포부위와 같은 물리적 특징과 결부시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눈화장 효과로 가장 잘 알려진 것은 눈을 크게 보이게 하는 효과이다. 이를 파헤친 사례로는 아베(阿部), Matushita 등이 실시했던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에 의한 눈의 확대 착시효과 연구가 있다3)4). 그 이외의 효과에 대해서는 Ueda 등에 의한 Gaze Direction5) 의 보고 등이 있으나…